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한 권으로 읽는 지젝

ISBN : 978-89-7418-589-3

부가기호: 93160

가 격: 29,000

저 자: 켈시 우드

역 자 : 박현정

원서명: Zizek : A Reader's Guide (2012)

원저자: Kelsey Wood

발행일: 2018330

페이지: 625페이지

제본형태: 반양장본

판 형: 신국판

분 야: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슬라보예 지젝/슬로베니아 학파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저자약력]

켈시 우드(Kelsey Wood)

 

홀리 크로스 대학(College of the Holy Cross)

보스턴 대학(Boston University),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에서

철학을 가르쳤다.

저서로 Troubling Play: Meaning and Entity in Plato’s Parmenides(2005)가 있다.

 

 

옮긴이

박현정

 

서울대학교 미학과 학사/석사

서울대학교 철학과 박사(서양 철학 전공)

논문으로 하이데거 사유에서 존재의 유한성

가상현실에 대한 한 존재론적 고찰,

혐오의 시대, 주체와 타인: 레비나스와 지젝의

대화를 통해등이 있으며

번역서로  데리다 평전이 있다.

 

 

 

 

 

차례

 

 

7 제문

9 감사의 말

 

11 1 서론

89 2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

105 3 그들은 자기가 하는 일을 알지 못하나이다: 정치적 요인로서의 향유

127 4 삐딱하게 보기: 대중문화를 통한 자크 라캉 입문

145 5 당신의 징후를 즐겨라! 할리우드 안팎에서의 자크 라캉

181 6 부정성과 함께 머물기: 칸트, 헤겔 그리고 이데올로기 비판

205 7 향유의 전이: 여성과 우연성에 대하여

219 8 나눌 수 없는 잔여: 셸링과 관련된 문제들에 대한 에세이

237 9 환상의 돌림병

257 10 까다로운 주체: 정치적 존재론의 부재하는 중심

275 11 우스꽝스러운 숭고의 기술: 데이비드 린치의 <로스트 하이웨이>에 대하여

293 12 무너지기 쉬운 절대성: 또는, 왜 기독교적 유산은 옹호할 가치가 있는가?

309 13 믿음에 대하여

325 14 진짜 눈물의 공포: 이론과 후기이론 사이의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343 15 전체주의라고? 개념의 (잘못된) 사용으로의 다섯 가지 개입들

367 16 실재의 사막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383 17 꼭두각시와 난장이, 기독교의 도착적 핵심

403 18 신체 없는 기관: 들뢰즈와 결과들에 관하여

419 19 이라크: 빌린 주전자

433 20 How to Read 라캉

455 21 시차적 관점

479 22 잃어버린 대의를 옹호하며

497 23 폭력

515 24 처음에는 비극으로 다음에는 희극으로

537 25 종말의 시대에 살기

571 26 결론

607 역자 후기

613 참고문헌

 

 

 

 

 

 

 

이책은:

 

지젝의 대표작 24편으로 시작하는 지젝 바로 알기

 

 

한 권으로 읽는 지젝은 라캉은 물론 헤겔, 셸링, 마르크스, 프로이드, 하이데거, 데리다, 알튀세르, 바디우의 작업들을 교묘히 가로지르면서 슬라보예 지젝의 사유에 대한 포괄적 통찰을 제공한다.

 

지젝은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도발적 사상가로 유명하다. 그는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이론에서 끌어온 개념들을 헤겔 철학의 방법론과 결합함으로써 인간 본성과 인간 사회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전망을 내놓는 다. 지젝은 유머와 명쾌함 그리고 놀라운 박식함을 무기로 글을 쓰면서 동일성, 존재론, 세계화, 포스트모더니즘, 정치철학, 문학, 영화, 생태학, 종교, 프랑스혁명, 레닌, 언어철학 그리고 정신철학과 관련해 다양한 철학적 문제를 다루어왔다.

