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키호테처럼 미쳐?
박홍규 지음 / 돋을새김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 2007.  9.  7. ~ 2007.  9.  12.

세르반테스의 소설 중에 읽어 본 작품은 몇 년전에 "세비야의 도둑들"이란 얇은 문고판 서적을 읽어본 것이 전부였다. 그 유명한 '돈키호테'는 읽어본 적이 없음에도 그 내용을 잘 알고 있는 것은 어떠한 연유일까..?

노동법학자 박홍규 교수는 법학계에서는 그의 고백대로 정말 '돈키호테'로 불리는 학자이다. 하지만 그의 노동법 논문은 예리하고, 다른 학자들에 비해 비교적 독창적이다.

법학교수 중에서 자기의 전공분야 외에 대중문화에 관한 글을 활발하게 남기는 학자가 박홍규 교수와 안경환 교수인데, 개인적으로도 이 분들의 외도(?)를 지지하고 있어서 두 분의 글을 즐겨 읽는 편이다.

안경환 교수의 글이 장미향기처럼 포근한 느낌이라고 한다면, 박홍규 교수의 글은 뭐랄까 코끝을 자극하는 레몬향같다고나 할까..?

이 책에도 여지없이 그러한 냄새가 베어 있다.

박홍규 교수는 나의 기대(?)에 부응하듯이 첫장부터 박철 교수의 "돈키호테"번역서를 까고 들어간다. 박철 교수는 우리나라의 최고 스페인어 교수아닌가..? 박철 교수의 반박글이 무척 기대된다.

그런데.. 문제는, 저자에게 너무 많은 기대를 걸었던 것일까.. 몇 달전에 읽었던 홍신문화사에서 출판한 "법의 정신"의 악몽이 떠올랐다.

술술 잘 읽히다가도 갑자기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없는 글들이 나타난다. 그러다가 또 어떤 단락은 이해가 잘 된다. 이 무슨...

저자는 이 책에서 자신이 현학적인 담론을 싫어한다고 했음에도 저자 자신이 현학적인 담론에 빠진 상태에서 글을 쓴 흔적인 가끔 보이고, 간혹 교조적인 면도 느껴졌다.

돈키호테의 해석에 관하여 내로라 하는 많은 학자들이 달라 붙어 자신의 해석을 내어 놓았고, 저자도 그 반열에 합류했다는 보이지 않는 강박관념 때문은 아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