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를 심었다.
한 판에 오천 원 주고 모종을 사 왔다.
알배추와 청배추 각 한 판씩이다.
모두 해서 일백 팔십 개 정도다.
"심어보고 우리 준다고 혀. 남을지 모자랄지."
생각보다 모종이 많이 들어가서 거들어 주신
아주머니들에게는 스무 개 가량 넘어가는 모종을 넘겨 드렸다.
개수는 적지만 보기에 가장 예쁜 놈들로 골라 와서 그런지
모두 사무실 배추모종에 대해 덕담을 한 마디씩 해주신다.
하룻밤 지나고 아침에 만난 배추 모종은 힘차고 싱싱하다.
의기양양해서 아주머니들에게 물었다.
"물은 며칠 안줘도 되겠죠?"
"배추 허는 행동보고."
배추가 하는 '행동'이라…
참 낯선 표현이다. 하지만 그 표현 속에
살아 있는 생물이란 느낌이 물씬하다.
그렇게 비가 많이 왔지만 어린 배추모종들에게
한낮의 햇살과 거친 가을바람은 견디기 쉽지 않은 조건이다.
땅 속 깊은 곳에서 수분을 끌어올리기엔 힘이 모자란 것이다.
한 낮 세 시간 동안 배추는 말라 죽어버릴 듯한 모양새로 바뀌어버린다.
"일단 물을 조금만 줘. 해그름에 좀 더 주고."
불과 십여 분 지나서 싹들이 다시 머리를 쳐들기 시작한다.
그래 다시 배추의 '행동' 이란 표현은 참으로 타당하단 생각이 드는 것이다.
배추의 '행동'은 지금 땅 속에서, 햇살이, 바람이 자신에게 작용하는
모든 에너지에 그대로 반응하며 살기 위한 치열한 몇 시간을
오롯하게 보여주었다.
모니터 너머로 배추 모종을 자꾸 흘깃거리게 된다.
- 출처 ; www.jiri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