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카를로스 - 희곡 대산세계문학총서 78
프리드리히 폰 실러 지음, 장상용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돈 카를로스 : 스페인의 왕자 >

실러의 희곡 <돈 카를로스>에서 우리들은 16세기 무적함대를 조직하여 세계를 제패했던 에스파냐의 왕 펠리페 2세에 대한 실러의 평가가 호의적이지 않음을 읽을 수 있다.

<돈 카를로스>에서 그려지는 펠리페 2세는 아들이 사랑하는 약혼녀 엘리자베스를 가로채는 아버지이고, 로마 가톨릭을 믿지 않는 지역의 백성들을 잔혹한 형벌로 학살하는 인물이다. 펠리페 2세의 주위에는 자신들의 기득권만 챙길 궁리에 빠져있는 알바공작과 도밍고 같은 간신배와 종교재판장이 있다.

한편, <돈 카를로스>의 돈 카를로스와 포사후작. 그리고 엘리자베스 왕비는 펠리페2세와 대립하는 인물이며, 신교도를 믿는 플랑드르와 브라반트 지방을 에스파냐로부터 독립시키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 독립운동은 실러가 추구하는 자유를 갈망하는 정신과 일치한다.

실러는 카를로스를 위해 목숨까지 바치는 우애 깊은 의형제이며, 간신배에게 둘러 쌓여있는 펠리페 2세에게 정확한 판단을 내려줄 수 있는 단 한 명 뿐인 인재이면서, 자신의 분신이기도 한 포사후작의 입을 빌어 에스파냐의 절대왕정과 펠리페 2세를 비판한다.

“허용되는 범위 내의 진리만을 형틀에 넣어서 찍어내고 형틀에 맞지 않는 것은 모조리 배척하려 할 것입니다. 그러나 폐하에게 쓸모 있는 것이 저에게도 알맞은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습니다. 동포에게 사상의 자유가 허용되지 않는 한, 저는 동포가 행복하다고 생각할 수 없습니다.”-143p-

“폐하께서 조물주가 만드신 인간을 당신의 손으로 다시 만드시고 이 새로운 인간 위에 신으로 군림하시면서 그만 조그마한 실수를 저지르고 만 것입니다. 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당신 스스로가 아직 인간임을, 조물주의 손에서 태어난 인간임을 잊고 계신 것입니다.”-145p-

“폐하께서는 이제 신이 되셨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저 제물을 바치거나 두려움에 떨거나 아니면 기도하는 것 외에는 달리 도리가 없는 것입니다. 신과 인간의 모습이 뒤바뀐 것은 참으로 유감스러울 따름입니다. 불운하게도 자연의 비뚤어진 모습이라고 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폐하께서 인간을 비하시켜서 당신의 단순한 악기로 삼으신다면 그 누가 폐하와 더불어 선율을 연주할 수가 있겠습니까?”-145p-

이와 같은 포사 후작의 노력은 물거품이 된다. 자유를 위한 돈 카를로스의 탈출이 비극적 결말로 끝을 맺게 될 것이라고 암시하는 대화가 마지막을 장식하지만 <돈 카를로스> 전체에 등장하는 실러의 메시지는 매우 강한어조와 함께 인상적으로 다가왔다.

< 오를레앙의 처녀 : 낭만적 비극 >

“난 무고하게 국민의 생명을 잃게 하고 싶지 않아. 이대로 주면 우리 도시들은 폐허가 되어버릴 거야. 내가 어찌 나의 자식인 국민들을 검으로 둘로 갈라놓을 수 있단 말인가? 안 돼, 그건 안 돼! 백성이 살아남을 수만 있다면 차라리 난 왕좌를 포기하겠어.”-295p-

이 책에 함께 수록되어 있는 <오를레앙의 처녀>의 프랑스 왕 샤를 7세의 발언은 <돈 카를로스>의 펠리페 2세와 정반대 성격을 가지고 있다. 샤를 7세가 추구하는 사회는 실러가 원하는 사회와 일치하므로, 성군의 지배하에 평화로운 시대를 맞이해야 할 터인데, 안타깝게도 샤를 7세의 프랑스는 왕비와 사촌의 배반으로 인한 영국의 침략전쟁으로 인해 풍전등화의 위기에 처해있었다.

이런 상황을 가만히 놔둘 프리드리히 실러가 아니다. 이 극의 배경이 되는 백년전쟁이 벌어졌을 때, 실제의 잔 다르크의 활약상을 정확하 공부한 적이 없어서 모르겠지만, 희곡 <오를레앙의 처녀>에서 신의 부름을 받고 샤를 7세의 프랑스를 위해 출전하는 양치기 소녀 잔느는 무협지에 나오는 절대고수 그 이상의 능력을 가진 존재로서 모든 상황을 종결지어버린다.

잔 다르크 개인적인 능력 보다 신의 계시를 받았다는 이유 하나 만으로 초인이 되어 모든 싸움에서 승리하고, 사랑에 빠져 신의 계시를 어길 것 같은 예감에 곧바로 나약한 인간의 모습으로 변해버리고, 그 계시가 신에서 왔는지 악마에서 왔는지에 따라서 그녀를 대하는 시선까지 싹 다 바뀌어버리는 상황에 큰 공감이 들지는 않은 작품이었던 것 같다.  

물론, 후대의 사람들이 잔 다르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녀를 신적인 존재로 묘사할 수 있음을 인정하는 바이지만 한 인간에 너무 의존하여 극을 전개하지 않았나 싶은 생각이 지금 시점에서 더 많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