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50대의 힘
탁석산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12월
품절


우려스러운 것은 개인주의로 말미암아 사회는 파편화되고 개인은 소외된다는 점이다.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는 점차 희미해져가고, 개인이 책임져야 할 일은 늘어가는 데 비해 소속감은 점차 엷어져간다. 심지어 가족에의 소속감마저 점차 사라져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가족이란 네트워크가 작동되지 않는다. 가족을 구성하는 개인들은 존재하지만 네트워크가 형성되지 않고 있다. 이런 현상은 회사도 마찬가지며 학교도 마찬가지이다. 학생 개인 그리고 교사 개인은 존재하지만 학생 개인과 교사 개인 간에 과연 네트워크가 존재하는가? 네트워크의 특성상 연결되지 않은 존재는 이미 가치를 잃은 것이다.(50대는 아마도 소설을 읽은 마지막 세대가 아닐까 한다)-서문쪽

지난 50년 동안 사회적 소용돌이를 거쳐 오면서 이제는 거품이 가라앉고 서서히 계층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50대에게 시사하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절망감이다. 한국 사회가 확립된 사회로 진입했다는 것은 50대에게 막다른 골목에 들어선 듯한 절망감을 선사한다. 지금의 50대보다 앞 세대는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는 동안 성장의 열매를 충분히 따먹었다. 50대는 이제 자기들에게도 차례가 돌아올 줄로 믿었다. 그런데 그 가능성이 완전히 차단되었다. 뿐만 아니라 뒷세대가 치고 올라오는 바람에 현재의 자리까지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28쪽

(2006년 7월) 17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4~6월) 평균 취업자 2340만 9000명 중 50대 이상은 649만 4000명(27.7%)으로 30대(619만 4000명, 26.5%)와 40대(645만 명, 27.6%)을 처음으로 근소하게 추월했다. (중략) 통계청은 고령화 추세가 고용 시장에도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침에 따라 분기 단위가 아닌 연간 취업자 수에서도 조만간 50대 이상이 30~40대를 추월할 것으로 예상했다.(<동아일보>, 2006. 7. 18)-29쪽

내 생각은 조금 다르다. 나는 개인적인 측면에서 자랑스러워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본다. 비록 부모가 사회적으로는 미미한 존재라 할지라도 개인적으로 존경스럽다면 즉 자식으로부터 존경받는다면 인생에서 성공했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때의 성공이 사회적인 성공은 아니지만. 사회적인 일에 한정해서 말해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왜냐하면 사회적으로 미미한 일을 해도, 예컨대 구두를 닦는다 해도 자식들이 자랑스러워한다면 사회적으로 성공했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107쪽

남편이나 아내라는 것은 따져보면 역할의 이름이지 개인의 이름은 아니다. 변호사나 의사처럼 그것은 역할의 이름인 것이다. 변호사나 의사도 역할에서 벗어나면 개성이 넘치는 개인이 되는 것처럼 남편이나 아내 그리고 아버지나 어머니의 역할에서 벗어나도 개성이 넘치는 개인이 될 수 있다.
가족 구성원이 저마다 개성을 가진 개인으로 인식될 때 가족관계는 재정립된다. 예전이 부모가 자식을 양육하고 돌보는 일방적인 관계였다면 이제는 특수한 관계에 있는 쌍방이 주고받는 대등한 관계로 바뀐다. 개인 대 개인의 사랑이 시작되는 것은 바로 이 순간이다. 그리고 이때의 사랑은 일방적 관계였을 때의 사랑보다 훨씬 감미롭게 다가올 것이다.-140쪽

물론 욕심을 줄여야 한다는 것은 책에서도 수없이 읽은 것이지만 읽는 것과 실제 깨닫는 것은 전혀 다르다. 이제야 실감이 난다는 뜻이다. 인생에서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욕심을 줄이는 순간 인생의 새로운 가치와 의미가 발견된다. 부질없는 욕심을 버리면 얼마나 편안한지 모른다. 발버둥친다고 되는 게 아니다. 생명과 관련해서는 더욱 그렇다. 겸손해져야 하고 또 남의 얘기를 들어야 한다는 것을 약간 뒤로 물러서서야 깨달았다.-이왕재-148쪽

인생이 무엇인지 딱히 말할 수 없다고 해서 인생에 대해 고민하는 것도 포기한 것은 아니다. 열심히 생각은 하는데 생각하면 할수록 잘 모르겠다. 하지만 인생을 즐겁게 살려고 한다. 요컨대 인생의 의미에 대해 열심히 생각은 하지만 답은 나오지 않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즐겁게 살려고 하는 것이 지금의 내 모습이다.-156쪽

