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녀석 덕분에 반올림 27
이경혜 지음 / 바람의아이들 / 2011년 3월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골목길을 빠져나와 거리를 걷기 시작했다. 지금쯤 학원에서는 족집게 강사의 열강이 펼쳐지고 있을 것이다. 나는 연저에게 물었다.
- 넌 무슨 과를 가고 싶은데? 국문과나 영문과?
- 이 순진한 도련님아! 우리 집에 와 보고도 그런 소리가 나오냐?
- 응?
나는 당황해서 얼굴이 붉어졌다.
- 대학 갈 돈이 어딨니? 우리 아버진 쓰러져서 몸이 말을 안 들어. 그래도 똥오줌 칠 정도가 아니라 정말 다행이지만. 우리 엄마 라면 판 돈, 그거 갖다 바칠 만큼 대학이 대단하단 생각은 안 들거든. 돈이 남아 돌면 갈 만은 해. 언젠가 그렇게 되면 그때 가지, 뭐. 그러면 도서관학과에 가고 싶어. 사서를 하면 좋을 것 같애. 섹시한 직업이잖아?(단편 [Reading is sexy!] 53쪽)-53쪽

지현이의 팔에 안겨 양호실로 가는 내 뒷모습에 친구들의 눈길이 표창처럼 타닥타닥 꽃혀 오는 게 느껴졌다. 이 기분이 좋은 것인가, 나쁜 것인가? 나는 어지럽고 혼미할 뿐이다. 이 세상에서 내가 가장 싫어하는 것, 바퀴벌레와 교련 사열, 거기에 나는 저 독재자 박정희를 더 첨가해야만 하겠다. 도대체 이런 상황에 나를 처하게 만들다니, 이 모든 것은 다 그 사람 때문이다.(단편 [학도호국단장 전지현] 91쪽)-91쪽

- 인간들이란 워낙 이상한 동물이긴 하지만 고3은 그중에서도 정말 이해가 안 가. 우리 바퀴야 언제 죽을지 모르니까 항상 지금 현재를 즐기지. 삶이란 원래 현재형일 뿐이야. 미래는 곧 현재가 되잖아? 그런데 너희들은 오직 있지도 않은 미래를 위해서만 살아. 미래는 또 현재가 되고, 그 미래는 또 현재가 되고... 끝없이. 그러다 죽는 거지. 한 번도 제대로 살아 보지 못한 채!(중편 [그 녀석 덕분에] 127쪽)-127쪽

아아, 이런 느낌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말로는 도무지 할 수 없다. 그냥 살아 있다는 실감이 온몸으로 짜릿하게 퍼져 나갔다. 나는 그동안 거의 죽어 있었던 것이다. 내가 어떻게 저 기억을 잊고 살 수 있었는지 나는 의아해했다. 그런데 지금 이 순간 나는 그 답을 알았다. 온몸으로 번개를 맞듯이 깨달았다. 그건 내가 거의 죽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나는 죽은 채로 살았다. 3년의 시간 동안 시체처럼, 허수아비처럼, 꼭두각시처럼, 그림자처럼 살았다. 그것을 깨닫게 된 것은 지금 내가 살아났기 때문이다. 그렇다. 나는 지금 이 순간, 살아 있다. 나 장양호는 살아 있다!-157쪽

황당한 설정에 가볍게 몰고 간 소설이라 글 쓰면서 잘 우는 나도 전혀 울지 않고 써낼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마침표를 찍은 뒤에 뜻밖에도 왈칵 울음이 쏟아졌습니다. 쓸 때까지는 아이들에 이입되어 있던 내가 그새 어른으로 돌아와 그들이 겪을 험난한 길을 보니 마음이 아팠던 것입니다.([작가의 말] 196쪽)-19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