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슬픈 창녀들의 추억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송병선 옮김 / 민음사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6년 5월 10일 읽고 쓰다

 

스스로를 속이는 자는 아무도 없소

당신의 기다림이

당신이 보았던 시간보다

더 오래 지속되리란 것을 생각하오.

모든 것이 그렇게 흘러갈 것이기에."

-42p

 

글을 쓸 일이 없을 때에도, 수많은 사랑이 나를 스쳐 지나가도록 

내버려두었더 그 여유로운 마음가짐으로 매일 아침 책상을 정리한다.

-46p

(나의 미래가 이러한 느낌이기를)

 

나는 내 사랑이 될 수 있었으나 그러지 못했던 모든 사랑들로 목이 메였다.

-73p

 

노래하지 않는 사람은 노래하는 행복이 어떤 것인지 상상할 수도 없다

-82p

 

각각의 물건은 그것이 있어야 할 자리에 있어야 하며, 각각의 일은 일의 성격에 맞는 시간에 처리해야 하고, 각각의 단어는 그 나름의 적절한 문체가 있다는 나의 강박관념은 질서 정연한 정신에게 주어지는 상이 아니라, 내가 근본적으로 무질서하다는 것을 숨기기 위해 스스로 만들어낸 위장술이었던 것이다. 또 매일 규칙적으로 생활하는 것도 미덕이 아니라 게으름에 대한 반작용이었다. 야박한 심성을 숨기기 위해 인자한 척하고, 그릇된 판단을 숨기기 위해 신중한 척하고, 쌓은 분노가 폭발할까 봐 화해를 청하며, 타인의 시간에는 무관심하다는 걸 들키지 않으려고 시간을 엄수한다는 사실도 깨달았다.

-88p

(이 문단에는 쉼표가 너무 많아~ 원문이 그랬나?)

 

그것은 단장을 하고 옷을 입고 향수를 뿌리는 것은 누군가를 위해서라는 사실을 사랑이 너무 늦게 내게 가르쳐주었기 때문이며, 나는 그런 누군가를 가져본 적이 한 번도 없었다.

-110p

 

내 마음대로 해라. 올해 아니면 백 년 내에 반드시 죽은 몸이 되리라.

-142p

 

 

불친절한 책.

친절한 역자의 해설.

사랑은 상호적이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하는 사람의 옆에 있으면서 그를 느끼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이야기라고.

 

 

마르케스의 이야기를 오랜만에 읽었다.

행간의 의미폭이 너무나도 커서 따라가며 이해하기는 힘이 들었지만 마르케스라는 그 이름만으로 손이 갔던 그런 책.

위대한 작가는 이런 것인가?

축복인가, 아니면 형벌일까?

<백 년 동안의 고독> 이라는 마술적 리얼리즘 소설 이후

그의 모든 소설은 그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한다.

작가의 글 성향을 알고 있다는 것은-읽는 내내 그 테두리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어떤 의미인지 다시금 생각해본다.

 

1928년에 태어나 1982년에 노벨문학상을 받고

지금까지 살아있는 그의 일상의 편린을 조금 느껴본 듯한 기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끝없는 이야기 비룡소 걸작선 29
미하엘 엔데 지음, 로즈비타 콰드플리크 그림, 허수경 옮김 / 비룡소 / 200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6년 5월 10일 읽고 쓰다

 

"올바른 이름만이 모든 존재와 사물들에 실재성을 준단다."

"틀린 이름은 모든 것을 비현실적으로 만들지."

-2권 40p

 

"하지만 만약 그를 발견하지 못하면요?"

"만약 그가 존재한다면 나는 그를 발견할 거다."

여제는 수수께끼 같은 미소를 띠며 결연히 대답했다.

"그리고 내가 그를 발견한다면 그는 존재할거야."

- 46p

 

"난 영원히 지금 같았으면 좋겠어."

"영원한 건 순간이야."

