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32
켄 키지 지음, 정회성 옮김 / 민음사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권력의 작동 방식을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끊임없는 구별과 길들이기의 교차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현대사회에 적응한 정상적인 소시민으로써 살아간다는 것은, 해체해서 따지고 들면, 결국 딛고 사는 거대한 세계가 선사하는 구별의 경계선에서 운 좋게도 바깥이 아니라 안쪽을 점유했다는 것이며, 동시에 세계가 길들이는 방식에 놀라울 정도로 순응하며 살아낸 결과다.

 

이것이 켄 키지가 바라보는 정상인과 비정상인의 구별, 존재와 비존재로써의 인간을 이해하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그의 세계관을 집약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곳은 어쩌면 정신병동일 수 밖에 없다. 소설가는 환자를 '미쳤다'고 진단하고 '비정상'이라고 단정하는 대신, '다르다'고 보며, 그들에 의해 '낙인찍혔다'고 간주한다.

 

실제로는 들을 수 있고, 말할 수 있지만, 청각 장애인으로 치부된 브롬든은 인디언의 후손으로, 이 소설의 화자다. 그는 이 세상을 거대한 콤바인으로 이해하면서, 콤바인의 주된 기계적인 작동 원리에서 벗어난 사람들이 환자로 병동에 갇혀 있으며, 콤바인에 맞추어 길들여가는 것을, 그들은 치료라고 인식한다고 이해한다. 콤바인의 실질적인 권력자는 랫치드 수간호사로, 그는 의사의 치료 방향을 자신의 뜻대로 이끌어가는가 하면, 누가 전기치료와 뇌전두엽 절제술을 받을 것인지 결정적으로 증언하는 매개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끊임없는 통제를 생산해낸다. 병동의 가장 오래된 권력자 랫치드 수간호사 아래서 환자들은 웃음을 잃어버리고, 병동의 규칙에 순응하면서, 모두가 점차 상태가 악화되어간다.

 

그러던 어느날 작업 농장에서 싸웠다는 이유로 법정에 섰다가 정신병으로 판결 받은 맥머피가 병동에 입원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는 입원한 첫날부터 체온 측정을 거부하는가 하면, 병동의 집단 치료 과정을 힐난한다. 랫치드 수간호사와 교묘하게 대립하면서, TV 시청권을 연장하는가 하면, 여자들까지 끌어들이고, 의사까지 설득해 환자들을 데리고 합법적인 바다 낚시를 감행한다. 이에 맞서는 랫치드 수간호사는 다양하는 방법을 구사하는 데, 가령 맥머피가 단순하게 호의로 사람들을 돕는 것이 아니라, 돈을 따내며 자신의 이득을 구가하는 것이라는 관점을 제공하해 환자들을 분열시킨다. 거기에 환자들이 동요하면서 한때 고립되기도 하지만, 맥머피는 특유의 돌파력으로 분위기를 전환한다.

 

바다낚시에 다녀온 환자들을 소독한다는 명분으로 병동은 소란해지고, 이 과정에서 브롬든과 맥머피는 보조원들과의 몸싸움에 연루되어 중환자실로 옮겨져 전기치료까지 받지만, 맥머피는 좀처럼 굽힐 줄 모른다. 맥머피의 끊임없는 저항은 조금씩 환자들을 변화시키고, 브롬든 역시 스스로 자신이 커지면서 힘이 생겼다는 느낌이 든다. 이후 맥머피는 여자들을 병동까지 끌어들여 파티를 하게 되고, 술과 감기약에 취한 채 다음 날 발각되는 바람에 랫치드 수간호사에게 일격을 당하면서, 마침내 맥머피는 뇌전두엽 절제술을 받아 식물인간 상태로 병실로 돌아오게 된다.

 

브롬든은 맥머피가, 랫치드 수간호사를 필두로 한 콤바인에게 저항하면 어떻게 되는지 본보기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최후의 수단을 강구하고, 맥머피가 가르쳐준 대로 최대한 힘을 모아 제어반을 뜯어낸 후 병동을 탈출한다.

 

소설가는 우리의 존재 방식은 '저항'이어야 한다고 단언한다. 자신답지 못하게 살도록 제어하고 통제하는, 기계 같은 세상의 단단하고 교묘한 외관에 겁먹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권력의 중심에 균열을 내는 것은 콤바인에 동조하지 않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삶을 살아내는 그것. 그것이 최고의 힘이며 무기라는 것을 보여준다.

 

뚜렷한 주제의식 뿐만 아니라, 세밀하게 교차되는 다양한 감정선에 대한 묘사 또한 압권이다. 특히 브롬든이 전기치료를 받으면서 기억해낸 인디언 세계의 와해와 콤바인의 침습은 영화를 보는 것처럼 생생하다. 영화로도 훌륭하지만, 독서를 통해 소설가의 독특한 문체를 읽는 것은 또 다른 즐거움이 아닐까 싶다.

 

다른 환자들도 맥머피를 따라 하기 시작했다. 하딩은 수습 간호사를 보기만 하면 치근덕거리고, 빌리 비빗은 ‘관찰‘이라는 명목으로 타인에 대한 중상을 일지에 적는 일을 완전히 중지했다. 3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