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 21세기 글로벌 사회 공공성

부 제: 현장을 가다

ISBN : 978-89-7418-319-6

부가기호: 93340

가 격: 23,000원

저 자: 이동수 편

발행일: 2013년 10월 31일

페이지: 287페이지

판 형: 신국판

제본형태: 반양장본

분 야: 국내도서>사회과학>정치학

 

 

 

[저자약력]

 

이동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취득하고, 미국 밴더빌트대학교(Vanderbilt University)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 위원, 대통령실 정책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원장으로 있다. 『미래와의 소통』(편저), 『민주주의 강의 4 : 현대적 흐름』(공저), Democracy and Social Justice in Asia and the Arab World(공저), 「지구시민의 정체성과 횡단성」, 「미국건국에 있어서 공공성과 공동성」, 「르네상스기 이태리 도시국가의 정부」, 「소통정치와 미디어」 등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김태영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와 미국 시라큐스대학교(Syracuse University)에서 각각 석사학위를, 미국 코넬대학교(Cornell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안전행정부 정책자문위원, 자체평가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공공대학원 부원장을 맡고 있다. 『정책학의 주요이론』(공저), Public Management(공저), 『행정학 한국화』(공저), Dynamics of Government Innovation(공저), 『다산의 행정개혁』(공저), 『정부혁신의 철학적 기초에 관한 소고』, 『재정분권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등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신동면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영국 바스대학교(The University of Bath)에서 사회정책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사회정책학회 연구위원장,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연구위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사회정책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in Korea : Ideas, Networks, and Linkages, 『동아시아 국가의 공공부조』, 『사회양극화 극복을 위한 사회정책 구상』(편저), 『갈등과 제도』(공저), 『박정희의 맨얼굴』(공저) 등의 저서와 논문들이 있다.

 

김운호

경희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 서울NGO세계대회 조직위원회 프로그램기획단장, 행정자치부 공익사업심사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교수, 경희미래위원회 사무총장, 한국비영리학회 부회장,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획분과실행위원으로 있다. 『행복과 21세기 공동체』(공저), 「NPO 리더의 과업에 따른 역할유형에 관한 연구」, 「비영리단체 모금의 성공요인과 기준에 관한 소고」 등 저서와 논문이 있다.

 

남순건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예일대학교(Yale University)에서 입자물리학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일반대학원 원장과 한국물리학회 입자물리분과 위원장을 맡고 있다. 세계 물리의 해에 『웰컴 아인슈타인』이라는 프로그램으로 KBS에 출연하였으며 『스트링코스모스』, 『정확히 풀리는 양자계』(공저), 『과학이 나를 부른다』(공저) 등의 저서와 다수의 국제학술지 발표논문이 있다. 최근 들어서는 소외지역의 과학대중화를 위해 울릉도, 서귀포, 부안군 등의 고등학교를 찾아가 과학강연을 하고 있다.

 

이영식

서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적외선 다이오드 레이저분광학 연구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국립 로렌스 버클리 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현재 경희대학교 응용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후마니타스칼리지 학장을 맡고 있다. 화학, 일반화학 분야의 다수의 번역서와 저서가 있고, 녹색교육센터를 설립하여 중학교, 고등학교의 <환경과 녹색성장> 교육과정 개편, 환경분야 모델 교과서 제작, 지속가능발전 분야 공공기관 교육기부 자문 등을 하고 있다.

 

송세련

미국 보스턴칼리지(Boston College : B.S. Physics)와 보스턴칼리지 로스쿨(Boston College Law School : J.D.) 및 하버드 케네디 스쿨(Harvard Kennedy Schoo : M.P.P.)을 졸업했다. 현재 경희대학교 법과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총장실 정책위원을 맡고 있다. 미국 변호사, 맥킨지 경영 컨설턴드, 미국내 커뮤니티 활동경력을 토대로 기업지배구조, 기업의 사회적 책임, 비즈니스와 인권 등 기업 및 글로벌 이해관계자관련 영역에 대해 주로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이화용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정치학회 편집이사, 한국정치사상학회 이사 등을 맡아왔고, 현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Political Representation in the Later Middle Ages: Marsilius in Context,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공저), 『유럽 민주화의 이념과 역사 : 영국, 프랑스, 독일』(공저) 등이 있으며, 「서양 중세후기 세속화의 이해」, 「주권의 경계를 넘어서-지구시민사회형성을 위한 규범적 논의」, 「권력과 소통의 정치학 : 영국 근대사회계약 담론을 중심으로」등의 논문이 있다.

 

손혁상

서울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니아대(Univ. of Pennsylvania)에서 석사학위취득과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경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장과 한국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KoFID) 운영위원, 통일부 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교수와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장, 한국국제개발협력학회 부회장, 국무총리실 국제개발협력실행위원, 외교부와 한국국제협력단 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국제개발협력 첫걸음』(공저), 『구성주의 이론과 국제관계 연구 전략』(공역), Global-ization and East Asian Community(공저), 『우리사회의 경계 : 어떻게 긋고 지울 것인가』(공저) 등의 저역서가 있다.

