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혁명가 카를 마르크스 청소년평전 25
박성원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인으로 작은 도시 트리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와 예니의 아버지는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지식인들이었다. 마르크스는 마르크스의 아버지의 행동을 보고 굴욕적이고 비겁하다고 처음 느꼈다. 하지만 아버지와의 오해를 풀고 둘끼리 상호작용을 하자고 결심을 한다. 그는 트리어를 떠나 베를린으로 가서 공부를 한다. 그리고 엥겔스라는 영원한 친구를 만나게 된다. 마르크스의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마르크스의 영원한 동반자인 예나와 결혼을 하게 된다. 그는 가난에서도 쓰러지지 않고 <공산당선언>을 출간한다. 그는 자신의 몸과 같았던 4명의 아이들을 잃고 가장 힘든 시기를 맞이하게 된다. 자녀를 잃은 12년 후 그는 자본주의의 구조를 분석해 상품과 화폐와 교역에 대한 이론을 <자본론>에 쓴다. 그것은 자본주의 분석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잉여가치론’을 제시한다. 그는 예나를 잃은 2년 후 폐종양으로 숨을 거둔다.

  마르크스, 그는 정부와 구박에도 무너지지 않는 사회주의자였다. 비록 뜻은 달라도 이런 점에서는 배울 점이 많이 있다. 자녀들의 죽음, 자신의 고통, 뼈를 아리게 하는 추위, 등에서도 자식들 앞에서는 눈물을 보이지 않았다. 그는 감정이 메말라버린 것이 아니라 가장으로서 그럴 수밖에 없던 것이다. 희망이 보이지 않더라도 포기를 모르는 사람에게 바보라고 말을 하면 그 사람은 희망과 포기, 두 단어를 다 모르는 것이다. 이처럼 사람은 고난, 슬픔, 가난, 등 여러 가지의 장애물들을 만난다. 하지만 그것을 피한다면 그는 이미 패배자가 되어버린 것이다. 아무리 그가 후회를 해도 그건 이미 지나가 버린 것이다. 공산주의를 주장하는 마르크스지만 이런 점에서는 그에게서 꼭 배워야한다. 장애물을 넘다보면 남은 것들은 지금까지 한 것이 아까워서라도 할 것이다. 우리는 그런 포기할 줄 모르는 용기와 자신 속의 인내심과 힘을 키워나가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