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사면 하나 더 주는 '1+1행사'를 비롯해 식품업계의 덤 판촉이 비일비재하게 벌어지면서 업체간 출혈경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유업체들이 우유판매 부진을 돌파하기 위해 1000㎖ 제품에 250㎖ 제품을 1~2개씩 덧붙여 판매하는 것은 이제 일반적인 현상이 됐다.
판매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제과업체들도 인기제품에 비인기제품을 얹어주는 덤 행사를 대폭 강화하는 추세다.
심지어 과자 1개에 2~3개를 묶어주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과거 덤 행사가 할인점 등 대형 유통업체들이 강요 혹은 유도한 측면이 많았다면 요즘의 덤 경쟁은 업체 스스로 필요에 의해 출혈을 감수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할인점 등 대형업체와 파워 게임에서 별로 밀리지 않아 덤행사를 강요받지 않았던 대형 식품업체들이 덤 경쟁을 자초하고 있다.
CJ가 해찬들을 인수하면서 대상과 치열하게 1위 다툼을 벌이고 있는 장류 시장과 풀무원, 두산종가집, CJ 등 대형 업체의 각축장이 되고 있는 두부ㆍ콩나물 시장이 대표적이다.
CJ는 최근 '해찬들 태양초 고추장'의 국내 포함 세계 판매 1위 기념 이벤트를 핑계로 '매운고추장(500g)'에 대해 1+1행사를 펼쳤다.
CJ측은 "판매 증진이나 점유율 확대 등 목적이 아니라 단종을 방지하려는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경쟁사인 대상측 해석은 다르다.
대상 관계자는 "1+1행사는 사실상 가격을 50% 할인하는 것으로 판매율이나 시장점유율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면서 "해찬들의 경우 올 초부터 계속 덤 행사를 하고 있는데 장류 시장 점유율이 연말까지만 해도 대상 44.5%, CJ가 41% 정도였는데 2~3월에는 거의 차이가 없을 정도로 CJ가 밀고 올라왔다"고 말했다.
CJ가 해찬들 인수 후 장류시장 1위를 달성하기 위해 무리하게 덤 판촉을 계속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CJ는 20일부터 올리브유 구입시 같은 크기의 포도씨유를 증정하는 1+1 행사도 시작한다.
업계 관계자는 "백설 올리브유가 현재 시장점유율 1위(45%)인데 대상 참빛고운 올리브유 등 경쟁제품이 치고 올라오니까 확실하게 우위를 굳히기 위한 것 아니겠느냐"고 분석했다.
CJ측은 일반 식용유 시장의 경쟁이 갈수록 심화돼 올리브유와 같은 프리미엄 제품시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대형 식품 3사가 맞붙어 있는 두부시장은 사은품이 없는 날이 거의 없을 정도다.
CJ '행복한 콩 두부'는 매장별로 다르긴 하지만 다담 된장찌개 전용양념, 알짜란(2개), 두부를 갈아먹을 때 넣는 딥 소스(2종) 등을 덤으로 주고 있고 풀무원, 두산종가집 등도 샐러드 드레싱, 콩나물, 연두부, 버섯, 밀폐용기 등을 추가로 준다.
문상수 두산종가집 마케팅팀차장은 "광고비를 줄이는 대신 소비자들에게 신제품 시식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덤 마케팅을 활용하는 것"이라면서도 "식품업계 전반적으로 덤 마케팅이 심화되면서 비용압박이 심화되고 있어 덤 행사를 점차 줄여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덤 행사는 한두 달 정도 반짝해서 제품을 알리는 데는 효과적이지만 지금처럼 몇 달씩 경쟁적으로 지속할 경우에는 체력 약한 순서대로 나가 떨어지게 마련"이라면서 "식품업체간 인수ㆍ합병(M&A)이 활발해지면서 대형 업체들이 시장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무리한 판촉경쟁을 지속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채경옥 기자] < Copyright ⓒ 매일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