 

 

 

차례

 

서문_ 이동수7

1장 중국의 집단지도체제 : 협상의 정치리더십_ 이동수10

2장 안전사회와 공공성 : 싱가포르의 안전지상주의_ 김태영44

3장 사회복지와 공공성 : 스웨덴의 보편적 복지_ 신동면68

4장 기업과 공공성 : 일본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_ 김운호98

5장 에너지와 공공성 : 미국의 원자력정책_ 남순건127

6장 환경과 공공성 : 독일의 열린 환경정책_ 이영식163

7장 교육과 공공성 : 미국 대학의 사회공헌_ 송세련188

8장 다문화와 공공성 : 프랑스의 다문화정책_ 이화용228

9장 국제개발협력과 공공성 : GAVI의 아프리카 질병퇴치_ 손혁상261

저자 약력289

 

 

 

이책은:

인간은 홀로 살기 어려운 존재이다. 혼자서는 외롭기도 하고 세파(世波)를 헤쳐 나갈 힘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인류문명의 발생은 사회의 구성 및 도시의 건설과 함께 시작되었는데, 이는 인류의 발전이 공동체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전통적으로 이런 문명공동체를 유지하는 틀로 국가가 제시되었다. 국가적 삶이 인간에게 부여되고, 이는 개인의 일이나 사적인 일이 아닌 공적인 일로 여기게 되었다. 이런 공적인 일은 주로 국민의 안위, 질서, 편의 등에 집중되었고, 이를 담당하는 역할은 정부, 의회, 사법, 군, 경찰 등에게 맡겨졌다.

그런데 인류사회가 점차 산업화, 민주화, 복지화, 정보화, 세계화의 단계를 거치면서 공적인 영역의 일이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는 일뿐만 아니라 복리를 증진시키고 삶의 질을 높이는 일 또한 중요한 공적인 것으로 대두되었다. 이런 일을 국가 혼자만의 힘으로는 모두 감당하기 어렵다. 효율성을 강조하는 현대사회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따라서 이젠 공공의 일을 국가에 전적으로 맡겨서는 안 된다. 우리는 단순히 국가의 혜택을 받고 의무를 수행하는 국민의 단계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사회 곳곳에서 자신의 일을 진행하면서도 남을 배려하고 사회를 걱정하는 일을 동시에 수행하는 시민이 되어야 한다. 요컨대 현대사회의 공적인 일은 국가와 시민이 공동으로 노력하는 거버넌스를 필요로 한다.

한편 현대사회에서 시민의 참여가 늘어나는 만큼 공적인 일에 대한 범위도 크게 확대되었다. 예전에는 단순히 생산활동이나 소비활동과 같이 경제영역에 국한되었던 일들이 요즘은 생산이나 소비 모두 친환경이나 에너지문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또한 학생들을 교육하는 대학들도 상아탑의 울타리를 벗어나 시민들에게 사회적 봉사를 할 수 있는 공공성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기업들도 이윤 획득뿐만 아니라 벌어들인 이윤을 어떻게 사회에 환원할 것인지 고민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우리나라는 해외원조를 받던 국가였던 데 비해, 이제는 다른 개발도상국들에게 반대로 원조를 제공하고 봉사활동을 전개하는 국제적 공공성의 역할도 담당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가장 숭고한 히스테리환자

부 제: 라캉과 함께 한 헤겔

ISBN : 978-89-7418-577-0

부가기호: 93160

가 격: 20,000원

저자: 슬라보예 지젝

번역자: 주형일

발행일 : 2013년 10월 30일

원서명: Le plus sublime des hystériques (2011)

원저자: Slavoj ŽIŽEK

페이지: 404

판 형: 변형 신국판 (144*215)

분 야: 국내도서>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 일반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슬라보예 지젝/슬로베니아 학파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자크 라캉

 

약력:

지은이 슬라보예 지젝

1949년 슬로베니아 수도인 류블랴나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철학과 사회학을 전공한 뒤에 류블랴나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1985년 파리8대학에서 이 책의 원전이기도 한 라캉과 헤겔 연구인 『가장 숭고한 히스테리환자』로 두 번째 박사학위를 받았다. 라캉과 맑스, 헤겔을 접목한 독보적인 사유로 ‘동유럽의 기적’ 혹은 라캉 정신분석학의 전도사로 일컬어진다. 지금까지 출간된 저서만 80여 종에 달하고 이 중 30여 종이 한국어판으로 나왔다. 지금은 류블랴나대학교 사회철학연구소 선임연구원이자 유럽대학원 교수로 류블랴나에 거주하면서 영국 런던 버빅칼리지와 뉴욕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지젝이 국제 지성계와 문화에 미친 영향은 지대하며, 올해 7월 경희대학교 석학교수로 부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 『삐딱하게 보기』, 『그들은 자기가 하는 일을 알지 못하나이다』, 『당신의 징후를 즐겨라 : 할리우드의 정신분석』, 『향락의 전이』, 『환상의 돌림병』, 『까다로운 주체』, 『전체주의가 어쨌다구』, 『무너지기 쉬운 절대성』, 『시차적 관점』, 『헤겔 레스토랑, 라캉 카페』 등이 있다.

