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이 온다 - 서해 염전에서 나는 소금 어린이 갯살림 4
도토리 기획 엮음, 백남호 그림 / 보리 / 200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여러 염전을 취재하여 만들었다는 책이니 만큼 염전에서 염부들이 사용하는 그들만의 언어로 표현하고 있는 점이 좋았습니다.
  염전에서만 사용하는 여러 가지 기구는 물론 소금창고의 모습, 비가 오면 소금은 어찌하는지가 모두 나와 있어서 소금이 되는 과정에 대한 궁금증이 모두 풀린답니다.   

         이야, 소금꽃이 많이 피었네.
         바닷물이 마르면서 소금 알갱이가 엉겨붙었어.
         소금꽃이라고 해
         소금이 오기 시작한 거야.
         소금꽃이 점점 커지는 걸 소금이 살찐다고 해.(p.10)

  아름답지요. 한편의 시 같습니다. 소금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모습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학교에서 돌아오는 길에 아빠가 일하시는 소금밭에 들른 두 소녀가 책을 읽는 친구들에게 친근한 어조로 말하고 있지요.
  책가방을 매고 소금밭을 가로질러 달리는 소녀들을 따라 소금창고에도 갔다가, 소금창고 앞 갯고랑에도 들러볼 수 있습니다. 엄마가 조개를 캐시는 갯벌에도 갑니다.
  저녁 붉새가 맑은 하늘을 뒤로 하고 집에 돌아옵니다. 노곤한 하루 일을 마치고 옆집이 소금을 낸 기념으로 조개와 고기로 이웃들이 모여서 달디단 저녁을 먹습니다.

  모든 음식에 간을 해먹는 우리는 소금을 매일 먹고 삽니다. 그런데 소금이 어떻게 나오는지 알고 있는 어린이들은 몇 되지 않아요. 그래서 이런 책이 필요합니다. 취재를 도와주신 분들의 성함도 실명으로 모두 싣고 있어서 더욱 믿음이 갑니다.^^

  염전이라는 말은 들었지만 소금밭이라는 것이 어떻게 생겼고, 정확하게 어떠한 과정을 거쳐 소금이 모이는지 잘 몰랐었다며 우리아이들이 아주 신기하게 여러 번 책을 넘겨보았답니다. 바닷물이 소금이 된다는 것이 신기하고, 소금밭에 장화를 신고 들어가는 것이 이상한지 물어봅니다. ‘우리가 먹는 소금에 장화를 싣고 걸어다니는 거예요?’ ㅎㅎ
  마지막 페이지의 고기를 구워먹는 장면에서도 아이들은 역시 깜짝 놀랐습니다. ‘그런데 지붕을 뜯어내서 고기를 구워먹는 거예요?’ -‘흠흠... 그건... ’ 한참 설명이 필요했지요.--;
  이젠 소금밭의 모습이나 소금창고의 모습을 실제로 보고 싶다고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