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발, 자신을 비워 세상을 담는다
타니 아키라, 신한균 지음 / 아우라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가까이에 너무 많이 있어서 너무나 잘 알고 있다면 우리는 그 진가를 놓치기 일쑤다. 일찍이 공자의 마을에서는 공자가 성현이 될 줄을 몰랐으며, 중국의 어떤 황제는 세기의 명작을 낸 장인을 죽여 그 작품의 진가를 드높였다 한다.
  흔해서 그 아름다움을 당연시 여기고 망각하는 것들이 있다. 우리의 사발도 그런 경우이다. 우리 것의 아름다움을 일본인들이 먼저 발견했다는 것이 안타깝지만 이런 사실을 상기해보면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인 것 같기도 하다. 진짜 속상하는 것은 다음 대목이다. 우리는 그 아름다운 물건들을 보존하는 데에도 그 물건을 만드는 법을 전수하는 데에도 소홀했다는 것이다. 일본에서 국보로 지정된 우리의 사발들. 일본은 우리에게서 배워간 도자기 기술을 보존하고 전수하여 찬란하게 피워냈다.
  이 책의 좋은 점은 많이 실린 작품의 사진이다. 특히 일본에 있는 개인소장품과 미술관 소장품들은 우리가 쉽게 볼 수 없는 귀한 자료들이라서 값지다. 작품의 사진을 찍고, 필요에 따라서는 문양이나 굽 등의 부분 사진을 보여 주고 있어서 사발 감상의 포인트를 배울 수 있다. 사발의 형태에 따라 붙이는 명칭이나, 역사적 시기와 가마터에 따른 양식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도 전문적이다. 사발의 형태에 따라서 그 쓰임을 유추해보고, 우리의 차문화의 숨은 역사를 다시 써보는 작업도 의미가 깊다.
  우리 땅이름을 이름 속에 숨기고 일본에 남아있는 사발들이 자랑스럽기도 하고, 우리의 것을 명품으로 인정하며 보존해준 일본에 한편 고마움도 느낀다. 우리 땅에 있는 사발들은 사금파리 조각들이 되어 다시 우리 땅 속에 묻힌 지 오래이기 때문이다.
  우리에게는 삶의 일부여서 그저 막사발이 되었던 그릇들, 일본인들에게는 성城 하나와 바꿀 정도로 귀한 물건이었던 이도다완. 우리 흙으로 우리 손으로 빚었으나 다른 땅에 가서 이름을 얻은 그릇들. 이제 다시 우리 손으로 빚어서 우리 이름으로 유명해졌으면 한다.
  요즘 막걸리가 좋은 술이라며 새로운 조명들을 하고 있는데 막걸리를 담아 마시기도 했던  우리의 사발도 함께 조명하는 작업을 하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