옮긴이 주형일

서울대학교 신문학과(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 5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파리 1대학교에서 미학 DEA학위를 받았다. 현재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이미지를 어떻게 볼 것인가?』, 『사진 : 매체의 윤리학, 기호의 미학』, 『영상매체와 사회』, 『내가 아는 영상기호분석』, 『랑시에르의 무지한 스승 읽기』 등이 있으며 『문화의 세계화』, 『소리 없는 프로파간다』, 『중간예술』,『섬광세계』, 『일상생활의 혁명』, 『미학 안의 불편함』, 『합의의 시대를 평론하다』, 『다시 쓰는 내 인생의 리스트』, 『더러운 전쟁』 등을 번역했다.

 

차례

서론 : 불가능한 절대적 앎10

라캉과 함께 한 헤겔17

1.“형식적 면” : 이성 대 오성19

어떤 출현의 역사19

말하고자 하는 것과 말하는 것21

제논의 역설28

대상의 상실로서의 진리33

2.소급적인 수행성 또는 어떻게 필연이 우연으로부터 솟아나는가39

알갱이 하나 더, 머리카락 하나 덜39

종합의 농담44

헤겔에게 있어서의 우연성48

소급적 효과로서의 필연성52

왕에서 관료로57

3.변증법, 기표의 논리(1) : 자기참조의 단일자63

“누빔점”63

변증법적 자기와의–연관72

예외로서의 보편자76

주체화된 구조82

헤겔의 “한 단일자” 89

4.변증법, 기표의 논리(2) : “삼자관계”의 실재95

랄랑그와 그것의 가장자리95

대립자들의 일치100

대상은 놓침이다.106

금지된 불가능한 것 110

명제–반명제–종합114

5.원상복구 : 라캉, 그는 헤겔주의자인가?120

상징계의 세 단계120

원상복구125

죄와 벌130

“아름다운 영혼”134

6.“이성의 간계” 또는 헤겔의 목적론의 진정한 본성142

오스틴의 놓침142

헤겔의 주체 대 피히테의 주체148

“화해”153

“정신은 뼈이다.”157

“부는 자기이다.”160

7.“초감각적인 것, 그것은 현상으로서의 현상이다” 또는어떻게 헤겔이 칸트의 물자체를 지양하는가165

맥컬로우와 함께 하는 칸트165

허사 ne170

“초감각적인 것, 그것은 현상으로서의 현상이다.”172

8.왜 절대적 앎이 분리자인지를 우리가 파악하게 해주는 헤겔의 두 농담178

의미작용적 성찰178

대타자 안의 결여183

상징적 행위188

“…우리가 또한 성스러운 것이라고 명명하는 이 전적인 텅 빔”196

분리하는 “절대적 앎”201

포스트헤겔적 막다른 길들211

9.상품–형식의 비밀 : 맑스는 왜 증후를 발명했나?213

맑스, 프로이트 : 형식의 분석213

상품–형식의 무의식220

맑스, 증후의 발명가227

상품의 물신적 성격231

“…여겨지는 주체들”236

10.꿈과 환상 사이의 이데올로기 : “전체주의”를 규정하기 위한 첫 번째 시도244

이데올로기 안의 실재244

잉여향락과 잉여가치249

전체주의적 환상, 환상의 전체주의적인 것253

11.신적인 정신병, 정치적 정신병 : “전체주의”를 규정하기 위한 두 번째 시도260

“추론하라… 그러나 복종하라!”260

형식의 음란성264

카프카와 함께 하는 칸트267

“법은 법이다”273

강제된 선택277

급진적 악283

신의 선사시대287

12.두 죽음 사이에서 : “전체주의”를 규정하기 위한 세 번째, 그리고 마지막 시도293

두 번째 죽음293

벤야민 : 반복으로서의 혁명296

“최후의 심판의 관점”305

전체주의적 몸310

“인민은 실존하지 않는다”320

13.이데올로기적 누빔질 : 왜 라캉은 “후기구조주의자”가 아닌가?325

기표의 “자의성”325

단일자와 불가능331

라캉 대 “후기 구조주의”336

“메타언어는 없다”340

14.명명과 우연성 : 앵글로색슨식 헤겔347

헤겔적 크립키347

묘사주의 대 반묘사주의352

언어 행위, 실재 행위362

불가능한 수행적 발화368

I와 a374

역자 후기383

참고문헌394

 

