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농사꾼의 별에서 창비시선 241
이상국 지음 / 창비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인의 다섯번째 시집이다. 네번째 시집 <집은 아직 따뜻하다>(1998)를 읽다가 느꼈던 감상이 새로웠던 기억이 있다. 그때의 '새로움'은 무엇이었을까?

'시인의 고향은 설악산 아래 양양이다. 그는 거기서 태어나서 60년 가까운 세월 동안 한번도 근처를 벗어나 살지 않았다고 한다.'(김윤태, <어느 농사꾼..> 해설에서)

단지 그뿐일까? 그보다는 시인의 시선과 사유가 현실에 깊이 착근해있기에 가능한 표현들, 즉 단순한 일상의 삶에서 길어올리는 시어들이 주는 생생함이었던 것 같다. 지나친 '사유의 확장'으로 인해 부유하는 詩語들에 의해 익숙해지거나 뜻도 모르고 주억거리는 유희에서 벗어나게 했던 기억이었다.

여전하다. 대관령, 한계령, 미시령(이제 터널로 다닌단다. 그래서 용대리 민박집 아주머니의 장나들이도 원통을 향하지 않고, 속초에 있는 이마트로 가신단다) 건너의 영동을 바라보는 시선이 국립공원과 대형 콘도와 몇몇 해수욕장을 연상시키는 시선에 그치지 않고, 불에 타버린 산림과 어두운 골목길의 절망과, 어부들의 수고로움에까지 가닿을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다.

분량이 작은 시집 한 권을 읽는다는 것으로, 그 안에 담긴 뜻의 어느 만큼을 과연 이해했을까 하는 스스로에 대한 의문이 든다. 또한 흔히들 시집 말미에 '시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해설이 있는데, 때로는 그 해설이 시 읽기를 방해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종종 들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