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 / 갈라파고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오늘도 아침에 퍼놓은 식은밥을, 두부와 호박을 썰어넣고 끓인 먹다남은 된장찌개를, 며칠전 무쳐 비빔밥 해먹고 냉장고에 뒹굴던 가지나물과 배추나물을 빨강색 음식쓰레기통으로 마구 쳐넣었다. 어떤 건 쉰내가 나고, 어떤 건 질렸다. 새로 끓인 김치찌개와 저녁을 먹지만 내일이면 김치찌개의 일부도 개수대를 거쳐 음식쓰레기통으로 들어가게 될 것이다. 이 죄많은 나에게 이 책이 가당키나 한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를 읽으며 나는 살아온 한순간 한순간이 죄지은 느낌이었다. 커피 두 잔과 매실차 한 잔, 심심풀이로 빵과 비스킷 등등 쉬지 않고 입에 넣는 나는 얼굴은 모르지만 그들 앞에 분명 죄인이었다.   

내가 TV앞에서 눈 깜빡이며 또 무언가 입에 쳐넣고 오물오물 거리는 동안 아프리카와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대륙 각지 각국에서 5초에 한 명 꼴로 굶어 죽는 아동들이 있단다. 만성적 영양실조로 시력을 잃고 고통받는 사람들이 부지기수란다. 이 책은 유엔 식량특별조사관으로 활동했던 저자가 아들에게 들려주는 기아의 눈물어린 진실이다. 도대체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걸까?  

지금보다 어릴 때, 아프리카는 날이 더우니 일을 할 수 없어서, 일을 하고 싶어도 척박한 땅 때문에 농사를 지을 수 없어서, 애초에 발전가능성이 없어서, 거기다 발전하고자 하는 토착민들의 의지가 없어서 굶어죽을 수 밖에 없는 국가들이 옹기종기 모여있는 대륙인 줄로만 알았다. 아프리카라는 곳은 저주받은 땅이라서 그 곳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죗값처럼 그 죄를 다 받으며 살아가는 게 당연한 줄로만 알았다. 내게 사하라는 도달 불능의 멋진 곳이고 가끔 로망이기도 했다. 무식하고 어리석었다.  

이 책은 각지 각국의 기아실태를 보고하는 동시에, 지구촌이라는 명목아래 펼쳐지는 구호활동의 실상과 구호활동이 갖는 의미,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아문제가 전혀 나아지지 않을 수 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를 고발한다. 아들이 묻고 아버지가 대답하는 형태의 질의응답식으로 되어있어 이해가 쉽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인구의 2배를 먹여살릴 수 있다는 오늘날의 식량생산량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절반에 해당하는 인구가 기아로 목숨을 잃는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 거기에는 수많은 문제가 도사리고 있지만 사실상 해결 불가능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아니, 해결이 불가능한 문제가 아니라 해결할 수 있는 자들에게 해결할 마음이 없을 뿐이다. 잘먹고 잘입고 멀쩡하게 사는 사람이 굳이 골치아픈 문제에 뛰어들 필요는 없는 것 아닌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절대적 빈곤에 시달리는 전 세계 기아들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제 몸 불리기에 더 급급하다. 먹을 것이 많은 나라가 못 먹는 나라에게 먹을 것을 나눠주면 형평이야 맞춰지겠지만 한 국가내에서도 달성하기 힘든 제도를 지구촌에 적용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단지 이론적 해결에 그칠 뿐이다. 예를 들어 가격조절을 위해 수요, 공급의 형평을 맞춘답시고 곡식의 양을 필요한 만큼만 생산하도록 법으로 정한다든지, 멀쩡한 소와 돼지를 마구잡이로 도살처분하는 등 일련의 체제로 과잉 식량공급을 차단하려는 방법에서 기아문제를 해결할 마음이 없는 선진국의 본모습을 볼 수 있다.  

만약 거론되는 모든 문제를 넘어서 민간구호단체들의 식량공급과 구조활동이 투입된다해도 그저 그걸로 다가 아니다. 이렇게 공급된 식량들은 정치적 도구로 위장되어 정부에 넘어가거나 무장단체들의 피습에 이용되기 일쑤다. 그런 면에서 오히려 구호활동이 피해가 될 수도 있는 현실이다. 이런 경우 정부와 테러단체의 공조로 인해 내전이나 전쟁 등으로 고스란히 피해를 입는 것도 이미 죽어가는 국민들이다. 하다못해 미국 같은 선진국은 식량원조를 핑계삼아 중동이나 아프리카 국가의 땅 속 깊숙히 묻힌 자원을 탐낸다. 때로 값싼 노동력을 제공받아 자국의 힘을 키울 생각에 앞서 있기도 하다. 이처럼 눈앞에 굶어죽어가는 목숨을 두고도 치장할 보석이 필요한 이들이 자신의 이익을 좇을 수 밖에 없는 사회가 바로 지금 지구촌에서 가장 힘있고 부유한 국가들이 자유롭고 민주적이라 믿는 자본주의다. 

타인의 고통에 함께 아파할 수 있는 유일한 생명체는 인간이라고 한다. 그런데 로드킬 당한 친구를 지키려고 위험한 도로를 배회하는 개보다 못한 생명체도 인간이다. 처음엔 한 달에 3만원이면 굶어죽는 아이 하나 살릴 수 있다는데 뿌듯한 마음으로 기부나 한 번 해볼까 했다. 적다면 적고 많다면 많지만 과자 몇 봉지 덜 먹고 차비 몇 번만 아껴 걸으면 충분히 낼 수 있는 돈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꼭 부자가 아니라도 도울 수 있겠고 여러 명이 도우면 TV에 나오는 삐쩍 마른 아이들 덜 굶어죽는 날이 오겠지 싶었다. 이 책은 그 단순한 생각이 얼마나 위험한지 잘 보여준다. 있으면서도 돕지 않고, 돕고 싶으면서도 도울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나 한정된 자원 아래 인간의 자멸을 막기 위해서라도 기아로 인한 의도된 죽음이 오히려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말이 될 것도 같은 논리까지 감히 상상할 수 없던 부분까지 조목조목 알려주는 셈이다.  

나는 충격이 컸고 그만큼 따뜻한 마음을 갖게 되었다. 그래도 모르는 것보다 아는 것이 낫다. 기아문제가 빠른 시일 내 해결 될 수도 없고, 그 문제가 해결되는 것을 바라지 않는 국가가 더 많다. 그들이 없어야 그 땅을 차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작은 희망을 붙잡고 노력하는 사람이 분명히 있다. 움직이기 시작하면 달라진다고 했다. 세계의 절반이 굶주리는 이유는 상당부분 이기적인 욕심 때문이다. 기아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많은 구조적, 절차적 걸림돌이 있겠지만 인간애에 호소하는 기본적 양심이 가장 정점이 될 것이다. 1초, 2초, 3초, 4초, 5초. 5초는 내가 살아있는 걸 느끼는 데도 부족할 만큼 짧다. 초롱초롱한 눈망울을 반짝이며 조막만한 손으로 빵 부스러기와 물 한 모금, 쌀 한 톨과 옥수수죽을 하염없이 기다리는 아이들이 죽어가는 시간이자 내 양심이 우는 시간이다. 지금 당장 무엇을 해야 할지 알지 못하지만 소리없는 외침이 들려오는 것만 같다. 살 수 있는데도 죽어갈 수 밖에 없는 수많은 눈동자들이 나의 게으름과 나태를 다그치고 또 다그친다. 눈물이 난다. 우리는 과연 인간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