이 책은:

서론

불가능한 절대적 앎

미셸 푸코는 철학 자체를 반플라톤주의와 동일시할 것을 제안했다. 그것은 바로 플라톤이 철학의 장을 끄집어 낸 사상가였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부터 시작해서 모든 철학자들이 플라톤과 거리를 두면서 자신들의 생각을 규정했다. 비슷한 방식으로 우리는 지난 두 세기의 철학은 헤겔에 대해 거리를 두면서 구성됐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헤겔은 “범논리주의(panlogicisme)”의 괴물, 현실의 총체적 변증법적 매개의 괴물, 관념의 자기운동 속에서 현실이 완전히 와해되게 한 괴물을 구현한다. 이 괴물에 맞서 개념의 매개에서 벗어난다고 여겨지는 요소가 여러 가지로 명확히 드러났다. 이 표시는 의지의 비합리적 심연이란 이름으로(쉘링), 개인의 실존(l’existence)의 역설이란 이름으로(키에르케고르), 삶의 생산적 과정이란 이름으로(맑스) 관념의 절대주의에 맞선 세 개의 커다란 포스트헤겔적 전복 속에서 이미 발견될 수 있다. 헤겔에 동일시하는 가장 호의적인 해설가들은 절대적 앎이 구성하는 한계를 넘어서기를 거부한다. 그래서 장 이폴리트(Jean Hyppolite)는 포스트헤겔적 경험이 이성의 진보란 틀을 폭파시키는 텅 빈 반복에 의해 역사–시간의 과정을 확고히 시작시켰을 것이라고 강조한다 … 결국 헤겔의 지지자들에게 있어서도 헤겔적 체계에 대한 관계는 항상 “난 잘 알지만 그래도”의 관계이다. 헤겔이 실제성(l’effectivité)의 근본적으로 적대관계적 성격, 주체의 분산 등을 단언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 균열은 모든 상처들을 봉합하러 오는 절대 관념의 자기매개 안에서 마침내 사라진다. 절대적 앎의 위치는, 마지막 화해의 위치는 여기에서 헤겔적 사물(Chose)의 역할을 한다. 이것은 거리를 두는 것이 좋은 무서우면서도 동시에 우스운 괴물이다. 이것은 불가능하면서도(절대적 앎은 물론 접근할 수 없는 것이며 실현될 수 없는 관념이다!) 동시에 금지된(절대적 앎은 도망치게 만든다. 왜냐하면 살아 있는 것의 모든 풍부함을 개념의 자기운동 안에서 죽게 만들겠다고 위협하기 때문이다!) 사물이다. 다른 말로 하자면 헤겔의 세력권 안에서 스스로를 규정하고자 하는 모든 시도는 동일시가 실패하는 지점을 내포한다. 사물은 항상 희생돼야 한다 ….

우리에게 있어서 개별자의 살아 있는 실질(substance)을 집어삼키고 죽이는 “범논리주의적” 헤겔의 이런 모습은 그의 비판자들의 실재(le réel)이다. 이때 실재는 라캉적 의미이다. 즉, 실제로는 실존하지 않는 지점(헤겔 자신과는 관계가 없는 괴물)이지만 그럼에도 타자에 대한 부정적 참조를 이용해 우리의 위치를 정당화할 수 있으려면, 다시 말해 거리두기의 노력을 정당화할 수 있으려면 전제가 돼야 하는 지점의 건설이다. 절대적 앎이란 괴물 앞에 선 포스트헤겔주의자들을 사로잡는 공포는 어디에서 오는가? 이 환상적 건설은 그것의 매혹적인 현전(présence)을 통해 무엇을 감추는가? 어떤 구멍, 어떤 텅 빔이다. 헤겔을 라캉과 함께 읽으려고 애쓰면서 이 구멍을 그려내 보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대타자(l’Autre) 안에서의 결여에 대한, 의미작용적(signifiant) 과정을 연결하는 중심이 되는 정신외상적 텅 빔에 대한 라캉의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해서 말이다. 이런 관점에서 절대적 앎은 라캉이 분석 과정의 마지막 계기에 의해, 대타자 안에서의 결여의 경험에 의해, “통과하기(la passe)”라는 지칭에 의해 그려내려고 노력했던 것에 대한 헤겔적 이름이란 것이 드러난다. 만약 라캉의 유명한 표현처럼 사드가 우리에게 칸트의 진리를 제공한다면, 그 자신이 우리에게 헤겔의 변증법의 운동을 특징짓는 기본 모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즉, 사드와 함께 하는 칸트, 라캉과 함께 하는 헤겔이다. 그렇다면 헤겔과 라캉 사이의 관계에는 무엇이 있는가?

