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피엔스 (무선본) -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인류 3부작 시리즈
유발 하라리 지음, 조현욱 옮김, 이태수 감수 / 김영사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사피엔스의 기원부터 어쩌면 다가올지 모를 사피엔스의 미래까지 담긴 길고, 깊고, 그래서 두꺼운 책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번역이 잘 된 덕분인지 가독성이 좋았다. 새롭고 흥미로운 주장으로 가득했기에 조금씩, 천천히 읽은 책이다. 흥미진진한 주장을 받아들이는 시간이 필요했던 독서였다.

 

모든 이야기는 유려하게 흐른다. 예를 들면 종교 이야기를 하다가 인본주의로 주제가 넘어간다. 이질감없이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생각이 많아서 독서노트도 빼곡하다. 5페이지. 독서노트 공간이 더 있었으면 더 늘어났을 것이다. 다시 읽어봐야겠다고 생각을 하면서 책을 읽는 동안 들었던 생각을 정리해 보았다. 흥미로운 새로운 주장들이 다소 설익은 주장일 수 있지만, 그 동안 내가 가지고 있었던 고정관념과 같은 상식을 뒤집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다.


생물의 진화는 단선적 진보가 아니라 분화
*****역사 책을 보면 오스트랄로피테쿠스부터 호모 사피엔스까지 단선으로 된 그림이 나온다. 당연히 인류가 그림의 순서대로 발전, 진화했을 거라고 생각하게 한다. 이 부분은 <경제 알아야 바꾼다>에서 읽은 내용과 연관이 되어 흥미로웠다.

이동 생활을 했던 수렵, 채집인보다 정착 생활을 했던 농경 시대의 인물이 더 편안했을까?
*****당연히 편안했을 거라고 생각했던 나의 생각과 달리 저자는 농사 짓는 일이 수렵, 채집보다 쉬운 일이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덜 다양한 음식을 먹었고, 폭력에 의한 사망이 1위였기 때문이다.

고대는 물질적인 요인 외 기록이 없어서 경제적 요인의 시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고대 역사를 바라보는 기존의 시각이 어떤지, 생각해 봐야겠다. 박노자의 <거꾸로 보는 고대사>에서 당시 인물들의 일상사를 통해 고대 역사를 바라봐야한다는 주장을 보았던 기억이 떠올랐다.

독립선언서의 이면(197쪽)
*****인권의 발달과 관련하여 배우는 미국의 독립선언서. 사실 독립선언서에서 나오는 인간은 흑인과 여성이 배제되어 있다는 점을 언급하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독립선언서의 내용을 폄하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인권이 발달하는 서구 역사에서 점차 인권이 확대되는 것을 배우기는 하니까.

근대 초기에 유럽은 어떤 잠재력을 개발했기에 근대 후반 세계를 지배할 수 있었을까?(399쪽)
*****과학자, 정복자들이 자신들의 무지를 인정하고, 새로운 영토와 지식을 발견하려고 했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위험을 무릅쓰고 미지의 바다로 향하려고 했던 당시 사람들의 모습이 그려지면서 포르투갈 여행을 하면서 느낀 감정이 되살아났다. 리스본의 발견기념비를 가까이서 봤을 때 돌에 새겨진 인물의 다채로운 표정을 보며 당시 사람들은 어떤 생각으로 항해를 한 것일까, 무엇이 이 사람들을 바다로 이끈 것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었다. 호기심일까, 탐욕일까.
과학혁명과 제국주의의 관계를 이야기하는 이 부분은 다소 제국주의의 시각이 들어있지만, 저자가 제국주의의 시각을 가지고 주장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콜럼버스에게 투자했던 것은 '신용'과 '자본주의 마인드'를 바탕으로 한 '투자' 마인드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비슷한 시기 조선에서는 투자 마인드가 없었을까? 흔히 자본주의 맹아론이라고 하는 내용은 다소 끼워맞춘듯한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우리가 모르는 조선의 역사 속에 과감히 투자하려고 했던 이야기는 없을까?

자원의 희소성 - 자원은 정말 고갈되는가? 어떤 자원이 고갈될 때쯤, 새로운 자원을 연구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이용 가능한 자원도 증가한다.
세상에는 에너지 결핍이 존재하지 않는다. 부족한 것은 에너지를 찾아내 그 것을 우리의 필요에 맞게 전환하는 데 필요한 지식이다.(480쪽)

*****흥미로운 내용 중 하나였다. 교과서에는 우리가 쓰는 자원은 유한하기 때문에 아껴 쓰고, 재생 가능한 대체 에너지를 개발해야 한다고 한다. 재생 가능한 대체 에너지를 개발하기 때문에 자원은 고갈되는 것이 아닐까? 2008년 '호모 오일리쿠스'라는 다큐멘터리 3부작이 방영된 적이 있다. 꽤 재미있었던 다큐멘터리였는데, 그 다큐멘터리에 의하면 석유 가격이 점점 폭등하고, 석유가 어느덧 고갈되어 석유없이 살아갈 수 없는 인류, '호모 오일리쿠스'인 우리의 삶에 대해 경고를 하고 있다. 그리고 2018년을 상상하여 제작한 2부는, 지금쯤 석유가 모두 고갈된 상태여야 한다. 하지만 2018년 어디에도 석유가 고갈된다는 이야기는 전해지지 않는다. '호모 오일리쿠스'의 주장은 타당한 것인가?


역사는 인류의 행복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역사의 진보가 인류의 행복을 가져왔을까?(532쪽)
*****행복을 주제로 역사를 평가할 수 있을까?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대화라고 하지만, 과거의 사람과 현재의 사람이 서로 대화와 토론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과연 어느 때가 더 행복한지 논할 수 있을까? 역사의 진보와 인간의 행복, 나는 행복하게 사는 것이 목적이라고 말하지만, 역사와 연관지어 생각해 본 적은 없는 것 같다. 현재를 살아가는 사회, 정치, 경제 등과 관련지어 생각은 해보았지만. 조금은 어설픈 주제이지만 조금씩 다듬어 수업 주제로 삼아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