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싯다르타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8
헤르만 헤세 지음, 박병덕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싯다르타>는 일상의 지겨움과 나태함을 정면으로 반격하면서, 일상성을 위대한 깨달음과 단숨에 연결시키는 미덕을 지녔다.
주인공 싯다르타는 삶의 진정한 의미를 되찾고자 유일자인 아트만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지 고민하며 친구 고빈다와 함께 고행자의 무리들에 합류한다.
싯다르타는 사문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자아를 버리는 목표를 추구하지만 여의치 않자 해탈의 경지에 오른 고타마를 찾아 나선다. 부처의 경지에 오른 고타마를 만나 가르침을 받지만, 고타마 자신이 성취한 해탈의 경험은 결코 언어로 배울 수 없다는 점을 깨닫고 고타마도 떠나게 된다.
이후 싯다르타는 카밀라를 만나 부와 권력을 쟁취하고 육체적 즐거움에 몰입하면서 인생의 기쁨들을 만끽하며 깨달음을 추구하지만, 여전히 자아를 버리고 아트만과 일체화될 수 없음을 깨닫게 된다. 결국 카밀라를 떠난 싯다르타는 배움 짧은 뱃사공의 조수로 살아가게 된다.
싯다르타는 끊임없이 흐르지만, 늘 동일한 물인 강물을 바라보면서, 카밀라에게 얻은 아들을 직접 키우면서, 생의 의지대로 각성하지는 못했더라도 삶의 본능에 충실한 사람들을 마주하며 아트만과 하나가 되는 일체성을 경험하게 되고, 모두와 하나가 되는 체현 과정을 겪는다. 비록 깨달음이 없어도 주어진 일상에서 최선을 다하면서 아트만과 온전히 통합되는 사람들을 보면서, 마침내는 하나의 얼굴이었다가 모두의 형상으로 흘러가며 다시 하나로 모아지는 범아일여의 경지를 마주한다.
죽고, 살고, 만나고, 헤어지고, 성장하고 늙어가는 그 모든 것이 단일성과 동시성을 갖는다는 싯다르타의 마지막 고백을 통해 헤세는 따지고, 나누고, 인식하고, 분절하는 서양적 사고에 균열을 내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확신하게 된다. 인식과 삶이 하나가 되도록 통합시키는 일상성의 회복을 통해 삶의 위대함과 깊은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는 작가의 결연한 의지와 더불어 흐르는 강물처럼 끊어지지 않고 유려하게 이어지는 문장의 아름다움에 대해서도 감탄하게 되는 작품이다.
이 돌멩이는 돌멩이다. 그것은 또한 부처이기도 하다. 내가 그것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까닭은 그것이 장차 언제가는 이런 것 또는 저런 것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은 이미 오래전부터 그리고 항상 모든 것이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