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마노아 > 한국 소설의 위기

[한국 소설의 위기] 베스트셀러 20위 중 한국 소설은 2권
[주간조선 2006-08-29 14:05]

대학생들 "소설 읽으면 고리타분" …출판사들은 신진 작가 외면
문예창작과 출신들, 소설가보다 시나리오 작가·카피라이터로 몰려

지난 8월 1일 서울 시청 부근의 한 빌딩에서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주관한 ‘청소년을 위한 무료 인문학 강좌’가 열렸다. 서강대학교 영문과의 장영희 교수가 ‘현대사회의 문학 읽기’라는 주제로 강연을 시작했다. 그런데 고등학생, 대학생 등 100명 넘는 참석자 중 몇 명이 비슷한 질문을 던졌다. “교수님께서 소설 작품을 많이 읽으시라고 하셨는데요. 소설 읽는 게 우리가 사는 것과 어떤 관계가 있는 건가요?” 장 교수는 “소설 같은 문학을 통해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우리가 겪어보지 못한 세상을 배울 수 있다”라며 설명해 나갔다.

한국 소설이 ‘먹고 사는 것’과 별 관련이 없어서 그런 건가? 요즘 서점에 가보면 베스트셀러 코너에서 한국 소설을 찾아보기 쉽지 않다. 교보문고가 집계한 2006년 상반기 종합 베스트셀러 20위권에 든 소설은 모두 7권이었다. 하지만 이 중 한국 소설은 공지영의 ‘사랑 후에 오는 것들’(3위)과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11위) 두 권뿐이었다. 소설 부문 20위권만 봐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소설 20위권에 든 한국 소설은 공지영의 ‘사랑 후에 오는 것들’(1위)과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3위) 외에 박현욱의 ‘아내가 결혼했다(9위), 정미경의 ‘밤이여 나뉘어라’(12위) 등 4권뿐이다. 2005년 종합 베스트셀러 순위에서 40위권 안에 든 국내 문학은 세 권뿐이었고 그 중 소설은 김별아의 ‘미실’(14위) 단 한 권뿐이었다.

아닌 게 아니라 바로 주변만 둘러봐도 ‘한국 소설의 위기 징후’는 곳곳에서 나타난다. 주부들은 자녀 교육을 위한 책 코너에, 대학생은 취업 준비를 위한 책 코너에만 몰린다. 첫 장부터 마지막 장까지 진득하게 앉아서 읽어야 하는 두꺼운 소설책을 선뜻 집어드는 사람은 찾아보기 어렵다. 대학생 사이에선 소설을 읽는다고 하면 “고리타분하다”는 말까지 듣는다고 한다.

그렇다고 전체 소설시장이 무너진 것도 아니다. 댄 브라운의 ‘다빈치 코드’와 파울로 코엘료의 ‘연금술사’ 같은 외국 소설은 안 읽으면 대화에 못 끼어들 정도로 화제를 모았다. 국내 인기작가의 유명 소설이 기껏 수만 부 팔려나간 데 비해 이들 외국 소설은 수십만에서 수백만 부씩 팔려나갔다. 역사를 논하고 보통 사람의 일상을 다룬 장편소설이 눈에 안 띌 뿐이지 가볍고 톡톡 튀는 문체의 에세이류나 처세술 책은 넘쳐난다.

사람들이 소설을 외면해서 소설책을 안 펴내는 것인가, 아니면 소설책이 별로 안 나오니까 사람들이 점점 더 소설을 안 읽는 건가? 소설가인 강경호 한국소설가협회 이사는 “소설의 위기가 소설가의 위기를 불러오고 소설가의 위기가 다시 소설의 위기를 심화시키는 악순환”이라고 했다. 출판사들도 흥행 보증수표나 다름없는 이름난 대형 작가가 아니면 신진 작가의 소설류를 취급하려 하지 않는 분위기다.

