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아, 문유석 작가님이 싫어하는 표현이랬는데...) <개인주의자 선언>보다 재미있게 읽었다. 유시민의 <청춘의 독서>도 떠오르면서 자연스레 비교가 되기도 했다.

(부정적인 의미로 하는 말은 아닌데) <개인주의자 선언>도 그렇고, 이 책도 조금 산만하다. 목적이 있거나, 긴 서사가 있는 책이 아니라서 그런 것 같다. 작가의 개인적인 경험과 생각을 편안하게 쓴 글. 달리 표현하면 '수다'.

이 책은 특별히 독서와 관련된 거라서 '책수다' 정도.

책 속에 모르는 책이 나와도 어렵지 않았다. 왜냐하면 글이 짧기 때문이다. 이 책은 잘 모르겠는데, 싶을 때 바로 다른 주제로 넘어간다. 이 때 <청춘의 독서>를 힘겹게 읽은 기억이 떠올랐다.

앞서 읽은 <개인주의자 선언>에서도 느낀 거지만, 책 내용이 특별하지 않은데 왜 알려졌을까, 생각해보면 작가의 직업이 판사라서 마케팅이 잘 된 거라는 생각이 든다. 이 건 작가도 책 속에서 서술했다.(자기객관화가 잘 되는 분? ^^)

문유석 작가(책으로 만났으니까, 나에게는 작가님)의 책 내용이 특출난 점은 없지만, 판사가 쓴 책이라고 하면 조금 다르다. 왜냐하면 책을 좋아하고 많이 읽는 법조인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을 높게 평가하고 싶다. 나는 법조인은 누구보다도 책을 많이 읽어야 하는 직업이라고 생각한다. 세상의 다양한 사람들, 그것도 막다른 골목에 있는 인생을 누구보다도 많이 만나게 될 직업이다. 어렸을 때부터 칭찬 듣고(법조인은 어렸을 때부터 모범생이었을 가능성이 크므로) 인생의 쓴맛을 거의 맛보지 않았을 분들이(시험에 떨어지는 건 쓴맛이 아님) 듣도 보도 못한 인생을 얼마나 상상하고, 개인이 놓인 특수한 상황을 공감할 수 있을까? 법이 사람보다 위에 있지 않다고 하지만, 공감 능력이 떨어지는 법조인은 자신이 공부한 법의 세계가 인간의 세상보다 더 우위에 있다고 (자신도 모르게) 생각할지 모른다. 그리고 자신의 오류를 인정하지 않는 법조인은 얼마나 세상에 위험한 존재인가. 하지만 책을 많이 읽으면 세상의 다양한 이야기를 간접경험하면서 인간을 바라볼 수 있는 눈이 생긴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법조인은 누구보다도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가능하면 문학)

문유석 판사는 책을 많이 읽는 법조인이기에 그가 쓴 책도 애정 어린 눈으로 바라보게 된다. 법조인을 꿈꾸는 사람들이 공부만 하지 말고, 책도 좀 읽으면서 공감능력도 높이고 자신이 틀릴 가능성이 있는 사람이라는 점을 알면 좋겠다.

뭔가 내가 주제넘는 이야기를 한 것 같다.

책으로 수다를 떠는 판사님, 다음 책도 기대해 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