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년의 고독 1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4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조구호 옮김 / 민음사 / 1999년 10월
평점 :
책을 읽고 나서 이 책을 읽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깊은 안도감에 가슴을 쓸어내리는 경험은 여간 겪기 어려운 경험이다. 표면의 겉만 핥으면서 확장된 세계를 인지하지 못한 어리석음조차 깨닫지 못했다면..순식간에 차오르는 두려움은 서늘할 정도.
활자는 일차원적이고 관찰가능하며 구획되었던 세상을 걷어내고 다차원적이고 혼란스러우며 하나로 통합되는 세계의 극한까지 단숨에 밀어넣는다. 현실과 환상은 뒤섞이고, 죽음은 삶과 공존하며 근친간의 깊은 사랑은 극한의 고독과 맞닿는다.
아들이 아버지가 되며 어머니가 딸이 되는 것 같은 라틴 아메리카 특유의 명명 방식은 부엔디아 가문 6대까지 내려가면서 과거와 현재, 미래까지도 중첩시킨다. 시간과 공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죽은 자와 산 자가 함께하며, 부활과 침잠이 동시에 너울대는 이야기를 쫓다보면 우리의 단선적인 세계관이 흠씻 부끄러워질 정도다 .
소설은 호세 아르까디오 부엔디아와 우르슬라가 돼지꼬리 아이를 낳을까 걱정하던 중에 쁘루덴시오를 죽인 후 도망치고, 이후 마꼰도를 세우게 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호세 아르까디오 부엔디아가 던진 창에 목이 뚫려 죽은 그가 버젓이 살아서 호세 집안을 돌아다는가 하면, 유토피아같은 마꼰도에 문명의 도구를 하나씩 가져오는 의혹짙은 멜키아데스까지 등장하면서 서두부터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시킨다. 죽음에 대한 애도도, 두려움도 없이 죽은 자와 함께 사는 부엔디아 가문의 일상은 너무나 자연스러워서 생경할 정도다.
소설의 주인공격인 아우렐리아노 부엔디아가 소녀 티를 벗지 않은 레메디오스와 결혼하게 되고, 선거 결과가 아니라 군인들이 빼앗은 부엌칼들을 되돌려주지 않는 모습에 분노하여 마침내 식칼과 날 세운 쇠붙이로 무장해 정부 수비대에 맞서 반군을 조직하는 장면은 우스꽝스러우면서도 작가의 날카로운 현실 인식을 잘 보여준다. 혁명은 마치 거창하고 고매한 목표로 시작되는 것 같지만, 실상은 사소하고 희극적인 요소가 방아쇠로 작동될 수 있음을 엿보게 한다.
성에 대한 집착과 근친상간은 부엔디아 가문의 6대를 관통하는 주요 서사로 작동하는데, 단절되었던 마꼰도가 서서히 개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랑은 가문 언저리를 벗어나지 않는다. 마꼰도 와해의 원인은 외부 침습과 더불어 근친상간에의 몰입이 한 축을 담당한다. 더 깊이 사랑하면 할수록 더 고립되어 폐허를 앞당기는 가문의 저주는 100년만에 사라지는 마꼰도의 운명을 예견하면서도, 동시에 소설에서 사라진 부엔디아 가문이 고독 속에서도 통째로 어디선가 다시 부활하여 생을 이어나가리란 단서가 되기도 한다. 이런 의미에서 부엔디아 가문의 근친상간은 비극적 한계이면서 동시에 희망적 가능성이기도 하다.
<백년의 고독>에서 그려지는 여성들은 부엔디아 가문의 조연이 아니라 또다른 주연으로 그려진다. 우르슬라는 죽은 호세 아르까디오 부엔디아를 부양하는가 하면, 아우렐리아노 부엔디아 대령의 잔인한 폭정을 단숨에 제압하기도 한다. 부서져가는 마꼰도에서 카톨릭 의식을 고집스럽게 지켜가기도 하고 노화로 육신의 눈이 쇠하여지지만, 또 다른 시력을 확장해가며 지치지 않고 집안을 일으켜 세운다. 그녀는 근친상간으로 낳은 아이들까지 거두면서 무너져가는 마꼰도의 이면에서 가장 일상적인 모습으로 가장 혁명적인 생의 전투를 치뤄내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레베까, 삘라르 떼르네라, 산따 소피아 델 라 삐에닷, 레메디오스, 뻬뜨라 꼬떼스, 페르난다, 미녀 레메디오스 등은 질투와 사랑, 무지와 통찰, 성과 무성의 경계를 넘나들며 부엔디아 가문의 흥망성쇠를 엮어나간다.
<백년의 고독>은 단선적이고 예견가능하며, 합리적인 것에 천착하는 우리의 세계관이 얼마나 빈약한지 잠잠히 고발하면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닫힌 것과 열린 것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휘장을 뚝뚝 걷어낸다. 부서지고 무너지는 폐허의 세계가 실상은 세워지고 회복되는 부활의 세상이라니. 문학적 성취는 무엇이어야하는지 활자로 보여준 작가의 천재성과 성실성에 새삼 감사하다.
충분히 현실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현실을 실제의 삶보다 더욱 폭넓게 수용하고 있는 가르시아 마르케스에게 현실이란 개인 심리적, 사회적, 수평적, 역사적, 외면적 측면뿐 아니라 집단 심리적, 민화적, 미신적, 환상적, 추상적, 수직적, 탈시간적, 내면적 측면까지 포함한다. 바꾸어 말하면, 죽음의 세계는 삶의 세계와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 공존하며, 부재와 현존은 한 사물이나 현상의 동시적 속성이며, 환상과 실제 사이에는 경계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진정한 의미의 현실은 불가시적 세계로 둘러싸인 포괄적인 전체를 뜻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