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폭설경보가 내리는 제주에 다녀왔어. 제주공항 활주로가 복잡해서 비행기는 공항 주위를 한참 선회했어. 눈 내리는 날 하늘은 이렇구나, 싶었어. 구름은 두텁고 빽빽하게 몰려서 구름의 바다라는 말이 절로 나왔어. 구름이 어떻게 눈이 될까? 구름이 제 스스로를 떼어내서 눈이 되는 게 아닐까 생각했는데 구름은 미동도 없었어. 가만히 있는데 어떻게 눈을 내릴까? 두툼해서 뛰어내려도 될 것 같지만 비행기가 구름을 지나면 아무 저항도 없이 안개가 돼. 구름을 연구하는 사람이 비행기를 타고 올라와 이렇게 쳐다보진 않겠지? 연구실에서 어떻게 연구를 할까? 구름이 눈이 되고, 비가 되는 걸 어떻게 재현해 낼까? 인공구름도 있다니까.

 

그렇지만 나는 모르겠어. 그것이 구름을 이해하는 것인지는. 살아갈수록 모르는 게 더 많아지는 느낌이야. 너는 스무 살이었는데 모르는 것에 대해 알고 있었던 걸까? 넌 불가지론자 같았어. 그때마다 나는 누가 확실히 다 알 수 있겠냐고, 우리가 아는 아주 조금의 일에 대해 얘기하는 거니까 뭐라도 말해보라고 했지. 그러나 그 아는 조금의 느낌마저 더 작아지고 나면 모른다는 것이 압도하는 느낌이 들어.

 

하얀 구름에서는 눈이 뚝뚝 떨어지지 않았어. 하얀 구름은 숙소에서 검은 구름이 되어 눈을 뿌렸고. 아침이면 흐르는 검은 구름 같은 까마귀떼도 눈발에 흩어졌는지 몇 마리만 보였어. 김현승의 플라타너스에서처럼 마른 나뭇가지 위에 앉아 있었어. 굶주린 걸까? 아침에 거대한 무리가 의식을 치르던 모습에서 굶주림을 연상할 수 없었듯이 홀로 가지에 앉은 까마귀에서도 허기가 느껴지진 않았는데.

 

모르겠어. 다른 까마귀들은 다 어디로 가고 그 까마귀만 눈 위를 걸었는지. 평화롭던 구름이 왜 검은 빛으로 물들고 광풍과 폭설을 몰고 오는지. 누군가의 불편이나 심지어 생명에도 아무 관심이 없는 구름. 그런데도 구름을 사랑해, 라고 말하고 싶어. 구름에 대해 이토록 무지하면서 그렇게 말해도 될까? 안다는 건 뭘까? 나는 내가 사랑했던 이들을 정말 이해했을까?

 

헤세는 [페터 카멘친트](문학과지성사, 2013)에서 페터의 입을 통해 자신보다 구름을 더 사랑하는 사람은 없을 거라고 했어. 양치기가 바라보는 하늘. 그렇게 구름을 사랑한 페터는 구름을 이해했을까? 페터의 이야기를 들어 봐.

 

나는 아무도 자연을 이해한다고 할 수 없으며, 사람들이 아무리 찾고 구해도 거기서 오직 수수께끼만을 발견하고 슬퍼질 뿐이라고 대답했다. 햇빛 속에 서 있는 나무, 풍화된 돌, 동물, -그들은 각자가 하나의 인생과 하나의 역사를 갖고 있다. 그들은 살고, 고통 받고, 반항하고, 즐기고, 죽어가지만 우리는 그것을 이해하지 못한다.-p.1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