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든 - 완결판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 지음, 강승영 옮김 / 은행나무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 19 감염병이 던진 화두 중 하나는 우리 삶의 방식이 꼭 이렇게 허둥지둥 앞만 보고 달리는 모습이어야하나, 경제가 휘청이면 도대체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하나, 이 두 가지 질문 사이에서 솟아나는 갑작스럽고 불안한 당혹감이 아닌가 싶다. 산업화된,자본주의적 삶의 중심을 파고든 코로나 19의 역습, 생명과 경제가 맞붙은 전장에서, 불현듯, 몇 번이고 도전했지만 이상하게도 매번 끝까지 읽지 못하고 덮어버렸던 <월든>이 다시 읽고 싶어졌다.

 

매사추세츠 주 콩코드 월든 호숫가에 직접 오두막을 짓고 2년여의 삶을 살면서 소로는 다른 방식의 삶, 느릿하게 향유하면서도 훨씬 깊고 풍성하게 지어나가가는 생활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니까. 문명의 진보와 부의 축적 속에서 빈곤의 쇠락은 가속도가 붙고, 더 발전하고 더 부유해져야한다는 의식은 강박증처럼 사람들을 파고들어 불나방처럼 더 깊은 나락으로 빠져들어가게 한다는 통찰은, 역설적이게도 문명과 부에서 한참 멀리 떨어진 그의 낡은 오두막에서 그가 경험한 원시의 삶이 내어준, 정직한 활자들이 엮어낸 문장들에서부터 비롯된다.

 

그는 드라마틱하고 낭만적인 삽화들을 내세워 자신의 경험을 허세로 꾸며내는 대신, 면밀한 관찰과 풍부한 지성으로 고요하고 정적이지만 어느 누구보다 격정적이고 동적인 사상을 이끌어낸다. 욕심을 버리고 직접 집을 짓고 먹을 것을 기르며, 가령 빵제조법 같은 생활에 필요한 기술에 대해 스스로 익히고, 시간을 정해 평소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공부를 따로 하는 등 생태학적인 삶을 통해 우리가 꿈꾸어왔던 적확한 그 좌표를 짚어낸다.  

 

그는 30달러가 안되는 비용을 들여 오두막을 직접 짓고, 오두막 옆에 작물을 길러 8달러 남짓 이문을 남기면서 시간과 영혼을 팔아도 점점 더 가난해지고 있는 도심의 삶과 비교하지만, 문명에서 완전히 떠난 야생의 삶만을 강조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문명 속에서도 어떻게 야생의 삶을 살 수 있을까를 진지하게 고민했다고 판단하는 편이 더 옳을 것이다.

 

또 문명의 세계 속에서 숱한 소리를 듣고 있지만, 소리를 의식하지 못하는 우리의 모습을 들춰내면서 다양한 자연의 소리에 경청할 것을 강조한다. 숲과 호수를 통해 들려오는 자연의 소리, 철도와 교회 종소리의 조화 속에서 "보는 것"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듣는 것"에 귀기울여야 함을 강조하기도 한다.

 

소로는 오두막에서 혼자 살았으면서도 철저한 고립 대신 사람들과의 진실한 교류와 소통에도 큰 관심을 기울인다. 고독과 적막을 마주하였기에 그는 자신을 찾아오는 타인에 대한 진실한 배려, 소중함, 진정한 소통을 경험하는데,  숱한 사람을 만나고 빠른 관계맺기에 길들여져 있지만 더더욱 소통이 어려워진 우리에게, 그러므로 더 큰 울림을 준다.

 

겨울 호수의 측량을 계산한 대목, 콩을 쌀로 바꾸기 위해 콩을 싫어하면서도 농사일에 매달렸다거나 각종 동물과 식물의 생태와 분류를 기록한 장면, 겨울 난방을 위한 공사, 바른 독서에의 예찬 등과 관련한 꼼꼼한 기록을 읽다보면, 짧다면 짧았던 그의 생을, 단순한 물리적 시간들로 계산할 수 있을까 싶은 생각마저 든다.

 

문명과 야생의 경계에서 생각하고, 살고, 다시 살고, 생각하는 삶. 지속가능한 순환으로 이어지며 소박한 감사와 존재로서 온전히 채워지는 삶,  그러한 삶의 모습을 담백한 기록으로 더 깊고 더 넓게 펼쳐보인 그의 역량은, 어떤 숭고함마저 느끼게 할 정도다.

 

감염병 팬데믹의 공포 속에서 더 많은 발전과 더 빠른 개발을 위하여 야생을 잠식해나가는 문명의 광폭은, 그동안 수없이 놓쳤던 많은 것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 탐욕과 과시로 재현되고 축적되는 삶의 양태들. 잠시 멈춰서서 돌아봐야한다면, <월든>을 다시 읽는 데서 출발해야하지 않을까.

때때로 내 생활을 다른 사람의 생활과 비교하면 나는 분에 넘칠 정도로 신의 총애를 받는 것이 아닌가 생각하게 된다. 마치 아무도 지니지 않은 허가나 보증을 하늘로부터 받은 듯한, 신의 특별한 가호를 받는 듯한 기분 말이다...작은 잣나무 잎 하나하나가 나와 교감을 나누며 자라나고 부펄어 올라 우정의 손길을 뻗치는 것이 느껴졌다. 나는 황폐하고 쓸쓸해 보이는 풍경에도 깊고 생생한 인연을 느끼게 되었고, 나아가 자신과 가장 가까운 혈연관계에 있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 인간적이라 생각되는 것은 결코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이제 어떤 곳에 가더라도 위화감을 느끼는 일은 없으리라 생각했다. - P1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