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드기는 송장벌레 등에 타고 옮겨 다녀요 - 이동공생.도둑기생 공생과 기생 4
키어런 피츠 지음, 김승태 옮김 / 다섯수레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생과 기생에 대해서만 시리즈 책을 기획할 생각을 하다니 대단하다.
  <공생과 기생 시리즈>의 4권인 이 책은 이동공생도둑기생에 관한 것만을 모았다.

  이동공생에서 이용당하는 동물은 운반동물이라고 하고, 운반동물에 의지해서 옮겨다니는 동물을 편승동물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캐리비안암초상어에게는 빨판상어가 편승한다. 점무늬도룡뇽에게 편승하는 동물은 돌거머리이다. 송장벌레에 편승하여 사는 진드기는 송장벌레가 알을 낳을 수 있는 동물의 사체를 미리 청소해주기 때문에 서로 이득이다. 이런 것을 상리공생이라 한다.

  상리공생은 행복한 경우지만, 운반동물의 먹이나 새끼 또는 알을 노리는 사악한 편승동물도 있다. 자칼파리는 파리매의 먹이를 훔친다. 가뢰애벌레는 벌의 알과 꿀을 훔쳐먹는다.

  도둑기생하는 동물들은 아예 훔쳐먹고사는데 이골이 난 녀석들이다. 퍼핀의 먹이를 낚아채는 도둑갈매기나 펠리컨의 부리 안에 든 물고기를 훔쳐가는 검은 제비갈매기가 바로 그런 녀석들이다.

  화질이 높고 선명한 사진들이 섬뜩할만치 정확하게 다른 생물에게 기생하는 동물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책 중간중간 나오는 그림도 세밀도가 사진을 능가한다.

  생물들의 또다른 형태의 생존전략인 공생과 기생을 알고 나서, 아이들은 지구상의 모든 생물들이 서로서로 관계를 맺고 영향을 끼치며 살아간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책 마지막에 <직접해봐요>에서는 도둑기생하는 더부살이거미를 왕무당거미줄에서 발견하고 관찰하는 법을 소개하고 있다.
  또 <낱말풀이>가 있어 책 속의 어려운 용어들을 한 페이지에 정리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