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데미안 ㅣ 범우 사르비아 총서 638
헤르만 헤세 지음, 홍경호 옮김 / 범우사 / 2004년 11월
평점 :
품절
* 2008. 2. 14. ~ 2008. 2. 19.
중학교 2학년때 선생님의 권유로 몇 번 읽어보기는 했으나 그다지 뚜렷한 감동이 없었다. 그래서 나중에 내가 좀 더 이해할 수 있는 나이가 되면 다시 읽어보리라 마음먹었던 기억이 또렷하다.
언젠가 TV드라마에서 어떤 학생이 데미안을 읽으면서 눈물을 흘리는 장면을 본 적이 있다. 유난히 기억에 많이 남기도 했던 그 장면을 보면서 내 지적 수준은 데미안을 읽으면서 눈물을 흘리지도 못할 만큼 수준 이하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기도 했다.
이제 내 나이 36살이니까... 나름대로 이젠 데미안을 이해할만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여러 해 미루어 두었던 데미안을 다시 읽어 보기로 한 것이었다.
그러나, 아직 때가 아닌 것 같다.
긴 호흡으로 차분하게 읽어내려갔지만, 그다지 큰 감명은 느낄 수가 없었다.
어쩌면, 나는 데미안에 감명을 느끼기엔 철학적 사고가 부족한 것이 아닐까?
내가 재미를 느낀 부분은 이 책을 처음 읽었던 중학교 2학년 시절에 느꼈던 그 부분과 일치했는데, 데미안의 초반부분 곤경에 빠진 싱클레어를 돕는 데미안의 스토리까지이다.
조금 나아진 점이 있다면, 중반까지는 나름대로 스토리를 이해할 수 있었다는 것... 그러나, 여전히 중반 이후부터는 솔직히 무슨 말인지 이해할 수가 없었다.
10대 후반의 청소년들이 하기에는 너무 수준이 높은 철학적 대화가 오가는 것도 좀 이해하기 힘들고, 싱클레어와 에바 부인 사이에 오가는 어색한 대화도 마찬가지였다. 아마도 내가 이 소설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이런 사소한 부분에 집착함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이 소설의 주제나 작품이 의도하는 바는 무엇인지는 알겠는데 ─ 아니 내가 능동적으로 알았다기 보다는 피동적으로 알게 되었다고 보는 것이 정확한 것 같다 ─ 눈물을 흘릴 만큼의 감명은 내 가슴 속으로 느끼지 못했다는 것이 좀 서글픈 일이다.
좀 더 독서의 내공을 쌓은 후 데미안에 다시 도전을...
독서에 지장은 없긴 하지만 몇 군데에 등장하는 오자, 탈자, 잘못된 맞춤법 등이 눈에 거슬렸고, 번역이 자연스러운 곳도 있고 어색한 곳도 있어서 좀 의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