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주 보헤미안 - 자유로운 영혼 13인의 제주 정착 리얼 다큐
김태경 지음 / 시공사 / 2012년 4월
평점 :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내는 것에서 행복은 시작된다’(버트런드 러셀, <행복의 정복, 52쪽에서 재인용>
최근에 읽은 김두식 교수의 <욕망해도 괜찮아>에서도 ‘욕망과 규범의 경계에 대한 고찰’이 화제가 되었고, 위 명구절은 삶의 과정에서 반복되어 반추되어도 좋은 만한 경구이다. 게다가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명구절에 대한 실제 행동의 뚜렷한 트렌드로 ‘제주입도’...를 꼽는 것 같다. 여기 13인의 입도기는 연령을 막론하고, 이러한 길을 먼저 걸은 사람들의 생생한 체험담이 되겠다.(물론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착하지 못한 사례들은 책의 성격상 실리지 않겠고, 이는 독자들 스스로가 감안해야 하지 않을까?)
제주에 들을 기회가 있다면 하는 생각에, 이 책에서 미처 소개하지 못한, 그래서 대화 내용 가운데 확인된 분들의 소재지를 곁들여 본다.
아루요(김승민님, 유수암리, 가수 장필순님도 이미 정착함), 달그락 화덕 피자(김병수님, 노형동), 샐러드앤미미(정희경님, 유수암리), 달빛봉봉베란다(장길연님, 손은정님, 봉개동), 레이지박스(허민주님, 신계리), 바람카페(이담님, 산천단), 쫄깃센터(고필헌, 협재리), 화가 이두원님(이중섭창작센터 3층 작업실), 메이飛 카페(이혜연님, 올레6길), 음반제작사 핑크문(박경필님, 일도2동), 그리고 문화공동체 쿠키 대표 이승택님(이 분은 서울에 거주하는 것으로 사전확인하고 있음)
이들의 새로운 도전은 다음 사람들을 위해 참고가 될만한 내용이다. 그리고 다양한 학식과 인터뷰이들에 대한 깊은 애정과 인터뷰 준비 등을 통해 인터뷰어 김태경의 노고도 돋보이는 책이다. 순간순간 드러나는 섬세한 표현은 ‘여성스럽기까지!’ 이런 감탄까지 하는 순간, 마지막 장을 넘기며 사진 한 장으로 확인했다. ‘내 선입견의 문제다’
농부 이현수님을 인터뷰하면서, 저자가 서술한 다음 문장은 ‘제주에 대한 관심’에서 자못 가리워진 부분인 것 같아 옮겨본다.
‘땅을 소유하고 있는 이들은 도시나 시골이나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정작 농사를 짓는 이들은 임대료를 주고 땅을 일구는 소작농들이 대부분. 젊은 사람들이 농사나 지어볼까 하고 시골에서 땅을 사서 내려가지만 그 땅을 일구고 있던 소작농들은 땅을 빼앗기게 되는 셈이다. 그 속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토착민들의 텃세가 있을 만하다. 그래서 이현수는 누구보다 더 열심히 인사하고, 부지런히 일한다.’(97쪽)
제주도 땅 가운데 외국인, 특히 국제적으로는 중국인들의 소유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이는 관광자원으로 개발가능성이 있는 지역에 집중된다고도 한다. 그런데, 역으로 ‘관광자원’으로 개발하기 어려운 땅이 과연 제주에 어느 정도나 될까?
그런데 그 안에 이미 현존하는 이런 문제가 있는 것이다. 누군가의 귀농으로 누군가의 소작이 떨어져나간다는 인과관계. 최소한 귀농과 관련하여 이런 이면이 있다는 점은 알고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키운 독서였다.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