-84p

 

"여기에는 오직 삶과 죽음, 페렐린과 고압만 있고 이야기가 없습니다. 주인님은 오직 주인님의 이야기를 경험해야 해요. 여기에 머물러 있으면 안됩니다."

..

..

"환상 세계에 있는 길들은, 주인님의 소원을 통해서만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인님은 언제나 한 소원으로부터만 다른 소원으로 옮겨갈 수 있지요. ....그리고 어떤 장소를 떠나려고 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어떤 다른 장솔호 가고자 노력해야 합니다. 주인님의 소원이 주인님을 이끌도록 해야 하는 거지요."

-129~130p

 

"진실한 소원이 없는 자는 자기가 뭘 원하는지 깨달을 때까지 그 안(천 개 문의 미궁)에서 헤매야만 합니다.

-131p

 

"지금까지 그 애는 자기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이 되기를 원했지만, 변하고 싶어하지는 않았거든."

-3권 167p

 

"넌 소원의 길을 따라갔고 그 길은 결코 똑바로 나 있지 않단다. 넌 멀리 돌아갔지만 그게 너의 길이었어."

-179p

 

 

 

 

 

 

 

마지막 소원은, 자기 자신을 사랑할 수 있으면 하는 갈망.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사랑하고자 하는 마음.

 

 

네가 원하는 것을 해라 라고 환상 세계를 상징하는 메달에 씌여있었다.

 

 

미카엘 엔데의 [끝없는 이야기]를 읽었다.

책 밖의 이야기와 책 안의 이야기가 어우러져 끝없는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읽는 내내 나타나는 무수한 서사의 구조 속에서 행복해했다.

한 아이가, 못생기고 뚱뚱하며 놀림을 당하는 아이가 책을 통해 환상 세계에 들어가 멋진 왕자님이, 힘이 무척이 세고 지혜로운 아이(자신이 바랬던 환상 속의 그 모습)으로 변한다. 그러나 그 변화와 더불어 현실 세계의 자신을 잃어버리고 권력을 가진 대다수의 사람이 그러하듯이 탐욕스러워지게 된다. 그런 후에 여러여러 과정을 거쳐 자기 마음속의 소리를 따라가서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사랑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되고 또 그러한 소원을 자신의 친구가 도와주면서 아이는 현실 세계에서 누구보다도 행복하게 살 수 있게 된다는 이야기.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험한 책 일루저니스트 illusionist 세계의 작가 4
카를로스 마리아 도밍게스 지음, 조원규 옮김 / 들녘 / 2006년 2월
평점 :
품절


2006년 4월 27일 읽고 쓰다

 

"살아있는 자들의 세계는

그 자체로 충분히 기적과 신비를 품고 있다.

그 기적과 신비는

우리의 이성과 감정에 설명할 수 없는 방식으로 영향을 끼친다.

그래서

인생은 마술이라고밖에 달리 말할 수가 없다."

 

35p

 

파주출판단지 견학갔을 때 와인파티를 열어주신 들녘사장님께서

주신 책.

그닥 재미있지는 않다.

책이 인생에게, 사람에게 부여하는 탐미적일듯한 중독성을

사랑이야기와 버무려 놓은 책.

뭔가 행간의 띄엄띄엄한 철학적 내용들은

그 행간의 사이가 너무나도 길어 잡아내기가 힘들었다.

 

전체 100페이지내외. 대략 사오십분동안 후다닥 읽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유의 감옥 올 에이지 클래식
미하엘 엔데 지음, 이병서 옮김 / 보물창고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2006년 4월 15일 읽고 쓰다

 

Er war weniger Schriftsteller, Mehr Traumsteller.

그는 글을 쓰는 작가라기 보다 꿈을 쓰는 작가였다.

 

라고 누군가 그를 평했다. 절대동감.

 

 

"아마도 악의 모든 비밀은......