오늘날 상황은 명확해 보인다. 아무도 라캉이 헤겔에게 일정한 빚을 졌다는 것을 부인하지는 않지만, 그가 할 수 있었던 모든 참조는 아주 한정된 시기에 만들어진 특정한 이론적 대여에 한정된다고 인정된다. 1940년대 말부터 1950년대 초 사이에 라캉은 정신분석 과정을 욕망의 인정 그리고/또는 인정의 욕망이 가진 상호주관적 논리의 용어들 안에서 설명하려 시도했다. 이때 이미 라캉은 헤겔적 체계의 닫힘에 대해, 절대적 앎에 대해 거리를 두려고 노력했다. 그는 절대적 앎을 완벽히 동질적이고 완성됐으며 스스로 닫힌 담론의 접근 불가능한 이상형과 비슷하다고 봤다. 나중에는 전부가–아님(pas–tout)의 논리와 빗금친 대타자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헤겔에 대한 이 최초의 참조를 무효로 만들었다. 달리 보면 헤겔의 절대적 앎 — 닫힌 “원들의 원” — 과 라캉의 빗금친 대타자 — 완전히 구멍이 뚫린 앎 — 사이의 대립보다 더 양립 불가능한 대립을 상상할 수 있겠는가? 라캉은 본보기가 되는 헤겔 반대자가 아닌가?

특히 라캉에 대한 비판들이 헤겔에 대한 그의 빚을 도드라지게 만든다. 즉, 라캉은 목적론적 원 안에 텍스트의 확산을 억류하는 지하의 헤겔주의 때문에, 이성–남근중심주의에 갇힌 사람으로 머무를 것이다 … 이 비판에 대해 라캉주의자들은 당연히 헤겔주의에 대한 라캉주의의 단절을 강조하면서, 라캉이 헤겔주의자가 아니고 과거에도 절대 아니었다고 지적하면서 라캉을 구하려 애쓰면서 응답할 것이다. 이제 헤겔–라캉의 관계를 새로운 방식으로 연결하면서 이 논쟁에 다르게 접근할 때이다. 우리가 보기에 라캉은 완전히 헤겔주의자이다. 하지만 그는 그 사실을 모른다. 그는 물론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같은 헤겔주의자는 아니다. 다시 말해 헤겔에 대해 명백한 참조를 한다는 점에서의 헤겔주의자는 아니다. 그러나 바로 그의 가르침의 마지막 단계에서, 전부가–아님의 논리 안에서, 실재에 대한, 대타자 안의 결여에 대한 강조 안에서 그는 헤겔주의자이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라캉의 빛으로 헤겔을 읽는 것은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것과 같은 “범이성주의자” 헤겔의 이미지가 아닌 완전히 다른 헤겔의 이미지를 제공한다. 그것은 기표의 논리의 헤겔, 즉 텅 빈 중심의 반복적 실증화(positivation)로서의 분절된 자기참조적(autoréférentiel) 과정의 헤겔을 나타나게 할 것이다.

이런 독해는 따라서 범진리주의 그리고/또는 역사주의의 퇴적층으로부터 구출된 헤겔, 기표의 논리의 헤겔을 끄집어내면서 두 용어들의 정의 자체를 바꾼다. 반대급부로 라캉의 학설이 갖는 가장 전복적인 핵, 즉 대타자 안의 구성적 결여라는 핵을 분명히 그려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이 책은 기본적으로 대화 형식이다. 어떤 실증적 사고의 방향을 전개하려면 그것에 반대되는 주장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없다. 예를 들어 헤겔에 대해 이미 언급된 일반적 생각들은 헤겔주의 안에서 “이성의 제국주의”가 갖는 본보기 사례를 발견한다. 이런 폐쇄된 체계 안에서 개념(Concept)의 자기운동이 모든 차이들을 그리고 물질적 과정의 모든 분산을 부각시킨다. 그런 일반적 생각들은 라캉에게서도 발견된다. 그러나 그것들은 헤겔에 대한 다른 생각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 하지만 그런 생각은 헤겔에 대해 라캉이 명시적으로 확언한 것 안에서 발견되지는 않는다. 그런 이유로 우리는 이 확언들을 대부분 침묵하면서 지나친다. 우리가 보기에 라캉은 “자신이 어느 부분에서 헤겔주의자인지를 몰랐다”. 왜냐하면 헤겔에 대한 그의 독해는 코제브(Kojève)와 이폴리트의 전통 안에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변증법과 기표의 논리 사이의 관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헤겔에 대한 라캉의 모든 명시적 참조를 처음에는 한쪽에 치워두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중국 정치지도자와 기업CEO는 ‘중국판 목민심서’ {욱리자}를 읽고 난세 타개책을 찾는다

장량, 제갈량과 함께 ‘역대 3대 지낭’으로 꼽히는 유기의 역저 {욱리자}의 국내 최초 완역본이 나왔다

유 기 저

신동준 역

 

