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이혜영 지음, 조광현 그림 / 사계절 / 200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갯벌을 소중하게 보전하기 위한 방법을 알려드리기 위해서 저는 이 보고서를 씁니다.

  갯벌의 훼손은 참으로 심각합니다. 갯벌의 훼손을 줄이기 위해서는 첫 번째 갯벌의 훼손으로 환경이 어떻게 되어가는 가를 먼저 알아야 합니다. 아무리 갯벌의 정화능력이 강하고 게나 갯지렁이들이 산소가 통하는 구멍을 뚫어서 산소를 공급하여 오염을 막아도 그것으로는 갯벌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서해안 유출사건처럼 그런 대형사고 일은 언제나 신중하고 또 신중하여야 하는 일입니다. 하지만 그런 의무를 잊어버리고 너무나도 안전을 생각하지 않았던 터에 결국 유조선이 박아서 기름이 유출되고 말았습니다. 그러므로 갯벌은 오염이 되고야 말았습니다. 거기에다가 요즈음에는 이런 갯벌과 갯벌의 생물들이 하는 일을 알게 되어서 마음대로 쓰레기를 버리는 일이 점점 늘어날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갯벌이 쉽게 파괴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에는 다 사람이 저지르는 일입니다. 사람 한 명이 실수를 해서 박테리아가 죽고, 그런 박테리아를 먹고 사는 갯벌생명체들이 죽고, 그 생명체들을 먹는 새들은 모두 죽게 됩니다. 그러면 그 주위의 해녀들이나 어부들은 결국 정부에서 주는 보상금을 조금 주고 어부들과 해녀들은 그곳에서 떠날 수밖에 없습니다. 두 번째 이러한 갯벌의 오염을 막기 위해서는 다른 나라를 본받을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다른 나라들처럼 갯벌의 소중함을 알고 예방을 해야 합니다. 제가 두 나라에 대해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첫 번째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경제가 발달한 나라인데 이 나라는 나중에서야 갯벌의 중요성을 알고 정부에서는 위스 존신에 있는 갯벌을 특별히 보호해야 하는 지역으로 지정하였습니다. 그리고 갯벌에서 할 수 있는 일들과 해서는 안 될 일들을 법으로 만들었습니다. 할 수 있는 일들 중에서는 환경을 변화시키지 않는 자전거 타기, 하이킹, 낚시, 수영, 등은 됩니다. 하지만 해서는 안 될 일들 중에는 매립, 투기, 규모가 큰 공사,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미국과 같이 법을 만들어도 좋을 것 같습니다. 두 번째 독일에서는 아예 갯벌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해서 이 갯벌을 지키고 있습니다. 그리고 독일에서는 1구역, 2구역, 3구역으로 나누어서 환경보호를 하고 있습니다. 독일의 예를 들자면 독일에서 1구역은 갯벌과 갯벌에 사는 생물들을 자연 그대로 보호하는 지역입니다. 그리고 2구역은 특징적인 지형을 자연 그대로 보존하기 위한 곳입니다. 그 다음 3구역은 사람들이 휴식을 얻고 휴양을 하기 위한 곳입니다. 우리나라도 독일처럼 갯벌을 제1구역, 2구역, 등으로 나누어서 환경보호를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러므로 우리들은 갯벌을 더 알아야 하고 사랑해야 하며 예방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위의 저의 의견과 같이 다른 나라의 갯벌 사랑을 본받아야 합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벌레 2008-01-10 17: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글은 책을 보고 쓴 보고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