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생각은 기술이다』 저자와의 대화
개정판 출간 기념 저자 강연 및 사인회

일시: 2017년 6월 17일(토) 오후 4시-5시
장소: 교보문고 광화문점 배움홀 (블로거님들 그날 얼굴 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검은 피부, 하얀 가면 - 전면개정판
프란츠 파농 지음, 이석호 옮김 / 인간사랑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하세요? 인간사랑 출판사입니다. 검은 피부 하얀 가면 개정 내용은 책 6쪽 보시면 일러두기에 있습니다. 전체적으로는, 1. 역주 추가 2. 프랑스 발음으로 인명, 지명 등 고유명사 표기 통일 3. 프랑스어판을 기준으로 번역 수정 4. 원주 프랑스어판에 맞춰 수정하고 후주로 돌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 내용

무한경쟁의 국가 총력전으로 치닫고 있는 21세기 스마트 시대의 경제전쟁 양상도 삼국시대의 난세상황과 하등 다를 바가 없다. 실제로 삼성과 애플의 격돌, 현대기아차와 도요타자동차의 접전 등 한국의 대표적인 글로벌 기업이 세계시장에서 벌이고 있는 모든 싸움은 삼국시대의 관도대전과 적벽대전, 한중대전, 이릉대전 등을 방불하고 있다.

와이먼이 증언하고 있듯이 조조의 천하경영 전략은 21세기 경제전쟁에 그대로 관통하고 있다.

.

  • 댓글이벤트


    댓글을 달아주신 분 중 5분을 추첨하여 <조조의 병법 경영>을 1권씩 보내 드립니다.

    • 참여방법

    1. 댓글이벤트를 스크랩해주세요!

    2. 댓글을 달아주세요.

    • 이벤트 기간
      2012.10.10 ~ 2012.10.21

    • 당첨자 발표

    2012. 10. 22.(댓글에 당첨자 아이디 발표)

    당첨되신 분은 꼭 지켜주세요
    도서 수령 후, 14일 이내에 도서 리뷰를 꼭 올려주셔야 합니다.

    (기간 내에 힘드시면 댓글이나 꼭 쪽지 한통!!!)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2-10-10 23: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10-11 06: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진보의 새로운 조건들 - 사건, 진리, 장소
이정우 지음 / 인간사랑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의 혼란 속에서 길을 잃어버리지 않으려면 때때로 멈추어 서서 지나간 시간들을 반추해 보아야 한다. 이것이 역사철학(philosophy of history)의 역할이다.

우리는 해방 이후 자유주의의 형태로든 사회주의의 형태로든 또는 민족주의의 형태로든 다분히 목적론적 역사철학의 그림자 아래에서 사유하고 행동해 왔다.

1990년대에 미셸 푸코의 등장과 더불어 목적론적 역사철학의 한계가 노정되었고, 역사에 대한 불연속적 이해라든가 미시사라든가 하는 새로운 방식의 사유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역사의 단절적 이해도 또 미시사도 모두 ‘역사철학’의 불가능하게 하는 사유들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저작은 모든 것들이 혼란하고 모호한 오늘날 역사를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그로써 윤리와 정치가 가야 할 길이 어디인지를 생각해 보려 한다.

목적론적 역사철학이나 또는 역사철학 자체의 거부를 넘어서 ‘반복과 차이’라는 새로운 역사철학적 구도로 역사를 바라보고, ‘타자-되기’ 또는 ‘소수자의 윤리학 및 정치학’이라는 윤리학적-정치학적 비전을 모색하고 있다.

1장에서는 현대 사회를 ‘관리사회’로 파악함으로써, 2000년대라는 새로운 시대를 개념화하고 있다.

2장에서는 “진리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해 ‘실재의 귀환’이라는 답을 제시하고 있으며, 생명의 귀환, 노동의 귀환, 주체의 귀환을 논하고 있다. 그리고 이 논의구도를 역사철학에 연결해서 역사에서의 실재의 귀환이란 무엇인가를 논하고 있다.

3장에서는 “장소란 무엇인가?”라는 문제를 다루면서 ‘진리의 장소’를 논하고 있으며, 이 논의구도를 역사철학에 연결해 역사에서의 진리의 장소에 대해 다루고 있다.

4장에서는 소수자 윤리학의 철학적 근거로서 ‘타자-되기’를 논함으로써 논의를 마무리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