목차

역자서문

들어가는 글 - 유기와 {욱리자}

제1부 천리마

천리마千里馬 / 우시憂時 / 위소가위为所可为 / 규집정規執政 / 양동良桐 / 무귀巫鬼 / 난기亂幾 / 양효養梟 / 헌마獻馬 / 연왕호오燕王好烏 / 팔준八駿 / 촉고蜀賈 / 실인심失人心 / 박득위벌舶得葦筏 / 유치喩治 / 조호噪虎 / 단사摶沙 / 우경虞卿 / 논지論智 / 속연위영束椽为楹 / 구미호九尾狐 / 동도한東都旱 / 형촉螢燭 / 덕승德勝 / 가인의假仁義 / 상호象虎 / 섬여蟾蜍 / 시지豺智 / 현표玄豹 / 의질蟻垤 / 회망賄亡 / 석관지惜鸛智 / 포장화심包藏禍心 / 구호救虎 / 채약采藥 / 재극梓棘 / 칩보불사蟄父不仕 / 화철지술化鐵之術 / 석양선생石羊先生 / 영구장인靈丘丈人 / 형사刑赦 / 고인賈人 / 호금간好禽諫 / 오정노五丁怒 / 진영공晉靈公 / 관주官舟 / 운몽전雲夢田

제2부 미자하

미자하彌子瑕 / 자고자외自瞽自聵 / 자휘자긍自諱自矜 / 거폐祛蔽 / 송왕언宋王偃 / 월왕越王 / 즉저卽且 / 술사術使 / 무외개화無畏皆禍 / 규희헌規姬獻 / 환룡豢龍 / 사무蛇霧 / 구생득사求生得死 / 구연枸櫞 / 순우휼淳于獝 / 사빈미석泗濱美石 / 자여지인子餘知人 / 불위부지不韋不智 / 풍부馮婦 / 구마求馬 / 사위士蔿 / 양조수養鳥獸 / 공공거허蛩蛩駏虛 / 치인지도致人之道 / 한원韓垣 / 서구噬狗 / 극오분진郤惡奔秦 / 오봉烏蜂 / 중항열中行說 / 논상論相 / 포서捕鼠 / 사탐使貪 / 거두去蠹 / 혜록螇螰 / 덕량德量 / 좌변실소髽辮失笑 / 순우곤淳于髡 / 조물무심造物無心 / 진의秦醫 / 불위부정不爲不情 / 순경荀卿 / 제벌연齊伐燕 / 임기자任己者 / 논사論史 / 천지지도天地之盜 / 치포治圃 / 미숙과최羋叔課最 / 양민지도養民之道 / 외회畏懷 / 종수種樹 / 지력智力 / 생적省敵

제3부 개자추

개자추介子推 / 원교근공远交近攻 / 구두조九頭鳥 / 금현琴弦 / 독결獨決 / 학사學射 / 일지一志 / 지지知止 / 전심專心 / 주일불란主一不亂 / 우부虞孚 / 호추虎貙 / 산거야리山居野狸 / 궐숙삼회蹶叔三悔 / 후식詬食 / 호뢰好賂 / 야인견리野人見利 / 용궁무자龍宮無子 / 고소위姑蘇圍 / 한주열구旱舟热裘 / 세농역업世農易業 / 다의요행多疑僥幸 / 천도天道 / 천하지물天下之物 / 동릉후東陵侯 / 독약봉인毒药锋刃 / 고하이설枯荷履雪 / 천문天問 / 목가牧豭 / 할영割癭 / 오작지명烏鵲之鳴 / 포호빙하暴虎冯河 / 식후태食鯸鮐 / 세진說秦 / 몽기夢騎 / 격불격激不激 / 초무楚巫

제4부 유하혜

유하혜柳下惠 / 견물쟁추见物争趋 / 군사君师 / 음칠독수飮漆毒水 / 비풍진천悲风振天 / 소인유고小人猶膏 / 응화위구鷹化爲鳩 / 부전이궤不战而溃 / 과회寡悔 / 실마치구失马治厩 / 대사待士 / 사갈상인蛇蝎伤人 / 기기호음鵋鶀好音 / 굴원거초屈原去楚 / 논악論樂 / 초안招安 / 도주盗犨 / 종곡種穀 / 왕망초요汪罔僬僥 / 신선神仙 / 탐리탐덕貪利貪德 / 논귀論鬼 / 강회지속江淮之俗 / 복선화음福善祸淫 / 대동大同 / 미호麋虎 / 조인躁人 / 입교立敎 / 응후應侯 / 수원樹怨 / 당몽벽려唐蒙薜荔 / 형인외귀荊人畏鬼 / 상작賞爵 / 정전가복井田可復 / 절조竊糟 / 논물리論物理 / 신작愼爵 / 천열지동天裂地動 / 갱곽羹藿 / 대지大智 / 안기생安期生 / 행폐유도行幣有道 / 중금重禁 / 칠출七出 / 구난九難

