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원고 작성의 원칙

리포트 원고 역시 글입니다. 당연히 글을 쓰는 일반적 원칙이 그대로 적용됩니다. 다만 방송 뉴스를 위해 화면과의 일치성이 강조되는 글이라는 특성은 있습니다. 또 특정 분야에 대한 사전 지식이나 특별한 관심을 갖지 않은 일반 대중을 상대로 짧은 시간 안에 어려운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한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스트레이트 기사를 작성하는 대원칙이 그대로 적용됩니다. 문장은 간결하되 문장으로서의 요소를 제대로 갖추어야 합니다. 정확성, 객관성, 공정성, 균형성, 간결성, 평이성, 친절성, 윤리성과 품위도 마찬가집니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방송 기사의 시제는 오늘이며, 시제를 생략하는 편이 일반적으로는 더 자연스럽습니다.

1. '우리말'로 작성됩니다.
이 단순하고 명백한 사실을 잊어버리는 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이 원칙만 항상 염두에 두고 리포트 원고를 작성한다면 큰 실수는 없을 것입니다.

1) 금기 외국어를 그대로 직역해서는 안됩니다. 이 단순하고 명백한 사실을 잊어버리는 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예) 되어져야 합니다(X)
-->돼야 합니다.(O)
(되어지다'란 원형을 가지는 동사는 우리말에는 없습니다. '되다'가 옳습니다. 또 '되어야'도 구어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글자수가 더 적고 발음은 더 쉬운 표현은 없는지 항상 연구해야 합니다.)

북한의 정책의 변화로 인해(X)
-->북한의 정책이 바뀌었기 때문에(O)
-->북한의 정책 변화로(O)
(여러분들은 일상 대화에서 소유격 조사를 두 번 연거푸 쓰시는지?)

정부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X)
-->정부 고위 당국자는...라고 말했습니다.(O)
('...에 따르면 '식의 보도는 영어의 'according to'를 번역한 것이지만, 영미 언론에서도 'according to'식의 표현을 피하도록 권장하고 있음을 유념하십시오.)

2) 구어체로 작성해야 합니다. 현재형의 시제를 사용하면 훨씬 구어체답게 됩니다.
예1) '관중이 천 명이나 되더라'지 '천 여 명의 관중이 왔더라'라는 대화는 없습니다
예2) 9백 여 명의 학생-->학생 9백 명

3) '명사+하다' 형태의 용언을 사용하십시오.
예) 조사를 벌였습니다.--> 조사했습니다.
심문을 벌였습니다.--> 심문했습니다.
(이 경우 소리내서 발음해 보십시오. 어느 음절이 가장 강하게 발음되는지. 아무 뜻도 없는 '를, 을'이 강조될 것입니다. 이런 낭비는 있어서는 안됩니다. 중요한 단어를 강조해서 발음하는 것이 기본일 것입니다)

봉인 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봉인하고 있습니다.
질적 향상을 위해-->질을 높이기 위해-->개선하기 위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사망했습니다--> 숨졌습니다

검문 경찰관을 폭행하고 달아나던 음주 운전자가 구속됐다(X)
--> 폭행하고 달아나던 음주 운전자가 구속되는 사건이 발생....
(수정 기사)
--> 음주 운전자가 ....폭행해 중상을 입히고 달아났다.(최종)

2. 설득력이 있어야 합니다.
'말에 조리가 없으면 말하지 않음만 못하다'.(言中不理면 不如不言)

1) 정확한 용어를 구사해야 합니다.

2) 힘있는 문장을 지향합니다. 금기 수동태는 문장에 힘이 떨어집니다. 수동태를 피하십시오.
예) 선원 2명의 실종이 선장에 의해 알려져(X)
--> 선원 2명이 실종됐다는 선장의 말로 미루어(O)
--> 선원 2명이 실종됐다고 선장이 알려와(O)

3) 짧고 간결하게 쓰십시오.
- '간결함은 생명이다'(Brevity is the soul of wit / Hamlet 2막 2장)
의미가 자연스럽게 전달된다면 문장의 필수 성분일지라도 생략할 수 있습니다.
- 장식이 없어야 합니다(특히 감탄사). 방송가에서는 불필요한 수식을 생략하라고 충고들을 합니다. 그러나 다소 지나친 감은 없지 않지만 모든 수식은 불필요하다고 기억하는 편이 편리할 것입니다. 수식을 걷어내면 설득력도 더해지고 흐름도 훨씬 부드러워집니다. 시간도 여유있게 됩니다.

수식어에 의존하는 방송기자들의 면면을 보면, 평소 확인되지 않은 주장을 정당화하거나, 부실한 취재를 은폐하기 위해 수식어를 남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수식은 리포터 본인은 물론 전체 뉴스 나아가 방송사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게 됩니다.

4)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십시오.
- 주관적, 감정적인 표현, 단정적인 표현, 객관적으로 검증되기 어려운 표현은 피해야 합니다. 금기 '최초' '최대', '최소' '최고'등 최상급 표현은 쓰지 않는 편이 낫습니다.
- 수치를 인용하거나 전문가 또는 종사자들의 인터뷰(soundbite, clip)를 삽입하면 객관적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 한두 번의 간접 화법은 유보적인 뉘앙스를 풍기기 위해 필요합니다. ♠주의♠ 그러나 문장마다 "라고 합니다" "라는 것입니다" "라고 전해집니다"식으로 반복한다면 무책임한 인상을 주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