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년의 고독 1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4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조구호 옮김 / 민음사 / 1999년 10월
 평점 :  
     
 
        
            
            
            
            
            
            
            
2004년 1월 14일 읽고 쓰다
 
꽤 오랫동안 읽기를 별렸던 책이다.
제목이 주는 묘한 울림땜에 그랬을 것이다.
아주 오래전에 백년동안의 고독속에서 몸부림치는 어느 마법사의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마법사는 사막에 있었다. 그는 너무나도 외로웠다. 그래서 일주일안에 누군가가 찾아온다면 그에게 많은 부를 주겠다고 다짐했다. 아무도 찾아오지 않았다. 다시 마법사는 한달 안에 누군가가 찾아오다면 영생을 주리라 다짐했다. 아무도 오지 않았다.마법사는 그렇게 일년, 10년, 100년하는 식으로 누군가에게 이 세상을 주겠다고 하면서 외로움을 견뎌냈다. 하지만 아무 오지 않았다.
그러자 마법사는 이제부터 자기에게 오는 누군가는 죽여버리겠다고 다짐한 순간, 누군가가 다가와서 그에게 말을 걸었다.
...내가 읽었던 그 책에서 두 아이가 이 이야기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나온다. 한 아이는 저건 하나님의 잘못이라고 애기한다. 만약 하나님이 계시다면 마법사를 저런 심한 고독속에 방치하는 것은 옳지 않으며, 하나님은 사람들이 자신보다 마법사를 더 좋아할지 몰라서 질투했던 거라고 독하게 말을 뱉는다.
다른 한 아이는 그냥 외로움이라는 게 참 크구나..무섭구나..그런 식으로 이해하면 안되는 거냐고 앞의 그 아이에게 애기한다.
뭐..그런 이야기.
그래서 나는 이 제목을 봤을때 그런 식의 이미지를 생각했었다.
내가 태어난 해에 노벨문학상을 받은 이 소설은 활기를 잃어가던 소설세계에 큰 지향점을 던져준 소설이라고 한다. 재미있는 지어낸 이야기의 재등장...이라고 해야하나?
이야기는 부엔디아 집안의 100여년의 역사를 담고 있다. 마법적이고 연금술적이며 바람이 심하게 불면 다 바스라질 것 같은 양피지위에 덧댄 그런 이야기.
꿈과 마법 등이 공존한 세계위에 회색빛이 한번 덧칠해진 것같은 분위기였다. 신비스럽되 그 신비스러움의 색이 총천연색이 아니라 조금은 지치고 낡은 바람이 불 것같은 이야기 였다.
근데 왜 고독일까?
부엔디아 사람들은 나름대로 100년동안을 번잡스럽고 열심히 살아가는 데..물론 그 안에 근친상간과 뭐..이것저것 등등이 맞물려있긴 하지만..
읽는 동안 화가 났던건 이 사람들 이름이 거의 비슷하다는 거다..ㅠㅠ
아버지의 이름을 자식이 물려받고, 할머니의 이름을 손녀가 물려받고...물론 그 이름 같은 사람들은 나름대로의 공통점이 있어 불운한 가문의 역사를 대대로 이어간다.
평을 읽어보면 "마술적 리얼리즘"을 극치를 드러낸 라틴 아메리카 이야기라고 나온다.
마술적 리얼리즘....맞다.
이 이야기가 라틴아메리카의 전후 사정과 맞물려가면서 알게모르게 사실이라고 느껴진다. 하지만 1970년대에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을까하는 마술같은 상상력의 느낌도 동시에 든다.
오랜만에 3일내내 손에 잡고 있었던 책이었다. 결말부분이 못견디게 궁금했었다. 사람들은 열심히 살고 그리고하고 살을 섞고 고독을 견디고 그러면서 살아간다.
[...그리고 어느 곳에 있던 지 과거는 거짓이고, 추억은 되돌아오지 않는 것이고, 지난 봄은 다시 찾을 수 없고, 아무리 격졍적이고 집요한 사랑도 어찌되었든 잠시의 진실에 불과하나는 사실을 항상 기억할 것을 권고하고 말았다..]
-2권 286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