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3번째 사도의 편지 1 ㅣ 뫼비우스 서재
미셸 브누아 지음, 이혜정 옮김 / 노블마인 / 2006년 11월
평점 :
절판
미셸 브누아... 20년간 사제의 길을 걷다가 작가가 된, 은둔하는 수도사.
프랑스 소설가이자 신학 전문가.
기독교의 은폐된 기원에 대한 흥미진진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이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처럼, 실제로 20년간 성 베네딕트 파 수도회의 사제였고,
바티칸에서도 5년을 보냈다.....
종교적인 문제를 다루는 것은 사실이 되었든 소설이 되었든 예민하게 느껴진다.
그래서 나는 나 나름대로 이런 류의 책을 읽을 때 꼭 작자소개글이나 연보를 확인하곤 하는데
그 이유를 간단하게 말하자면 종교를 아는 사람이냐 모르는 사람이냐를 알고 싶은 까닭이다.
정말로 믿음을 가졌던 사람이거나, 아니면 역사나 신학쪽의 공부를 한 사람이 아닌 경우에는
그야말로 픽션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어쩌면 나의 지독한 편견일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13번째 사도의 이야기를 하고있는 이 책의 저자 역시 나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음이다.
현대를 살아가면서 종교라는 것은 그야말로 필요악이 아닐까 싶다.
너무나 힘겨운 세상을 버텨내기 위해 없어서는 안될 그 무엇과도 같은 느낌이랄까?
하지만 지금의 종교적인 면을 볼 때 너무나 본질에서 벗어나고 있지 않나 싶은 생각을 하게 된다.
작자는 소설을 빌어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건 아니었을까?
실제로 진실을 찾아 헤매이다가 결국 은둔자가 되어버리는 소설속의 주인공처럼
은둔자로서 살아가는 작자의 모습이 함께 겹쳐지는 건 어쩔 수 없었다.
소위 믿는자들이 말하는 <세상것>들에게서 너무 멀리 떨어지고자 하는 모습이
지금의 종교적 믿음이라는 정의처럼 보여지니 말이다.
물론 이것은 나 혼자만의 느낌일 뿐이겠지만...
세상속에 있을 때, 사람들과 함께 할 때 진정한 진리의 참뜻이 펼쳐지는 건 아닐까 하는
나 혼자만의 우매(?)한 생각을 할 때도 많았지만,
그것은 단지 그들의 몫이려니 하면서 그런 생각을 접어두기로 했다.
13번째 사도는 말하고 있다.
너무나도 진실된 인간의 모습을 했었기에 결코 신격화 되어서는 안될 예수에 대해.
사랑받는 제자였으며 예수의 삶과 죽음,일거수일투족 모두를 보아왔던 그는 말한다.
예수는 결코 부활하지 않았다라고. 그러나 그의 무덤을 알려줄 수는 없노라고.
그 사실을 은폐해야만 했던 사람들에 의해 얼마나 많은 악행이 저질러져야 했는지를 말하고 있지만
결국 작가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문제는 세상의 질서입니다. <63쪽>
사람들은 모든 문명이 기댄 종교 기반을 아무 이유없이 문제시하지는 않네! <67쪽>
늘 결과는 같다.
세상의 질서를 위해 거짓된 진실일지라도 그것은 진실일 수 밖에 없다고.
모든 문명이 기댔던 그 기둥이 무너져 내릴 때 사람들의 혼란을 한번 생각해 본 적이 있느냐고.
<최후의 템플기사단>이라는 소설속에서도 같은 맥락의 글을 읽었던 기억이 있다.
예수로부터 가장 사랑받는 제자였으나 열두제자가 버렸던
아니 그 열두제자의 서열에서 밀려나야 했던 13번째 사도의 편지에는 무엇이 적혀 있었을까?
소설속이라해도 그 편지의 내용은 보여주지 않는다. 단지 그의 존재성만을 부각시켜줄 뿐.
하지만 그의 행적을 뒤따라가며 그 진실을 이야기해주는 글의 짜임새가 참 좋았다.
범인을 쫓아가는 추리소설처럼 약간의 긴장감과 흥미로움을 느끼며 읽었던 것 같다.
"비에니,피글리오 미오, 티 아스페타보!"
잘 왔다, 내 아들, 널 기다렸다! <240쪽>
"모든 사물이 내부까지 알려질 수는 없네. 과학은 표면일 뿐일세.
그것을 뚫고 들어가 중심. 지식의 핵심부를 찾아야 하네....중략....
그리고 여기서 자네는 영적 인식으로만 살게 될 걸세" <252쪽>
덮어두고자 했고, 덮어두어야만 했던 진실을 파헤쳤다는 이유로
죽음을 피해 모든 진실을 안은채 찾아왔던 주인공에게 또다른 은둔자가 해 주었던 말처럼
어쩌면 과학과 종교는 영원한 평행선이 될런지도 모르겠다.
아직은 과학으로도 밝혀낼 수 없는 것이 세상엔 많이 존재할테니 말이다.
하지만 신격화된 형식의 예수보다는 차라리 13번째 사도가 말해주는 것처럼
진정한 사랑을 알고 세상을 떠났던 인간으로서의 예수를 우리가 만난다면 어떨까?
우리에게 더 중요한 것은 그가 신이었다, 인간이었다 하는 그의 존재의미가 아니라
그로부터 발생되어져 나온 사랑이라는 진리, 영적인 쉼의 의미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 싶은데...
알 수 없지... 정말 나는 알 수 없다.
"로고스! 플라톤을 읽은 체하고, 주머니에 동전 몇 푼을 받으려고
무위도식하는 군중들에게 장광설을 늘어놓는 저잣거리 철학자들의 익명의 神聖!
그리스인들은 이미 대장장이 불카누스를 신으로, 매춘부 비너스를 여신으로,
질투심 많은 그의 남편 역시 신으로, 그리고 뱃사공도 신으로 변신시켰지.
오, 얼마나 쉬운지,사람의 얼굴을 한 신이라? 얼마나 대중들이 좋아하는지!
예수를 신격화하면서 그들은 모세가 우리를 빠져나오게 했던
이교도의 어둠속으로 우리를 다시 던진거야."
이제 노인은 소리 죽여 울고 있었다. <27쪽>
13번째 사도의 말이다. 나는 이 대목에서 한참을 멈춘 채 바라보았던 것 같다.
그리고 이 소설의 끝에서 작자는 말하고 있다.
진실은 감추어지지 않는다고. 다만 모습을 드러내지 않을 뿐이라고.
어쩌면 모습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을 뿐이라고.
하지만 그 진실은 13번째, 14번째,15번째...뒤를 이어 계속해서 이어져 갈 것이라고. /아이비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