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을 쫓는 아이 (개정판)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이미선 옮김 / 열림원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여행 중 어느 호스텔에서 교환한 영어 원서를 읽었다.
'천 개의 찬란한 태양'이라는 작품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알게 된 작가인데(아직 읽진 못했다)
장바구니에 담아두고만 있었던 두 책 중 한 권을 우연찮게 손에 넣게 된 것이다.
영화로도 만들어진 바 있는 베스트셀러다.
중간 중간 울음을 터뜨리면서 며칠을 꼬박 읽었는데... 마지막 날은 밤을 새고 말았다.
아프카니스탄... 신문이나 뉴스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전해 듣는 아프카니스탄의 이미지란 테러와 기아, 난민, 가난, 전쟁... 그런 것들이다.
이 책을 통해 그 이상의 아프카니스탄을 만난다.
그들이 어떻게 살았고,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게 될지 아미르'라는 주인공의 성장기를 빌어 전해준다.
지극히 정치적이고 민감한 사안들을 한 소년의 유년기와 성년기에 무리없이 대입하면서 무난하고 흥미롭게, 그러나 눈물 없이 볼 수 없는 비극적 드라마가 펼쳐진다.
역사가 있었고, 아프카니스탄이 있었고, 한 소년이 있었다. 그리고 그 소년을 둘러싼 또 다른 인물들의 갈등과 애증관계, 그로 인한 일렬의 사건들... 무의식과 자의식, 양심의 연대기들.
죄의식와 자기합리화, 열등감과 질투, 사랑과 우정, 부정과 모정, 가족과 이웃, 전통과 종교, 전쟁과 평화, 자존심과 허영심, 난민과 이민...
아프카니스탄이라는 낯선 배경을 통해 전해주는 그러한 삶의 테마들은 결코 낯설지 않다.
아프카니스탄이 아니라 한국의 근대기를 배경으로 고쳐써도 무난할만큼 낯설지 않고 공감가는 글이었다.
이 글이 가장 마음에 들었던 부분은 아프카니스탄의 과거를 미화하지도 않고, 현재의 처참한 상황에 지나친 자기연민이나 열등감, 피해의식을 들어내지도 않는 점이다.
이 글을 생각하면 심장 한 끝이 찌르르 저려온다.
산뜻한 문체가 전해준 강렬한 이미지와 감동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