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괴된 사나이 - 새번역판 그리폰 북스 6
알프레드 베스터 지음, 김선형 옮김 / 시공사 / 2003년 12월
평점 :
품절


오래 전에 어떤 이로부터 당신은 문체주의자 같아, 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문체라는 것이 작가가 어떤 사상을 표현하고자 할 때 그것을 표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 중 어떤 특정한 것을 취하는 방식, 즉 문체는 곧 의미의 用이다, 라는 이론에 기댄다 하더라도 그 말에 무덤덤하게 반응하지 못했던 것은 나 자신의 한계를 누구보다 내가 절실히 깨닫고 있었기 때문이다. 조경란이 여성의 심리를 섬세히 묘사하고 안정된 문장과 빼어난 문체를 지닌 작가라는 평가를 받는 한편 ‘일상 너머의 좀 더 커다란 세계에 대한 관심의 배제, 신경질적일 정도의 내면 지향, 서사의 부재와 탐미적 문체주의에의 몰입 등’의 한계를 지적받는 것과 같다. 세계와 서사의 부재는 분명 내가 넘어야 할 부분이다. 또한 그것은 내가 ‘사랑’이라는 비가시적이고 다분히 주관적인 체험과 한시적인 감정에서 벗어날 때라야만 극복할 수 있으리라는 자각 탓에 더욱 절망적이기도 하다.

앨프리드 베스터는 Pyrotechnic이라는 새롭고 감각적인 문체로 독자를 어리둥절 매혹한다. 언어에서 의미를 배제함으로써, 비로소 언어는 생기를 되찾고 그것 자체로 활기를 지닌 채 독자와 소통한다. 역자인 김선형은 베스터의 이런 표현 방식을 ‘무의미한 언어 놀음’이라 부르며 ‘언어가 세련된 수사와 비유를 통한 고급한 사유의 매개일 때만 가치 있는 건 아니라는 사실. 언어는 가지고 놀고, 즐기고, 뒤틀고, 또 리듬처럼 탈 수도 있는 것’이라고 지적한다.

이런 ‘놀이’로써의 언어 사이에 매력적인 두 남성이 등장한다. 50년대 미국 문화에 단골로 등장하던 마초이즘이 베스터맨이라고 불리는 두 남성에게서도 발견된다. 마너크의 총수인 벤 라이히는 타락한 군주다. 그럼에도 그럴싸한 외모와 대담함과 지적이면서도 인간적인 불안함을 표출하는 것으로 독자를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인다. 라이히는 독심술사(에스퍼)들로 인해 폭력과 살인이 사라진 24세기에 살인을 도모하고 그것을 감행한다. 라이히를 추적하고 그와 팽팽한 심리전을 벌이는 에스퍼 경찰 링컨 파웰 또한 유머러스하고 지적이며 카리스마 넘치는 행동으로 여성을 사로잡는 남성성(물론 이것은 글이 쓰여진 당시의 관점이다. 21세기에 마초이즘을 내포하는 남성이 환영 받을 리 없잖은가)을 지닌 인물이다.

추리 소설임에도 추리 소설적인 기법을 뒤엎고, 라이히가 살인을 음모하고 경쟁사의 총수를 살해하는 장면을 낱낱이 폭로하는 것으로 소설은 시작된다. 그런데도 전혀 흥미를 반감시키지 않고 독서를 몰고 가는 것은, 심증은 있지만 물증은 없는 상태에서 파웰이 라이히를 추적하고 옭아매는 과정과 그 올가미에서 교묘히 빠져나가는 라이히의 행적이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기 때문이다. 파웰이 살인의 의도라고 생각했던 것은 라이히의 기소를 좌절케 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정작 살인은 ‘얼굴없는 사내’로 상징되는 라이히의 분열된 자아로 인해 파생된 것이다. 이 부분에서 베스터는 프로이드의 무의식 이론을 차용한다. 하지만 다시 역자의 말을 빌어 ‘프로이트 심리학이 아무래도 너무 곧이곧대로, 직설적으로, 기계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따분한 느낌을 지울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더불어 거듭되는 재미와 놀라움에도 불구하고 결말 부분에서 심드렁해진 것은 ‘파괴’라 불리는 라이히의 종말이 사실은 파괴가 아니라 ‘갱생’이라는 점이다. 자아가 재구축되는 것이, 라이히를 끊임없이 긴장하게 하고 새로운 범죄를 의도하게 하는 ‘두려움’으로 작용했다는 것은 조금 억지스러운 것 아닌가. 재미있게 읽었다만 책값이 너무 비싸다. 만천 원이나 하다니!

헌데, 끌어당기는 남자 보다 외면하는 남자에게 관심이 더 가는 것은 아직도 마초성에 대한 고전적 그리움이 잠재해 있다는 것일까. 아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