 


불과 10~20년 전만 해도 한국 소설 시장은 지금보다 훨씬 튼튼했다. 현실은 고단하고 답답했지만 작가들은 허구의 대표 장르인 소설을 통해 역사 현실에 맞서고 저항했고, 사람들은 그런 소설을 읽으며 울고 웃었다. 그러면서 나름의 독자군이 형성돼 왔다. 예를 들어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이나 김홍신의 ‘인간 시장’을 안 읽으면 대화에 낄 수 없을 만큼 한국 소설이 우리 사회에 깊숙이 들어와 독자들과 호흡하던 때가 있었다. 중·고등학생도 좋아하는 소설가와 작품 이름을 줄줄 꿸 수 있을 만큼 소설 시장이 활성화됐고 또 시장을 이끌어가는 소설계의 대형 스타도 많았다.

하지만 현재는 그렇지 못하다. “문학의 힘은 영원하다”던 사람들조차 “출판시장에서 한국 소설이 천덕꾸러기 신세가 됐다”라며 안타까워한다. 작품성이나 대중성을 인정 받은 소설 작품을 놓고 영화사들이 영화화하는 판권 경쟁에 나서는 게 아니라 역으로 화제의 영화 작품을 소설로 만들겠다고 출판사들이 판권 경쟁을 벌이는 형국이다. 수익성을 따져야 하는 출판사 입장에선 ‘돈 되는 쪽’으로 몰리게 되고, 한국 소설은 점점 더 홀대 받는 형국이다. 번역 소설이 한국 소설 시장을 아예 집어 삼켜버렸다는 말까지 나온다. 정말 ‘한국 소설 공황시대’라도 온 것인가?

한국 소설의 위기 징후를 소설가나 시장 탓으로만 돌릴 일도 아니다. 시대가 바뀌었고 독자의 입맛이 우선 달라졌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찾는 소설의 성격도 바뀌었고 소설을 대체할 다른 미디어가 봇물처럼 터져 나오고 있다. 한 출판사 직원은 “요즘 한국 소설에 대해 ‘대작(大作)이 안 나온다’고들 비난하는 분도 있는데 시대가 대작을 정말 원하고 있는지부터 고민해볼 문제”라고 했다. 고려대학교 국어교육학과 이남호 교수는 “요즘 사람들은 호흡이 긴 소설을 읽기 싫어하고 인터넷 서핑을 하듯이 조각조각 뛰어넘어가면서 읽는 편”이라고 했다. 한 잡지사의 출판 담당 기자는 “정작 나부터도 지친 마음을 달래준다거나 자신감을 북돋워주는 책을 집어들게 되지 복잡하고 어려운 주제의 책은 피하게 된다”고 했다. 소설이 서사와 담론을 통해 사회를 고민하던 시대는 막을 내렸고 작고 가벼운 일상의 것을 속닥거리듯 말하는 시대가 열렸다는 말이다.

 

*****************

 

주변에 그런 사람들 있지 않나요? 

"난 소설책은 안 봐."

그때의 뉘앙스는, 난 소설 '따위'는 안 봐... 라는 식으로 들려 고까울 때가 있습니다.

뭐, 나 혼자만의 착각일 수도 있지만...;;;

특별히 선호하는 장르가 누구나 있겠지만, 지나치게 편향적 독서는 안 좋은데, 소설과 같은 '픽션'은 시간 낭비라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종종 보여서 나름 안타깝기도 합니다.(아예 안 읽는 것보다는 물론 바람직하지만...;;;)

제 친구 녀석 하나는 주로 성공신화, 처세술, 자기계발서... 이런 쪽으로만 책을 보았더랍니다.

그런데 어느 날 소설책을 빌려달라고 하고, 또 자신도 책을 사다가 읽는 겁니다.

왜 그렇게 된 건데??? 하고 물으니,

직장을 옮기면서 면접 시험을 보다가, 여성적인 "감수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답니다.

남성적인 성향이야 이미 지닌 것이고, 여성적인(굳이 구분하는 게 웃기긴 하지만.) 감수성과의 조화가 필요함을 알았다고요.

뭐, 좋은 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근데, 내가 빌려준 책 오래 됐는데 아직도 안 보더군요ㅡ.ㅡ;;;;

레벌루션 No.3와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빌려줬는데....;;;;

p.s 때로 조선일보 기사를 옮겨올 수도 있다... 고 방금 생각함......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