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여성의 몸으로 붓다가 되리라
비키 메킨지 지음, 세등(世燈) 옮김 / 김영사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대학 때 대구 시민회관 소강당에서 전시회를 본 일이 있다. 그곳에 걸린 달마의 그림을 보고, 어떤 아저씨가 내게 달마는 깨달은 사람이라고 했다. 그는 남자라고, 여자는 깨닫지 못한다고 했다. '달마의 스승이 여자라는 설이 있어요'라고 말하고 싶었지만 하지 않았다. 논쟁이 될까 두려웠다.

인간이 깨달음을 추구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논쟁거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이 답답했다. 그러나 여자들은 숨어 있고, 또 역사가 숨기고 있었다. 답답함에 베트남의 칭하이 무상사나 한마음 선원의 대행 스님 강연을 듣기도 했다. 그분들 역시 텐진 빠모와 같이 여자의 몸으로 깨달음을 이룬 분들이셨다. 강연을 들으면 남녀에 관한 이야기가 없다. 깨달음엔 유정물도 무정물도 없는데, 남녀가 있다는 것이 어처구니없는 것이리라. 그런데도 끊이지 않고, 수행단체들에서 듣는 이야기는 '아무래도 여자는 어려워'였다. 그리고 그런 이야기를 자꾸 듣게 되니 내 게으름으로 인한 어려움도 내가 여자라서 그런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기도 했다.

텐진 빠모는 '여자는 아무래도...'의 한 가운데 있었다. 불행하게도 여자의 깨달음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곳은 수행자 집단이다. 티벳에서도 그랬다. 쉬임 없이 수행함으로써 텐진 빠모는 부당한 조건에서 수행하는 여스님들에 대해 달라이 라마에게까지 개선을 요구하였다. 그런 그녀의 모습에서 스스로에게 당당해진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생각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본 랜드와 같은 영적인 여성이 주부로서 수행하기 위해 자신에게 맞는 수행을 발견하는 모습 등에서 실제로 내가 고민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해 적지 않은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그렇다고 이 책이 여성의 깨달음만을 다루고 있는 것은 아니다. 깨달음은 이미 성을 초월해 있음으로, 텐진 빠모의 동굴에서의 수행이나 스승과의 관계, 그리고 내면의 힘 등 여러 방면은 남녀 관계없이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가에 대한 좋은 본보기이며, 이 책 구석구석에서 들려주는 이야기는 깨달음에 대한 훌륭한 가르침이다. 그녀의 수행법이나 티벳의 토그덴들의 교훈들은 아직도 내 가슴에 넘실거린다.

여성으로서 영적인 성장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책을 읽기 권한다. 수행을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유익할 것이다. 책은 무척 가볍고, 쉽다. 그러나 미소짓게 하고, 깨달음에 대한 절실함을 불러 일으킨다. 그녀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