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홉살 인생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위기철 지음 / 청년사 / 200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아홉살에 어른이 되면서 배울 것을 너무 빨리 배워 버린 주인공 '나'...

  이 아홉살 인생에 나오는 주인공인 '나'는 아홉살에 인생이 무엇인지 어른이 되어가면서 배울 것을 너무나도 빨리 배우고 만다. '나'는 가난한 형편에서 가난에 찌들고 자기 집 없는 아이로 태어났지만 그것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느낀다. 그리고 '나'의 절친한 친구 기종이는 거짓말을 잘하지만 창의력과 상상력 하나는 정말 최고인 것 같다. 그리고 나는 기종이 같은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 만약 내가 기종이였다면 그 많은 거짓말을 해야 되니 정말 힘들어했을 것 같았다. 나는 이 사람을 아주 안되었다고 생각하는 데 바로 골방철학자이다. 골방철학자는 사람들에게 미쳤다는 욕만 얻어먹는다. 그는 아이들을 아주 좋아하지만 아이들은 그를 피한다. 얼마나 슬픈 것인가? 사람에게 엄청나게 욕이나 얻어먹고 아이들을 좋아해도 표현을 못한다는 것이 말이다. 나는 자살을 할 만했다고 느꼈다. 난 이 사람에게서 많은 감동을 받았는데 바로 그는 하상사이었다. 그는 부모 없는 기종이와 기종이의 누나를 위해서 결혼을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하상사는 결혼하기 위해서 그 많은 시간동안 가위질을 했다는 것이다. 나도 처음에 기종이의 누나와 기종이의 부모가 없다는 것을 알고 너무나도 불쌍하다고 느꼈는데 속 시원하게 풀어준 것 같아 기분이 좋았다. 그 다음은 이 책을 읽어보았다면 반드시 알수 있는 사람이 있는데 그건 바로 언제나 굳은 표정이고 학생을 잔인하게 때려도 아무 일 없었듯이 하는 '나'의 선생님 월급기계이다. 나는 이 월급기계에 대해서 아주 많이 생각을 하였다. 난 이 책을 읽을 때 월급기계가 학생들의 버릇을 고쳐주기 위해서 그렇게 때렸다고 생각했지만 그렇게 심하게 애를 때리는 말을 듣고는 아주 생각이 달라졌다. 나는 한가지 의문이 더 남아있는 데 바로 월급기계는 과연 무엇때문에 일을 하는 것일까? 이다. 당연히 돈을 벌기 위해 일을 하는 것이라고들 말하겠지만 도저히 말이 안된다. 그렇게 아이들을 때리면서까지 왜 일을 하는 것이란 말이다. 돈!!돈!! 돈이 무엇인가? 돈을 위해서라면 선생이 학생을 패면서 까지 돈을 벌어야 한다는 것일까?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월급기계에게 "돈을 그렇게 원한다면 돈이나 받고 집에나 박혀있고 선생같은 직업은 꿈도 꾸지마라"라고 말해주고 싶었다.

  나는 이런 책과 비슷한 책을 읽어보았는데 그 책도 이 책과는 비슷하지만 그 책은 가난과 폭력이었다. 그건 바로 [나의 라임오렌지나무]였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도 이 책과 비슷하게 많은 도움을 주었고 얻어 맞는 것이 아닌 진정한 고통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려주었다. 아홉살 인생 제일 뒤에 보면 위기철의 생각이 담겨져 있는데 숫자 9가 너무나도 슬픈 숫자라고 말했다. 하지만 나는 아직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 나는 위기철이라는 사람처럼 어른이 아니기 때문이다. 난 어른은 아주 어려운 단어인것 같다. 어른이 되면은 가정을 이끌어 가야 하며 그 어떤 고통에서도 아이들에게 우뚝 서야 하며 아이들을 위해서 가르침을 주고 깨달음을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나는 어린시절이 얼마나 행복하고 좋은 시절인지 이 책을 읽고 깨달았다. 나는 이제부터라도 어린시절에 책도 많이 읽고 힘들고도 힘든 공부도 해야겠다고 느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09-14 16:4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