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는 어떻게 지배하는가 - 세상을 조종해온 세 가지 논리
앨버트 O. 허시먼 지음, 이근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저자가 후기에서 밝힌 대로,  일부의 내용은 학회나 공개 강연, 세미나에서 발표된 것으로 언뜻 보기에는 가벼운 것 같지만, 정련된 논문을 읽은 것 같은 느낌이 드는 묵직한 책이다.

 

처음에는 단순히 보수의 레토릭을 분석해서 진보 진영이 대비할 수 있도록 정리한 류의 책이 아닌지 의구심이 들지만, 학술적 관심으로 시작된 만큼 말미에서는 보수에 대응하는 진보의 수사학도 자연스럽게 정리해낸다.

 

허시먼은 보통선거권의 확대, 복지국가의 실행, 프랑스 혁명을 고찰하면서 보수가 내세운 주장의 주요 수사 명제를 세 가지로 요약한다. 첫째, 역효과의 명제, 즉 오히려 본래의 취지에서 어긋나 정반대의 결과를 가져 올 것이라는 주장이다. 둘째, 무용 명제, 어떤 시도를 하든 결국은 기존의 체제나 문제점이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셋째, 위험 명제, 변화는 결국  지금까지 수호해온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협하게 된다는 주장이다.

 

그는 이러한 세 가지 수사적 기법은, 지난 200여년간의 역사적 사건과 일련의 과정을 통해 실제로는 잘못된 주장으로 입증된 적이 많으나, 사람들은 이들 수사학이 주는 매혹에 빠져서 본질을 꿰뚫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왜냐하면 개혁이나 변화가 그 목표를 이루지 못한 것으로 평가될 때는, 역효과론과 무용론은 정형화된 주장으로 이들 평가를 뒷받침했고, 발생 비용 또는 나타난 결과가 그로 인한 이득을 초과할 때는 위험 명제가 그 근거로 제시되면서 공고한 논리의 주축을 이루었기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따져보면 이들 세 가지 명제는 한 두가지가 서로 조합하면서 강력한 효과를 불러일으키기도 하지만, 양립 불가능한 경우도 보이는데, 수사학에 익숙하지 않은 대중에게는 이들이 마치 공존이 가능한 논리로 받아들일 수 있는 약점도 밝혀내고 있다. 가령 참정권을 확대해도  결국은 특정 기득권을 공고히 하므로 민주주의는 허상이라는 무용 명제와, 참여가 확대되는 민주주의는 자유를 위협하는 체제라고 주장하는 위험 명제는 서로의 취지를 손상시키게 된다. 즉 여기서의  무용 명제는 민주주의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고, 위험 명제는 민주주의는 체제로서 인정하는 주장인데도 불구하고 그럴 듯 하게 공생한다는 것이다.

 

마지막 부분에서 저자는 보수와 진보가 쌍을 이루는 수사학의 대립 명제를 만들었다. 보수가 계획된 행동은 비참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할 때, 진보는 계획된 행동을 하지 않으면 비참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보수가 새로운 개혁이 옛 개혁을 위험에 빠뜨린다고 역설할 때, 진보는 신구의 개혁은 서로가 서로를 강화시켜 준다고 주장한다고 설명한다. 또한 보수가 계획된 행동은 사회질서의 법칙을 바꾸려 하고 그것은 전혀 효과가 없다고 주장한 반면, 진보는 계획된 행동은 이미 굴러가고 있는 강력한 역사의 힘에 뒷받침되므로 거기에 맞서는 것은 쓸데 없다며 항변한다고 제시한다.

 

보수의 수사학을 훑으면서 그와 대립하는 진보의 수사학을 간단하게 정리한 저자의 진의는, 책의 결론 부분에서 절정을 이룬다. 그는 각 진영의 수사학을 진지하게 다루어야하는 가장 큰 이유로, 정형화된 수사학에 대중이 매혹당할 때, 토론과 토의를 통해 실제로 짚어내야할 그 문제의 쟁점과 본질은 사라지고, 껍데기 논쟁만 증폭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간단하고 명료한 수사학을 압축한 정치인의 허상같은 주장에 맹목적으로 추종할 때, 그야말로 순식간에 민주주의의 주요한 틀들이 무너질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단단하고 복잡한 논리로 무장한 논쟁이 아니라 풍자와 모욕, 경쟁과 비하를 앞세우면서 몇몇 수사학으로 지난 200여년의 주요 정책들이 사회적, 학문적 논란을 겪었던 점을 상기한다면, 이 책이 주는 가치는 더더욱 크고 깊을 수 밖에 없다.

과거의 살육적이고 비타협적인 담론에서 보다 ‘민주주의 친화적‘인 종류의 대화로 가기 위해 밟아야 할 길고 험난한 노정이 남는다. 이 원정을 떠나려는 사람들에게, 사실상 대화와 논의가 불가능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고안물인 논쟁 같은 몇 가지 위험 신호에 대해 아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