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영화시장에서 한국영화의 점유율이 6년 만에 처음으로 40%대로 추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진흥위원회가 10일 발표한 ‘한국 영화산업 통계’(2008년 1~11월)를 보면, 한국영화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41.6%였다. 이는 2007년의 50.8%는 물론이고 2006년의 63.8%에 견줘 크게 떨어진 수치다. 한국영화 점유율이 50% 이하로 떨어진 것은 2002년 48.3% 이후 처음이다. 한국영화의 침체와 더불어 스크린쿼터 축소의 여파가 본격적으로 몰아닥치고 있는 것이다.
반면 올해 미국영화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49.6%로 2007년의 49%(2007년 이전은 서울지역 통계)와 비슷했으나, 2006년의 34.9%보다는 크게 늘어났다. 스크린쿼터가 146일에서 73일로 축소된 시점이 2006년 7월1일부터였음을 감안하면, 스크린쿼터 축소 이후 미국영화의 점유율이 본격적으로 높아진 사실을 알 수 있다. 금액으로 따졌을 때 미국 영화사들이 올 한해 우리 영화시장에서 올린 매출(직배+수입)은 4271억원이었다.
이에 대해 양기환 스크린쿼터문화연대 사무처장은 “한때 한국영화 배급 파워가 할리우드와 대등해지면서 한국영화 의무상영일수였던 146일을 넘어갔는데, 이제 한국영화는 그런 힘을 급속하게 잃어가고 있다”며 “한국영화 점유율은 앞으로 5년 안에 지금의 절반인 20%대로 더 내려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영화의 위기가 더욱 깊어지면서 경쟁력 있는 영화를 만들어내지 못하면 배급력이 그만큼 더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할리우드 영화에 시장지배력을 완전히 빼앗길 것이라는 주장이다.
올 한해 가장 흥행에 성공한 영화는 668만5742명이 관람한 김지운 감독의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이었으며, 그 다음은 <추격자>(507만1578명), <쿵푸팬더>(467만3009명), <맘마미아>(448만6235명) 등의 순서였다.
한편, 외국영화의 배급사별 점유율은 파라마운트와 드림웍스의 국내 배급을 대행하는 시제이엔터테인먼트가 24.5%로 1위를 차지했고, 유피아이코리아(18.8%), 한국소니픽쳐스릴리징브에나비스타(12.7%), 워너브러더스코리아(10.4%)가 뒤를 이었다. 20세기폭스는 6.7%로 꼴찌였다. 올해 외국영화 흥행작 10편 중에도 폭스의 작품은 하나도 없었다.
업계 관계자는 폭스의 부진에 대해 “한국 지사의 사장이 자주 바뀌고 베테랑 직원들이 회사를 나간 뒤 마케팅 능력이 많이 약화됐다”고 말했다.
이재성 기자 san@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