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플레져 > 앙코르와트 기행 3 - 따프롬 사원



2초후에 무너질지도 모릅니다.
으악. 정말. 아주 긴 2초를 훌쩍 지나 무사히 따프롬으로 들어갔다.
정말 와보고 싶었던 곳.
김영하의 '당신의 나무' 의 배경이 된 그곳.



스펑(산뽕)나무.
여기의 나무들은 100년-200년 생들이 대부분이라고 한다. 100년도 안 된 나무도 있고.
100년도 못 살 인간들이 우글거리는데 나무의 신들께서는 어찌 바라보셨을까.
으스스한 기운이 감도는 그곳.
종일 이곳에 있어도 좋을 것 같았다.
스펑신이 나타나 위협하더라도.



어쩌면 곧, 이곳을 폐쇄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뭐야. 자꾸 그럴지도 모른다... ~~ 할지도 모른다는 말만 떠돌고 말이야.
몰디브도 곧 사라질거라 해서 다녀왔더니만, 여전히 성업중이더군.
알고보니... 200년 후 쯤이라나.
그렇다면 나의 후손들이 내 앨범을 보며 이렇게 말하겠고나.
"우리 00대조 할머니께서는 몰디브에 허니문을 다녀오시고, 따프롬 사원을 기행하셨으며.... 그러나 그시대 사람들에게는 유행이었으니...... 유행에 민감한 분이셨던 것이었던 것이었다!" 라고 할지도 -_-





아아아아아아아아아.
도와줘요 타잔! 하고 외치면 큰일.
타잔도 이 나무에서 저나무로 올라타지 못하리.




무너짐도 예술이요, 예술은 곧 무형식이라.
부서진 것은 그대로 두고 있는 것도 그대로 두고.









나무가 돌을 부수는가. 돌이 나무를 부수는가.

- 김영하, 당신의 나무 중에서-




무화과나무.
휘감고, 뒤엎고, 퍼붓고, 가리고, 감추고...
온갖 작태를 연출하고 있는 나무들.
처음 이 사원을 발견한 프랑스 학자들은 나무를 베어버릴 것인가를 놓고 고민했다고 한다.
나무가 사원을 어떻게 무너뜨리는지 보여주자는 걸로 결론을 내렸다고.

앙코르와트에서도 키가 큰, 거인같은 나무들을 몇 그루 볼 수 있는데
원래는 순 그런 나무들 뿐이었다고 한다.
프랑스 지배를 받던 시절, 사원을 가리고 있는 나무들을 마이 베어내버렸다.
덕분에 시야는 트였다만, 어쩐지 그 나무들의 정령이 따프롬으로 옮겨간 것은 아닐런지.
혹은 부조를 새긴 영혼들의 혼도 합류를 한 것은 아닐까.

공명의 방, 이라고 가슴을 텅텅 치면 메아리처럼 울려퍼지는 방이 따프롬에 있다.
만약 가슴을 쳤을 때 소리가 나지 않거나 울림이 없으면 건강하지 않은거라고 했더니
B,C,D들과 나는 무지막지하게 가슴을 치고 말았다.
건강하고 싶어서 ^^




줌-업해서 찍은 탓에 크게 보이지만, 유심히 관찰하지 않으면 저 나무 속의 불상이 잘 보이지 않는다.
웃고있다. 크메르인을 닮은 부조.

거대한 나무 용암들.
용암이 분출한 것처럼, 그대로 굳어버린 저 용암들은 자라고 자라고 있다.







따프롬에서 바라본 푸른 하늘.

앙코르에 가기 전 공부를 했고 도착해서도 공부했다.
익숙하지 않은 크메르어 때문인지 따프롬과 반띠아스레이, 앙코르와트 외에는 외워지지 않았다.
영화 내용을 조금이라도 흘렸다가 몰매맞는 스포일러들을 나는 사랑한다.
나는 아무리아무리 영화 이야기를 미리 들어도 영화 감상을 하는데 있어서 방해받지 않는다.
어떤 특별한 장면 때문에 그 영화를 보러 가지만,
적만한 어둠 속에서 스크린을 바라보고 있으면 머릿속은 백지가 되고 만다.

그래도 그렇지.
이건 영화가 아닌데. 어쩜 그리 백지가 되더냐!

나에게 만약 단 하루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나는 따프롬에 갈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