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 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60
엔도 슈사쿠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답을 알려주는  방식 중에서 답을 직접 말해주는 방식과 답을 알아차리도록 인도하는 방식 중 어느 것이 더 깊은 여운과 깨달음을 줄까. 답이 신이라면, 답을 말해주는 종교와 답으로 안내하는 삶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엔도 슈사쿠는 스스로 질문하고, 스스로 답하는 방식으로 <깊은 강>을 집필한 것같은 생각이 든다.

 

신은 존재할까, 신의 존재가 인간에게 필요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마지막 장까지 읽고 나서야 그가 왜 자신이 죽거든 <침묵>과 <깊은 강>을 함께 묻어달라고 유언했는지, 감히 짐작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소설은 인도를 찾은 사연 많은 이들의 이야기가 주가 된다. 아내를 잃은 후 다시 태어나겠다는 아내의 유언을 기억하고 마뜩지 않으면서도 떠나온 이소베,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고 주목받기를 원하면서 젊은 날 오쓰를 유혹했지만, 이제는 다른 남자와의 결혼 후 이혼녀가 된 미쓰코, 늑막 유착에 폐렴까지 앓다가 죽음의 사선을 넘으면서 자신 대신 코뿔소새가 죽었다고 믿는 동화작가 누마다, 미얀마의 전장에서 살기 위해 동료의 살을 먹고 죄책감에 시달리다 마지막 위안을 받은 후 죽은 쓰카다의 동료 기구치, 어렸을 때부터 카톨릭 집안에서 자라 자연스럽게 신앙을 가졌지만, 오직 예수를 통해서만 구원받는다는 교리에 의문을 품고 파문당한 후 겐지스강에서 힌두교인들을 위한 장례식에 참여하다가 화난 민중들에 의해 죽어가는 오쓰. 여기에 다른 이들이 찾지 않는 인도의, 특히 죽은 자들의 생의 마지막 도착지 겐지스의 모습을 사진을 남겨 이목을 끌려는 철부지 신혼부부가 대비된다.

 

오쓰를 제외한 네 명의 이야기가 주를 이루지만, 작가의 대변인 격인 주인공은 미쓰코라고 할 수 있다. 미쓰코는 대학시절 바보같다 싶을 정도로 신앙을 지키는 오쓰를 유혹해 불장난같은 사랑에 빠져들게 한 후 이별을 선언함으로써, 그를 타락시키고, 신에게서-삐쩍마른 십자가의 젊은 남자, 양파-로부터 그를 빼앗았다고 자부한다. 신 따위에 매달리는 고루한 그를 아무렇지 않게 내친 후에는 영민하게 적당히 계산적이고 전략적인 결혼에 성공한다. 프랑스로 떠난 신혼여행에서 그녀는 남편과 각자 여행을 즐기자고 제안하고, 평범하고 무료한 일상 속에서 권태와 위선적인 결혼생활에 회의를 느끼고 남편을 독살하려한 <테레즈 데케루>를 떠올리며 신부가 되려고 유학 온 오쓰를 만나러 간다. 자신이 신을 버렸지만, 신은 자신을 버리지 않았다는 묘한 말을 하면서도 여전히 교리에 완전히 수긍하지 못하고 있는 어정쩡한 그를 만난 후 미쓰코는 신이 그를 다시 되찾아갔다고 느낀다.  이혼 후 인도에서 만난 오쓰는, 더러운 사창가 여자들의 장례까지도 도와줄 정도로 순전한 마음으로, 약하고 소외된 이들과 함께 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신부가 되지 못했지만, 오쓰는, 예수님이었다면 외롭고 처연한 이들의 처지를 도와줄 것이라는 확신을 갖고, 자신을 투신해서 그들을 돕다가 사소한 오해에 휘말려 죽음을 맞이한다.

 

인도 현지 무속인에게 속아 환생했다는 아내를 찾아가지만 도리어 실망하고 돌아오는 이소베, 전쟁의 참혹한 실상을 말하면서 겪은 아픔을 함께 나누고 싶어도 도무지 소통할 수 없는, 변해버린 세상에 마주선 기구치,  인도 현지에서 보답이라도 하듯 새를 사서 놓아주는 누마다의 모습은,  각자의 삶 속으로 스며드는 신의 존재 이유에 대한 답변처럼 그려진다. 각자에게 다른 이유로 필요한 신이지만, 겐지스에서 목도한 수많은 죽음 앞에 이르자, 그 너머의 시작을 위해서라도 신이 필요할 수 밖에 없다는 데 다다른다.

 

신이 아니라면 도무지 위로할 수 없고, 새롭게 시작할 수 없도록 하는 삶과 죽음의 교차로에서, 작가는 희미해져가는 영성을 되살리려 마지막 혼을 불태우는 것만 같다. 신은 존재라기보다는 손길이라고 표현하는 오쓰의 고백은, 박제화되어 저 멀리 있는 신이 아니라, 순간순간 함께 하는 따스한 그 무언가라는 작가의 생각을 대변한다. 명료하게 선언하고 당당하게 부르짖는 종교심에서 탈피해, 침묵하며 삶의 중심으로 들어가 묵묵히 신의 손길 아래 그의 도구가 되고, 그의 부활이자 환생이 되는 신앙이어야 하는 이유.  죽음의 끝에서 어쩌면 작가가 찾은 마지막 정답이었기에, 그는 잠잠한 기쁨으로 신 앞에 가져갈 최후의 선물로 이 작품을 택했으리라.  

다양한 종교가 있지만, 그것들은 모두 동일한 지점에 모이고 통하는 다양한 길이다. 똑같은 목적지에 도달하는 한, 우리가 제각기 상이한 길을 더듬어 간들 상관없지 않은가....중략, 그렇다면 자넨 어째서 우리들 세계에 머물러 있나? 선배한테 이렇게 타박을 받은 적도 있다. 그토록 유럽이 싫거든 냉큼 교회에서 나가면 되잖은가. 우리가 지키는 건 기독교 세계이며 기독교 교회이니까. 나갈 수 없습니다, 하고 오쓰는 울먹이듯 말했다. 저는 예수에게 붙잡혀 있습니다. - P2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