강영계 교수의 철학 이야기 - 탈레스에서 라깡까지, 증보판
강영계 지음 / 서광사 / 2000년 8월
평점 :
품절


분절적으로 마주한 철학의 계보와 좌표를 알고 싶다는 욕망은, 교과서처럼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으면서도 중심 사상의 핵심을 명료하게 드러내는 책을 읽고 싶다는 욕심으로 자연스럽게 옮겨갔다.

 

결과적으로, 찾고 있던 책을 정확하게 고른 셈인데, 저자의 안내대로 '서양 철학의 무수한 갈래들을 일관성 있게' 정리하는 데 더할 나위 없이 충실하다.

 

첫 장에서 달리를 인용한 철학사의 가치는 이 책의 유용성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 같다. 철학사를 통해 어떤 시대에 어떤 지역에서 철학의 체계적인 생각들이 전개되었는지 알 수 있고, 어떤 곳에서는 일관성 있는 진보가 있었다면, 어느 지역에서는 왜 단절되었는지 탐구할 수 있으며, 독자적인 철학 사상을 창출하지 못한 연유도 알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과거와 현재의 사고 양태를 반성하고 비판함으로써 미래의 삶과 세계에 대한 개방된 자세를 계획할 수 있다고 단언한다.

 

책은 크게 그리스 철학, 중세 철학, 르네상스 철학, 근세 철학, 독일 관념론, 현대 철학의 6부로 구성되어 있다. 세계의 근본, 신과 윤리, 이성과 경험, 비판 철학, 실존, 언어, 정신분석, 실용주의, 사회주의, 실증주의, 해체, 포스트모더니즘 등을 관통하며 대표적인 철학자와 중심 철학 사상을 간결하게 정리한다.

 

가장 흥미로웠던 장은 아무래도 평소 잘 접하지 못했던 르네상스 철학 부분이었다.  쿠사누스는 우리의 일상적 인식은 피상적이고 부분적 인식으로 결핍된 인식이며 곧 무지로써, 무지의 지혜는 우리가 가진 온갖 지식을 포기하고 파악할 수 없는 방식으로 파악하는 것이 무지에 관한 지혜라고 설파한다. 또한 반대의 일치는 모사와 원화처럼 모든 현상적인 사물은 모사지만, 그 그원은 원화에 두는 일치라고 설명하면서, 반대의 일치에 접근하는 인간은 감각적이고 오성적인 앎에서, 반성의 차원에 이르고, 결국 반성의 반성을 통해 이성적 성찰, 즉 신적 통찰까지 승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파라켈수스는 현실 세계는 육체적, 영혼적, 정신적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세상의 모든 영역은 눈에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실체와 관계를 맺고 있어 각 영역에 따라 달리 치료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영적 건강의 개념과도 일선상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브루노는 세계의 구성요소를 단자로 규정하거나 물활론적인 사고를 통해 자연 과학 탄생의 기반을 닦았다. 뵈메는 수축과 분산으로 생기는 회전이나 진동을 통해 물질 세계가 성립하고 높은 단계에서는 사랑, 표현, 영원한 자연, 신의 왕국 등이 성립된다고 보면서 두 단계 사이의 갈등을 섬광으로 표현하고, 이 안에서 인간의 선택할 자유가 주어진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물질 세계에 만족하면서 일상 생활을 영위할 수도, 심연의 의지로 나아갈 수도 있다고 보았다.

 

한 번의 독서로 철학의 갈래을 정리할 수는 없지만, 다른 철학 서적을 읽으면서, 그 좌표와 갈래를 짚어내는 사전처럼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 또 특정 철학자의 핵심 사상을 요약해두었기 때문에, 다른 독서를 하기 전 샛길로 새지 않게 하는 울타리 역할도 훌륭하게 감당할 수 있는 책이다.

철학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원초적 힘은 의심과 경탄이다. 의심이 없는 곳에서는 어떤 문제도 제기되지 않는다. 문제가 제기되어 그것을 해결할 때 우리들은 경탄을 금할 수 없다....중략..과거의 철학사를 암기하는 것은 단순히 일상생활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철학 이야기‘를 의심과 겅탄 속에서 읽으면서 반성하고 비판할 때 ‘철학 이야기‘는 비로소 ‘철학함‘으로 새롭게 싹틀 수 있을 것이다 - P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