부록1 서일기徐一夔 서문

부록2 {명사}[유기전]

부록3 유기연표

참고문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명심보감

부 제: 정본에 충실한 복원

ISBN : 978-89-7418-737-8

부가기호: 03100

가 격: 19,000원

저 자: 범립본

역 자: 신동준

발행일: 2013년 9월 30일

페이지: 428페이지

제본형태: 반양장본

판 형: 신국판

분 야: 국내도서 > 고전 > 동양고전사상 > 기타 동양고전사상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이책은:

4백여 년 동안 베트남을 포함한 동아4국에서 널리 읽힌 『명심보감』은 나름 시대를 뛰어 넘는 보편적인 가치를 언급하고 있다. ‘인의예지신’의 오상이 그것이다. 이는 지금도 여전히 유효하다. 자제들이 ‘오상’을 체득할 경우 오히려 21세기 스마트혁명 시대를 슬기롭게 헤쳐 나갈 수 있다. 영어와 더불어 세계 공용어로 등장한 중국어를 비롯해 동아시아 지식인들의 교양필수로 부상하고 있는 한문을 습득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자제 교육에 이보다 더 뛰어난 지침서도 없다. 한문공부를 시작하면서 고답적인 내용의 『천자문』을 버린 채 곧바로 『명심보감』에 입문하는 게 오히려 낫다.

본서는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매 구문마다 출처를 밝혔다. 나아가 보충설명이 필요한 대목에는 원전을 포함해 관련된 예화 등을 실어 놓았다. 『명심보감』의 주옥같은 격언과 경구 가운데는 21세기 스마트혁명 시대에 부응하는 것이 매우 많다. 그 이치를 깨닫고 활용하는 것은 전적으로 독자들의 몫이다. 본서가 동양 전래의 인문학적 고찰을 통해 코앞으로 다가온 한반도통일을 성사시켜 ‘동북아 허브국가’를 조기 실현코자 하는 모든 사람에게 나름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자:

범립본

『명심보감』의 저자 범립본范立本은 원나라 말기 지금의 절강성 항주인 무림武林 출신의 학자로 자는 종도從道다. 사서의 기록이 없어 자세한 사적은 알기 어려우나 명나라 초기 산림에 은거하여 후학을 교육하고 저술 활동을 하면서 생을 마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명나라 말기 도가사상에 뿌리를 둔 『채근담』이 나오기 전까지 『명심보감』은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말 추적이 편제한 초략본抄略本이 유행하면서 추적을 저자로 간주하는 일이 빚어졌으나 1970년대 초 단종 때 찍어낸 범립본의 완본이 발견되면서 저자를 둘러싼 논란이 종식됐다. 범립본은 홍무제의 뒤를 이은 건문제 때 다시 『치가절요治家節要』를 출간했다. 제가齊家의 중요성을 역설한 『치가절요』는 ‘성심’에 방점을 찍은 『명심보감』의 자매편에 해당한다.

역자:

신동준

학오學吾 신동준申東埈은 고전을 통해 세상을 보는 눈과 사람의 길을 찾는 고전 연구가이자 역사문화 평론가다. 현재 21세기 정경연구소 소장으로 있는 그는 격동하는 21세기 동북아시대를 슬기롭게 헤쳐나가기 위해 동양고전의 지혜를 담은 한국의 비전을 꾸준히 제시하고 있으며, 2012년부터는 《조선일보》 주말판 경제 섹션 〈위클리비즈〉의 인기 칼럼 ‘동양학 산책’을 연재 중이다. 저서 및 역서로는 『조조통치론』, 『삼국지통치학』, 『전국책』, 『국어』, 『후흑학』, 『인물로 읽는 중국 현대사』, 『조의 병법경영』, 『장자』, 『한비자』, 『귀곡자』, 『상군서』 등이 있다.

 

차례

들어가는 글7

범립본范立本 서문17

상권22

1편 선행을 이어라–계선繼善23

2편 이치를 읽어라–천리天理 49

3편 천명을 따르라–순명順命 57

4편 효도를 다하라–효행孝行69

5편 자신을 살펴라–정기正己81

6편 분수를 즐겨라–안분安分139

7편 마음을 지켜라–존심存心 148

8편 성정을 삼가라–계성戒性 180

9편 학문을 익혀라–권학勸學187

10편 효자를 길러라–훈자訓子201

하권 215

11편 심신을 다져라–성심省心217

12편 교육을 세워라–입교立敎 315

13편 정사를 펼쳐라–치정治政329

14편 집안을 챙겨라–치가治家 341

15편 의리를 보여라–안의安義 348

16편 예의를 지켜라–준례遵禮352

17편 믿음을 얻어라–존신存信363

18편 언행을 삼가라–언어言語366

19편 붕우를 만들라–교우交友379

20편 부덕을 행하라–부행婦行390

부록 1. 청주본의 『명심보감』 보유補遺399

1. 증보增補 400

2. 팔반가八反歌401

3. 속효행續孝行406

4. 염의廉義409

5. 속권학續勸學414

부록 2. 유득화庾得和 발문跋文417

참고문헌4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윤리와 사상

부 제: 주제와 문제들

ISBN : 978-89-7418-316-5

부가기호: 53190

가 격: 15,000원

저 자: 문종길, 김미덕

발행일: 2013년9월30일

페이지: 299페이지

분 야: 학습참고서>윤리학

판 형: 신국판

 

