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일곱 살의 털] 서평단 알림
열일곱 살의 털 사계절 1318 문고 50
김해원 지음 / 사계절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일곱살의 털, 제목이 묘한 분위기를 풍기지만 이 책에서의 털은 사실은 머리털이다. 책의 내용은 주인공 송일호가 고등학교에 입학하면서 학교의 두발규정과 과도한 두발규제에 불만을 품고 벌이는 이야기들이다. 그의 이야기와 맞물려 달라져가는 시대와 달리 아직도 고리탑탑하게 막혀있는 학교의 현실이 나온다. 그리고 놀랄만큼 변한 사회와 놀랄만큼 변하지 않은 학교 이 양극의 세계를 오가는 우리네 청소년들의 모습이 그려진다.

  두발규정에 대한 반항심이 모든 사건의 출발점이 되지만, 사실 이 글에서 털이 머리털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성인이 되어간다는 신호의 하나로서 우리들 청소년의 성장의 상징이기도 하다. 이미 머리가 굵어져가고 있는 청소년들과 그들의  머리털을 규제함으로써 그들의 정신적 성장을 잠시 유예시켜두고 그저 학업에 몰두하는 공부기계를 만들고 싶은 어른들의 행태에 대한 고발이기도 하다.

  주인공 일호는 머리털 때문에 이같은 일을 벌이기는 하지만 사실은 자의식의 깨어남이며  성장을 위한 고통이다. 자신의 생각을 찾고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해가는 과정이다. 

  조선말기에 단발령을 수행한 우리나라 최초의 이발사의 후손인 송일호는 늘 할아버지가 단정하게 깍아주는 머리모양을 하고 있다. 그 덕분에 학교에서 모범적인 머리모양의 모델이 되기도 하지만 역시 그 것때문에 아이들의 이상한 시선을 받기도 한다. 그러던 어느날 교사의 잔혹한 두발규제에 울분을 이기지 못하고 규정에 어긋난 두발을 한 아이를 구타중인 교사를 밀치면서 사건은 시작된다. 다음에는 짐작할만한 과정들이 이어지면서 책은 지지부진하게 진행되는 듯 보인다. 그러나 십칠년만에 나타난 일호의 아버지의 등장과 함께 책은 지루함과 구태의연함을 벗어나고 아이들의 꿈처럼 높이 내달리기 시작한다.

  정작 이 책에서 억눌린 일호를 대신해서 시원스러운 말을 해주는 사람은 일호의 아버지이다. 그런가하면 일호의 할아버지 역시 행동으로 누구보다도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다. 일호의 할아버지가 젊은 이발사였을 때 두발규제에 불만을 품고 머리에 별모양을 새겨달라고 했던 학생이 바로 그 학교의 교장선생님이 되었던 것이다.  

  변화와 자유에 대한 열망이 있는 청소년의 현실과 40년 전의 자신의 열망마저도 잊고 과거에 집착하는 선생님들, 어른들이 대조되면서 우리 사회의 세대간의 사고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면서 또한 가능한 화해의 지점을 보여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