 

한 권으로 읽는 지젝은 철학자와 일반 독자 모두를 위해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지젝의 폭넓은 작업을 대륙 철학의 문맥 속에 위치시키고 그 선례들에 연결하며 그것들이 공유하고 있는 주요 입장들을 고찰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우리는 어떤 삶을 선택할 수 있을까

부 제: 인류 고전 15권에 묻고 스스로 답하다

ISBN : 978-89-7418-375-2

부가기호: 03100

가 격: 15,000

저 자: 박병기

발행일: 2018220

페이지: 213페이지

제본형태: 반양장본

판 형: 변형판

분 야: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고전

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철학

 

 

[저자약력]

박병기(朴柄基)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이고, 전주교육대학교 교수를 거쳤다.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불교원전전문학림 삼학원(5년제)에서 불교철학과 윤리를 공부했고,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전문위원, ‘2015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연구의 책임자를 맡기도 했으며. 현재 계간 불교평론편집위원장도 맡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은 윤리학(불교윤리)과 도덕교육학이고, 대표저서로 동양 도덕교육론의 현대적 해석(인간사랑, 2010 문광부 우수학술도서)의미의 시대와 불교윤리(씨아이알, 2014년 세종학술도서)가 있다.

 

 

 

 

 

차례

 

 

머리말 7

 

서론: 관계 맺기의 어려움과 우리 시대의 고전 18

 

1 자신과 올바른 관계 맺기

 

우리는 세상의 흐름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29

- 지금 여기서 금강경읽기

 

내 마음 속 부처를 어떻게 할 것인가? 41

- 테러 시대에 지눌의 수심결(修心訣)읽기

 

우리 시대에 공부란 무엇일까? 51

- 공부가 고통인 시절에 율곡의 격몽요결읽기

 

우리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까? 63

- 행복과 의미 상실 시대에 논어읽기

 

2 다른 사람 및 공동체와 관계 맺기

 

낯섦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77

- 다종교 시대에 꾸란읽기

 

윤리 귀환 시대에 시민으로 살아가기 89

-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윤리학읽기

 

우리 시대에도 보편윤리가 가능할까? 101

- 칸트의 윤리형이상학 정초읽기

 

이 땅에 정의(正義)가 살아 있을까? 111

- 상징폭력의 시대에 플라톤의 국가다시 읽기

 

정의(正義)를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까? 123

- 촛불혁명의 완수를 위한 롤즈의 정의론읽기

동정심은 우리를 위기에서 구할 수 있을까 135

- 핵 위기 시대에 밀의 공리주의읽기

 

우리는 어떤 정치를 꿈꿀 수 있을까 147

- ‘촛불혁명의 눈으로 다산의 목민심서읽기

 

3 일상을 넘어 다른 존재와 관계맺기

 

이 소리 없는 학살을 어떻게 끝낼 수 있을까 161

- 가축 학살 시대에 싱어의 동물해방읽기

 

절망의 시대에 초월의 의미를 다시 묻다 173

- 다종교 문화 속에서 신약성서읽기

 

성장 신화의 미망(迷妄)에서 깨어나기 183

- 탈원전 선언과 함께 도덕경읽기

 

어떤 진리를 추구하며 살아야 할까? 193

- 진리 상대주의 시대에 장자읽기

 

맺음말: 우리 일상 속에서 고전과 어떻게 만나야 할까? 203

참고문헌(읽을 만한 고전 번역본) 210

 

 

 

 

이책은:

올해(2018) 3월부터 전국의 고등학교에서 고전과 윤리라는 진로선택과목을 배울 수 있게 된다. 금강경, 논어같은 동양 고전을 물론이고 국가니코마코스윤리학등 서양 대표 고전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신약성서꾸란이 포함되어 있어 종교 간의 만남과 대화를 위한 토대를 쌓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작은 책은 고전과 윤리교과서 대표저자인 필자가 이 과목에 포함된 15권의 고전과 어떻게 만나 대화할 수 있을지를 안내하는 내용과 실천지침을 담고 있다. 교사들은 물론 이 땅의 모든 학부모와 시민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저자의 간절한 소망, 즉 바쁜 일상 속에서 한 걸음 물러서서 이렇게 살아가도 괜찮은지를 스스로에게 묻고 또 그 과정을 우리 아이들과도 나눌 수 있는 시·공간의 확보가 가능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책에서 만나는 고전

 

금강경, 수심결(修心訣), 격몽요결, 논어, 꾸란

니코마코스윤리학, 윤리형이상학 정초, 국가, 정의론, 공리주의

목민심서, 동물해방, 신약성서, 도덕경, 장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