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쩍하는 황홀한 순간
성석제 지음 / 문학동네 / 200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아주 달게 유쾌한 사람과 마주 앉았던 적이 언제였던가, 생각해 보았다. 터무니 없이 오래 되어 기억을 더듬는 것조차 녹녹찮지만 생각건대, 내가 사심없이 달고 경쾌하게 웃을 수 있었던 것은 상대에 대한 호감과 경외와 무한한 우정과 사랑이 존재했을 때라야만 가능했던 것 아닐까 한다. 그럴 때 마음은 휴지처럼 풀어져 무방비 상태가 되며 어떠한 경계 경보로도 조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그렇게 느슨한 무위에 던져지는 말 한 마디는 그것 자체로 존재감을 지니는 것이어서 흐뭇하기 그지 없다. 예컨대, 웃음은 대상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향해 품게 되는 자신의 감정의 빛깔 여하에 달렸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나는 ‘성석제’에 대해 어떤 감정을 품고 있었는가. 아무리 생각해도 입담 좋은 글쟁이,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을진대 이상하게도 그의 유머는 달다 못 해 혀끝이 아리기까지 하다. ‘번쩍하는 황홀한 순간’, 제목만 놓고 보자면 아, 이 치가 느즈막이 남여상열지사의 도라도 깨친 것일까 오인할 수도 있겠다. 그리고 ‘성석제 소설’이라는 표지에 박힌 글자로 황홀한 플롯을 기대했다가는 낭패를 당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책은 에세이라 불러도, 엽편이라 불러도 될 성 싶게 짤막한 이야기 서른 두 편으로 묶여 있다. 도시를 버리고 낙향한 화자의 렌즈에 잡힌 농촌 사람들의 일상이 유쾌, 통쾌, 상쾌하게 펼쳐져 있다. 책장을 넘기다 보면 온갖 형태의 웃음에 대한 의성어를 경험하지 않을 수 없다. 낄낄거리다가, 키득이다가, 크 하고 입 언저리의 변죽을 울리기도 하고 하하하 박장대소 하기도 한다. 하지만 성석제가 어디 웃기기만 한 인간인가. 손 닿지 않는 곳을 벅벅 긁어주기도 하고 아주 잘 여문 솜씨로 꼬집거나 찌르기도 한다.

책을 덮고 생각한다. ‘유쾌한 글 읽기’와 더불어 ‘유쾌한 연애 하기’, ‘유쾌한 삶 살기’에 도전해 보자고. 냐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