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엄경 ㅣ 민족사 불교경전 1
불전간행회 엮음 / 민족사 / 1994년 9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민족사의 작은 경전 시리즈의 [화엄경]과 같은 내용의 책이다. 작은 경전의 책이 작아서 휴대하기에는 좋지만 글씨가 작아 집에서 읽기에 불편한 점이 있다. 보통 이 불교경전 시리즈의 책들이 팔리어를 번역한 것이 많은 데 비해 이 책은 중국 동진 시대의 고승 불타발타라가 번역한 60권 본 화엄경을 축역한 것이다. 80권 화엄경이나 티벳본 등 각기 조금씩 다른 화엄경이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60권 화엄경을 주로 본다고 한다.
예전에 한문으로 된 화엄경을 사볼까 하고 서점에 갔다가 그 방대한 분량에 눌러 그냥 돌아온 적이 있어 무비 스님이 완역하신 책이 있다는 걸 얼마전 알았지만 축약본으로 된 이 책을 먼저 읽어보게 되었다. 사실, 대승경전은 반복되는 말이 많고, 좀 지루한 감이 있어 접근하기가 쉽지 않았는데 줄여 놓으니 읽기 편하고, 책장도 잘 넘어갔다.
축약되었다고 해도 본 내용을 다 모르는 나로서는 아쉬운 것이 없었다. 하지만 '입법계품'에 이르자 생각이 바뀌었다. 선재동자가 보살들을 만날 때 '만나는 인사'는 있고 '헤어지는 인사'가 없다. 찬탄과 시가 있어야 할 자리에 그것을 다 기록할 공간이 없어 몽땅 생략되어 있었다. 이 경전 시리즈의 다른 책들도 조금씩 줄여져 있긴 하지만 화엄경은 워낙 긴 글이라 줄여 놓으니 표시가 너무 많이 나는 듯.
화엄경의 사상을 이해하려고 한다면 이 책도 무난하고, 또 방대한 화엄경의 세계를 엿볼 수 있게 해주니 감사한 책이다. 책에는 인연과 시절이 따로 있어서 예전에 지루하게 느껴졌던 대승경전이 이번에 보니 지루한 줄 몰랐다. 축약본인 이 책이 용기를 주어 다음엔 완역본을, 그 다음엔...그 다음에 생각하자.
이제 대승경전과도 인연이 된 까닭일까? 화엄경을 읽고 있으면 명상 상태가 되는 것 같았다. 예전에 황당하고 지루하게 느껴졌던 글들이 살아서 움직이고, 화면을 만들어내고, 가슴을 환하게 한다. 경전은 아무래도 글이라기보다 기도에 가깝고, 이 경전은 명상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