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치지도자와 기업CEO는 ‘중국판 목민심서’ {욱리자}를 읽고 난세 타개책을 찾는다

장량, 제갈량과 함께 ‘역대 3대 지낭’으로 꼽히는 유기의 역저 {욱리자}의 국내 최초 완역본이 나왔다

유 기 저

신동준 역

 

목차

역자서문

들어가는 글 - 유기와 {욱리자}

제1부 천리마

천리마千里馬 / 우시憂時 / 위소가위为所可为 / 규집정規執政 / 양동良桐 / 무귀巫鬼 / 난기亂幾 / 양효養梟 / 헌마獻馬 / 연왕호오燕王好烏 / 팔준八駿 / 촉고蜀賈 / 실인심失人心 / 박득위벌舶得葦筏 / 유치喩治 / 조호噪虎 / 단사摶沙 / 우경虞卿 / 논지論智 / 속연위영束椽为楹 / 구미호九尾狐 / 동도한東都旱 / 형촉螢燭 / 덕승德勝 / 가인의假仁義 / 상호象虎 / 섬여蟾蜍 / 시지豺智 / 현표玄豹 / 의질蟻垤 / 회망賄亡 / 석관지惜鸛智 / 포장화심包藏禍心 / 구호救虎 / 채약采藥 / 재극梓棘 / 칩보불사蟄父不仕 / 화철지술化鐵之術 / 석양선생石羊先生 / 영구장인靈丘丈人 / 형사刑赦 / 고인賈人 / 호금간好禽諫 / 오정노五丁怒 / 진영공晉靈公 / 관주官舟 / 운몽전雲夢田

제2부 미자하

미자하彌子瑕 / 자고자외自瞽自聵 / 자휘자긍自諱自矜 / 거폐祛蔽 / 송왕언宋王偃 / 월왕越王 / 즉저卽且 / 술사術使 / 무외개화無畏皆禍 / 규희헌規姬獻 / 환룡豢龍 / 사무蛇霧 / 구생득사求生得死 / 구연枸櫞 / 순우휼淳于獝 / 사빈미석泗濱美石 / 자여지인子餘知人 / 불위부지不韋不智 / 풍부馮婦 / 구마求馬 / 사위士蔿 / 양조수養鳥獸 / 공공거허蛩蛩駏虛 / 치인지도致人之道 / 한원韓垣 / 서구噬狗 / 극오분진郤惡奔秦 / 오봉烏蜂 / 중항열中行說 / 논상論相 / 포서捕鼠 / 사탐使貪 / 거두去蠹 / 혜록螇螰 / 덕량德量 / 좌변실소髽辮失笑 / 순우곤淳于髡 / 조물무심造物無心 / 진의秦醫 / 불위부정不爲不情 / 순경荀卿 / 제벌연齊伐燕 / 임기자任己者 / 논사論史 / 천지지도天地之盜 / 치포治圃 / 미숙과최羋叔課最 / 양민지도養民之道 / 외회畏懷 / 종수種樹 / 지력智力 / 생적省敵

제3부 개자추

개자추介子推 / 원교근공远交近攻 / 구두조九頭鳥 / 금현琴弦 / 독결獨決 / 학사學射 / 일지一志 / 지지知止 / 전심專心 / 주일불란主一不亂 / 우부虞孚 / 호추虎貙 / 산거야리山居野狸 / 궐숙삼회蹶叔三悔 / 후식詬食 / 호뢰好賂 / 야인견리野人見利 / 용궁무자龍宮無子 / 고소위姑蘇圍 / 한주열구旱舟热裘 / 세농역업世農易業 / 다의요행多疑僥幸 / 천도天道 / 천하지물天下之物 / 동릉후東陵侯 / 독약봉인毒药锋刃 / 고하이설枯荷履雪 / 천문天問 / 목가牧豭 / 할영割癭 / 오작지명烏鵲之鳴 / 포호빙하暴虎冯河 / 식후태食鯸鮐 / 세진說秦 / 몽기夢騎 / 격불격激不激 / 초무楚巫

제4부 유하혜

유하혜柳下惠 / 견물쟁추见物争趋 / 군사君师 / 음칠독수飮漆毒水 / 비풍진천悲风振天 / 소인유고小人猶膏 / 응화위구鷹化爲鳩 / 부전이궤不战而溃 / 과회寡悔 / 실마치구失马治厩 / 대사待士 / 사갈상인蛇蝎伤人 / 기기호음鵋鶀好音 / 굴원거초屈原去楚 / 논악論樂 / 초안招安 / 도주盗犨 / 종곡種穀 / 왕망초요汪罔僬僥 / 신선神仙 / 탐리탐덕貪利貪德 / 논귀論鬼 / 강회지속江淮之俗 / 복선화음福善祸淫 / 대동大同 / 미호麋虎 / 조인躁人 / 입교立敎 / 응후應侯 / 수원樹怨 / 당몽벽려唐蒙薜荔 / 형인외귀荊人畏鬼 / 상작賞爵 / 정전가복井田可復 / 절조竊糟 / 논물리論物理 / 신작愼爵 / 천열지동天裂地動 / 갱곽羹藿 / 대지大智 / 안기생安期生 / 행폐유도行幣有道 / 중금重禁 / 칠출七出 / 구난九難

부록1 서일기徐一夔 서문

부록2 {명사}[유기전]

부록3 유기연표

참고문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