저자 약력:

문종길

철학박사, 전북 익산고 교사

김미덕

교육학박사, 경기 철산중 교사

문종길 선생 저서로는

‘환경 윤리와 환경윤리 교육(공저)’, 인간사랑, 2000.

‘윤리와 사상 : 텍스트와 함께 읽기’, 인간사랑, 2009.

‘윤리와 사상 : 텍스트와 함께 읽기2’, 인간사랑, 2011.

‘자아와 인성을 찾아가는 고1 아들과의 열네 달 동안의 대화, 책과 나무’, 2013.가 있습니다.

 

차례

머리말5

Ⅰ. 고대 윤리15

1. 상대주의와 보편주의16

고대 상대주의 : 프로타고라스18

고대 보편주의 : 소크라테스, 플라톤21

⑴ 소크라테스・21 ⑵ 플라톤・24

고득점 심화 문제29

2. 쾌락주의 대 금욕주의38

고대 쾌락주의 : 에피쿠로스학파40

고대 금욕주의 : 스토아학파43

고득점 심화 문제47

Ⅱ. 근대 윤리59

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60

경험주의 : 베이컨, 홉스, 로크, 흄62

⑴ 베이컨・62 ⑵ 홉스・65

고득점 심화 문제68

⑶ 로크・77 ⑷ 흄・79

고득점 심화 문제84

이성주의 :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96

⑴ 데카르트・96 ⑵ 스피노자・99 ⑶ 라이프니츠・102

고득점 심화 문제106

2. 공리주의와 관념론118

양적 공리주의(쾌락주의) : 벤담121

질적 공리주의(쾌락주의) : 밀124

현대 공리주의 : 규칙 공리주의128

고득점 심화 문제130

3. 독일 관념론139

의무론적 직관주의 : 칸트139

관념론의 완성 : 헤겔143

결과주의와 동기주의 윤리의 평가146

고득점 심화 문제149

Ⅲ. 그리스도교 윤리159

교부 철학, 스콜라철학, 종교개혁, 신토마스주의160

교부 철학 : 아우구스티누스162

중기 스콜라 철학 : 토마스 아퀴나스165

후기 스콜라 철학 : 윌리엄 오컴169

종교 개혁과 신토마스주의172

고득점 심화 문제177

Ⅳ. 현대 윤리187

1. 덕(德) 윤리 : 아리스토텔레스, 매킨타이어188

고대 덕 윤리 : 아리스토텔레스190

현대 덕 윤리 : 매킨타이어194

고득점 심화 문제198

2. 생철학, 실존주의210

생철학 : 쇼펜하우어212

실존주의 : 키에르케고르216

실존주의 : 사르트르219

실존주의 : 하이데거221

고득점 심화 문제224

3. 실용주의, 도덕에 관한 계약 이론, 담론 윤리233

실용주의 : 퍼스235

실용주의 : 제임스237

도구주의 : 듀이238

도덕에 관한 계약 이론 : 로크241

도덕에 관한 계약 이론 : 칸트243

담론 윤리 : 하버마스245

고득점 심화 문제248

4. 여성주의, 배려윤리260

여성주의 : 울스턴크래프트, 밀, 보부아르262

배려 윤리 : 길리건, 나딩스266

고득점 심화 문제271

5. 생명 존중, 책임 윤리280

생명 존중 : 슈바이처281

생명 존중 : 간디284

책임 윤리 : 한스 요나스285

고득점 심화 문제290

참고문헌297

 

책소개:

수능에서 윤리와 사상은 문제의 다양성을 추구하면서 학생들의 추론 능력과 사고의 확장을 테스트하기 위해 몇 가지 형태로 문제를 변형해 출제하지만, 문제의 기본 틀은 지금까지 말한 수준을 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흐름도 완성하기, 등장인물의 대화를 근거로 알맞은 사상 추론하기, 두 명 이상의 사상가를 제시해 서로 비교하기, 신문이나 방송 방식을 빌려 사상을 설명하기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어 출제되지만, 중심 내용을 이해한다면 큰 문제가 없다. 이 중에서도 특히, 흐름도의 완성과 두 명 이상의 사상가를 서로 맞비교하는 문제는 높은 수준의 추론 능력과 사전 지식을 요구하기 때문에 고득점 문제로 자주 출제된다. 이 책은 수능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특히 고득점 문제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집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