오로지, 그 안에 아무것도 없다는 데에 그 본질이 있나 봅니다."

-144p ([교외의 집])

 

"하지만 어떻게 해야 할지를 나 자신도 모른다면

어떤 결정도 할 수 없는 것 아니야?"

그러자 형체없는 웃음의 울림이 바스락거리는 소음으로 들려 왔습니다.

 

"그걸 몰랐단 말이야? 하긴..너는 지금가지 살아오면서 이것 아니면 저것을 결정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어야 한다고 믿어 왔겠지. 하지만 실제로 네가 기대하는 일이 진짜 일어나게 될지에 대해서는 전혀 예상할 수 없었을 거야. 너의 그 훌륭한 이유라는 것은 언제나 꿈과 망상에 지나지 않았어.

-270p

 

"우리는 우연히 이 세상에 던져졌고

또 우연 중에 이 세상을 뜨게 되는 거야.

-313p   ([길잡이의 전설])

 

yes24에서 책의 이미지를 찾았는데 이책이 '청소년 문학'으로

분류되어 있다.

really?

이해하기엔 좀 무리일 듯한 내용인데.

 

8개의 단편으로 이루어졌다.

그 중 몇 편은 어디선가 본 듯한 느낌이 들었다.

언제 어디서 읽었던 것일까?

미카엘 엔데가 각기 다른 8개의 단편에서 이야기하는 주제는

한결같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진실인가?

당신이 옮다고 믿는 것은 절대적인 것인가?

정말 세상은 이거 하나뿐인가, 여기 넘어서는 어딘가는 없는가?

 

 

개인적으로 [미즈라임의 동굴]에서는 플라톤의 동굴이론이

떠올랐다.

 

쉽게 읽히면서도 행간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고심해야 하는 게 좋았고

읽고 나서 되새기고 곱새겨도

정확하게 손에 떨어지는 느씸이 없다는 게 참 맘에 들었다.

나는 이 글을 읽을 때마다

새로운 생각과 느낌을 가지게 될 것이다.

 

어쨌든 미카엘 엔데는

약간 음울한 환상주의자라는 건 분명한 사실.

 

고민하게 된다.

내가 살고 있는 현실은 진짜 현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는 지금 이런 인재를 원한다
조세미 지음 / 해냄 / 2005년 11월
평점 :
품절


2006년 3월 12일 읽고 쓰다

 

아마도 꽤나 오래 베스트셀러 자리에 있는 것을 본 것 같다.

1,2위는 아니어도 10위권안에 계속 링크되고 있는 듯.

 

"Did you guys have fun?

여러분들이 하는 일 자체를 즐길 수 없었다면, 아마도 그 일은

당신들이 아까운 시간을 바칠 만한 가치가 없는 일일지도 모른다."

-74p

 

최고가 아니면 타협하지 않는 자세, 최고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

각오를 새롭게 하는 것이 프로페셔널의 기본이다.

-96p

 

SKILL 긍정적인 사고방식 계발 전략

1. 업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스킬을 습득한다

"머릿속이 든든해야 자신감도 생기는 법이다."

 

2. 긍적적인 언어습관을 기른다.

 

3. 자신감있는 행동을 반복해서 연습한다.

 

4. 과거의 실패에 집착하지 말고 현재의 성공에만 집중한다.

 

5. 준비와 연습을 철저히 한다.

 

6. 다른 이들의 도움과 충고에 마음을 연다.

-162~164p

 

 

왠지 이런 류의 자기계발서는 속물적인 냄새가 나서

-그 안의 내용이 그런 것이 아니어도-

편견을 가지고 읽긴 하지만, 또 가진 자의 배부른 이야기라고

치부하기도 하지만

공감이 가는 부분도 배울 점도 많다는 것은 간과할 수 없는 사실이다. 중요한 건 그걸 실천하는 거겠지.

 

"머릿속이 든든해야 자신이 생긴다."

에는 절대 동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