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심경선해
공연무득 / 우리출판사(서울출판) / 1988년 4월
평점 :
품절


대전 화상이라는 분이 쓰신 반야심경 해설이다. 그분이 누구인지 전혀 알 수가 없다고 한다. 그런데도 이 책을 구해 읽은 사람들이 그 가르침을 그냥 두지 못해 책으로 엮어 내었다.

제목에서 보듯 이 책은 "선해"(禪解)이다. 선의 관점에서 반야심경을 풀이한 것이라고 봐야 하겠다. 그러나 반야심경, 그 자체가 선이 아닌가? 나는 이 책을 읽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아래에 있는 원문은 쳐다도 안 보고 한글로만 술술 읽어갔다. 그리고는 책을 덮었다. 또 책을 펴고 처음부터 끝까지 읽었다. 사실 "선"이라는 말에서 보듯 이 강해는 이미 이해의 차원이 아닐지도 모른다.

"반야"라는 말 아래 그것이 범어이며, 지혜라는 어구의 해석을 단다. 그런데도 내 눈에는 들어오지 않는다. 책은 너무 쉽게, 기분좋게 읽혀진다. 그러다 어느 구절 가슴을 턱 막히게 하기도 한다. 그래서 몇 번이고 읽었다. 그러나 아무 것도 제대로 기억나지 않는다. 라즈니쉬는 자기가 하고 있는 말을 기억하지 말고, 그냥 그 순간 느끼라고 했다. 순간에 깨달음이 있다면 그것으로 족하다. 깨달음은 기억이 아니다.

나는 숲속 나무 아래에 앉아 대전화상의 말씀을 듣고 있다. 그러면 바람이 분다. 시원하고, 신기하다. 보이지 않는 바람이 온 숲을 흔든다. 나는 그 말씀을 곧 잊는다. 언제나 기억하고 연구해야 다 알고, 이해했다고 믿는 습성 때문에 언젠가 뒤의 영인본으로 이 글을 보리라 결심했었다. 그런데 읽다보니 그런 생각도 없어진다. 이 책은 단어 하나하나까지 설명하고 있지만 내게는 이미 시가 되었다. 책을 읽고나면 산림욕을 한 느낌이다. 머리가 서늘해진다.

하지만 여전히 어리둥절하고, 여전히 책을 펴야 부는 바람이라야 어찌 살아갈 수 있겠는가? 산소호흡기도 아니고, 책을 펴고 바람을 맞는다면. 내 속에도, 내 밖에도 온통 시원한 바람일 터인데 오늘도 화상의 손가락을 따라 바람을 찾고 있다. 여전히 이해가 되지 않는 많은 구절들...이 구절들이 영인본을 본다고 이해가 되겠는가. 내가 그것이 아니고는 이해할 수 없을 터!그러나 이해할 수 없다고 기죽지 말아라, 선희야. 고개를 들어라. 네가 이미 바람이다, 숲이다, 반야다. 

이 책은 시원하기도 하고, 답답하기도 하다. 그러나 이 책은 그런 나의 느낌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누아 2004-05-29 16: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좋은 책이 절판되다니! 얼른 다른 서점엘 가본다. 개정되어 팔리고 있다. 내가 가진 책도 5판이다. 절판되었는데 다른 서점에서 재고분이 남은 것인지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개정되어 3,500원에 팔리고 있는 것을 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