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후

금강경을 읽다가 조금 놀랐다. 언제나 금강경은 읽으면 읽을수록 더 구체적으로 몰라지는 책이라고 했다. 다시 말하면 읽을 때마다 의문이 하나씩 더 늘어났다는 뜻이다. 그런데 어제 금강경을 읽는데 별 어려움을 느끼지 못했다. 어떤 깨달음이 있었다는 말은 아니다. 늘 금강경에서 왜 이 구절이 갑자기 튀어 나왔나, 왜 이 비유가 쓰여졌나 하는 것들이 궁금했는데 어제는 연결이 잘 되었다. 문득 아, 이 말이군, 금강경은 금강경 안의 다른 구절로 모든 이해할 수도 있겠다 싶은 생각들...그러나 생각들이다. 다시 말하지만 그 안의 의미를 깨달았다고는 할 수 없다. 이해와 깨달음은 다르다. 모든 깨달음에는 실천이 동반된다. 소크라테스의 말처럼 알게 되면 그대로 행하게 된다. 그것이 바른 앎이다. 그래서 깨달음과 자비는 새의 양 날개가 되는 것이다. 그래야 날 수 있다. 그래도 겨우 읽기 시작했다고는 할 수 있겠다. 좌선과 금강경 읽기는 직접적으로 아무 관계도 없지만 해제 후에 읽으니 그랬다는 말이다. 아무 관계가 없기야 하겠는가 하는.   

요즘 텔레비전을 보거나 신문을 읽다가 잘 운다. 잘 웃기도 하고. 누구는 좌선을 하면 감정이 평온하다 못해 메말라진다고 걱정한다던데 난 마음에 슬픔이 잘 인다. 외국인 노동자 이야기를 봐도 그렇고, 전쟁 이야기며, 인질극에...보고 있으면 가슴이 떨리다가 눈물이 난다. 역시나 코메디 프로나 예쁜 장면을 보면 내 일처럼 기뻐서 웃는다. 그렇게 울고 웃다가 문득 내가 뭐하나 싶기도 하고.

 또다른 점은 좌선하지 않을 때도 계속은 아니지만 화두가 함께 한다. 결제 기간에도 안 되었는데...오매일여는 그만두고라도 좌선할 때라도 일여하면 좋겠다 싶다.

수행은 짧고 바램은 주절댄다. 또 해제 전과 후를 바라보는 나의 비교의 습관은 여전하다. 그러나 수행하다 깨치면 좋겠지만 안 되면 수행하다 죽기라도 했으면 좋겠다는 노보살님의 말씀이 떠오른다. 내게도 낡은 습관과 주절댐 대신 그런 간절함이 스며든다.

이뭐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