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발심자경문은 보조국사 지눌 스님이 쓰신 "계초심학인문"(戒初心學人文)과 원효스님의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원효 스님의 제자인 야운 비구의 "자경문"(自警文)이라는 세 글을 합쳐서 부르는 이름이다.

주로 계를 받기 전 행자나 사미나 사미니 스님들이 이 글을 배운다. 이 글을 다 배워 익혀야만 강원에 갈 수도 있다. 출가자 위주의 서적이라 해도 무방하지만 출가자나 재가자나 진리를 구하는 한 마음이 일어나는 그때가 "초심"이라면 누구나 읽을 수 있는 글이다.

초발심자경문을 한 글자 한 글자 익히고자 한다면 혜국 스님의 강의는 적절하지 않다. 스님의 강의는 매월 초하루 법문이 이어진 것이고, 대중을 위한 것이라 시주자에게 보시물을 받을 때의 스님들의 자세 등 출가자에게만 해당하는 부분은 건너 뛰고 주로 재가자들이 실천할 수 있는 부분을 강조해서 강의를 하신다. 더구나 자경문 강의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초발심자경문이 대강 어떤 글인가 가볍게 알고 싶다면 그냥 들어도 좋고, 아니면 스스로 서적을 통해 온전히 익힌 다음 강의를 들어도 좋을 듯 싶다.

강의의 첫부분...처음 마음의 사람(初心之人)은 반드시 이제 막 불문에 들어온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진리를 구해야 겠다는 마음이 이는 그 순간은 출가자이든 재가자이든, 불교인이든 아니든 모두가 처음 마음을 일으키는 그 사람인 것이다. 악한 벗을 멀리하고 어질고 선한 벗을 가까이 하라는 것은  외부의 사람이나 대상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우리 안에 있는 악한 생각이 곧 악한 벗이라고...

스님도 나처럼 원효 스님의 발심수행장을 가장 좋아하신다고. 원효 스님이 파계하고 아무렇게나 지내셨다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이 글에서 그분이 고행을 통해 구도했음을 알 수 있다.

"메아리 울리는 바위동굴로 염불법당 도량삼고 슬피우는 기러기 울음으로 마음 기쁜 벗을 삼아 예불 참선에 무릎이 얼더라도 불기운 그리지 않고 주린 배 창자가 끊어지는듯 해도 먹거리 찾을 생각 내지 말지니 눈 깜짝새에 백년세월 가는 데 어찌 배우지 않을 것이며 일생이 얼마나 되기에 닦지 않고 방일하겠는가"

 읽어도 읽어도 좋은 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