신뢰사회의 리트머스 시험지는 추천서의 효용이라고 생각한다. 미국이나 일본에서 추천서의 위력은 대단하다. 글자 그대로 추천서다. 믿고 채용한다. 하지만 한국의 추천서는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것을 미국의 대학들은 이미 다 알아버렸다. 습관적으로 칭찬 일색이고 사실은 잘 알지도 못하면서 써준다는 사실을. 이런 현상은 한국 사회에 정직이라는 대목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정직하면 추천서도 힘을 발휘할 것이다.-186쪽

자크 아탈리는 "가족 친구 국가, 모든 형태의 네트워크에 대한 소속은 '인간관계성 자산'이다"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자신이 지금 가진 것이 없다고 혹은 지위가 없다고 좌절하거나 씁쓸해할 것은 없다. 50대는 이 인간관계성 자산이 가장 풍요로운 세대이기도 하다. 자신이 어떤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것으로 그는 새로운 인생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220쪽

"나는 이 땅에서 몇 안 되는 행복한 사람"-최재천
"돈은 내가 쫓아다니는 게 아니다. 돈이 나를 쫓아오는 것이다. 나는 지금까지 살면서 자기가 제일 좋아하는 일을 무지하게 열심히 하면서 굶어 죽은 사람을 본 적이 없다."라고 말이다. 가끔 학생들로부터 박수를 받기도 한다.(참고, <당신의 인생을 이모작하라>)-235쪽

남편이나 아내라는 것은 따져보면 역할의 이름이지 개인의 이름은 아니다. 변호사나 의사처럼 그것은 역할의 이름인 것이다. 변호사나 의사도 역할에서 벗어나면 개성이 넘치는 개인이 되는 것처럼 남편이나 아내 그리고 아버지나 어머니의 역할에서 벗어나도 개성이 넘치는 개인이 될 수 있다.
가족 구성원이 저마다 개성을 가진 개인으로 인식될 때 가족관계는 재정립된다. 예전이 부모가 자식을 양육하고 돌보는 일방적인 관계였다면 이제는 특수한 관계에 있는 쌍방이 주고받는 대등한 관계로 바뀐다. 개인 대 개인의 사랑이 시작되는 것은 바로 이 순간이다. 그리고 이때의 사랑은 일방적 관계였을 때의 사랑보다 훨씬 감미롭게 다가올 것이다.-140쪽

물론 욕심을 줄여야 한다는 것은 책에서도 수없이 읽은 것이지만 읽는 것과 실제 깨닫는 것은 전혀 다르다. 이제야 실감이 난다는 뜻이다. 인생에서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욕심을 줄이는 순간 인생의 새로운 가치와 의미가 발견된다. 부질없는 욕심을 버리면 얼마나 편안한지 모른다. 발버둥친다고 되는 게 아니다. 생명과 관련해서는 더욱 그렇다. 겸손해져야 하고 또 남의 얘기를 들어야 한다는 것을 약간 뒤로 물러서서야 깨달았다.-이왕재-148쪽

인생이 무엇인지 딱히 말할 수 없다고 해서 인생에 대해 고민하는 것도 포기한 것은 아니다. 열심히 생각은 하는데 생각하면 할수록 잘 모르겠다. 하지만 인생을 즐겁게 살려고 한다. 요컨대 인생의 의미에 대해 열심히 생각은 하지만 답은 나오지 않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즐겁게 살려고 하는 것이 지금의 내 모습이다.-156쪽

신뢰사회의 리트머스 시험지는 추천서의 효용이라고 생각한다. 미국이나 일본에서 추천서의 위력은 대단하다. 글자 그대로 추천서다. 믿고 채용한다. 하지만 한국의 추천서는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것을 미국의 대학들은 이미 다 알아버렸다. 습관적으로 칭찬 일색이고 사실은 잘 알지도 못하면서 써준다는 사실을. 이런 현상은 한국 사회에 정직이라는 대목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정직하면 추천서도 힘을 발휘할 것이다.-186쪽

자크 아탈리는 "가족 친구 국가, 모든 형태의 네트워크에 대한 소속은 '인간관계성 자산'이다"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자신이 지금 가진 것이 없다고 혹은 지위가 없다고 좌절하거나 씁쓸해할 것은 없다. 50대는 이 인간관계성 자산이 가장 풍요로운 세대이기도 하다. 자신이 어떤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것으로 그는 새로운 인생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220쪽

"나는 이 땅에서 몇 안 되는 행복한 사람"-최재천
"돈은 내가 쫓아다니는 게 아니다. 돈이 나를 쫓아오는 것이다. 나는 지금까지 살면서 자기가 제일 좋아하는 일을 무지하게 열심히 하면서 굶어 죽은 사람을 본 적이 없다."라고 말이다. 가끔 학생들로부터 박수를 받기도 한다.(참고, <당신의 인생을 이모작하라>)-23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