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한국 신화 1 - 천지왕, 하늘과 땅을 열다
구명서 지음, (주)미디어러쉬 그림 / 작은박물관 / 2005년 11월
평점 :
절판


그리스로마신화의 열풍... 아니 광풍이라고 해야 할까 우리집 아이들도 그 책에 빠져서 새로 출간될때 마다 그거 못사서 안달을 하고 갈수록 내용이 마음에 들지 않아 사줘야 하나 말아야 하나를 고민할때 아이들은 학급문고에서 빌려다 보기까지 하니 어쩔 수 없이 출간되는 족족 사주는 수 밖에 없었다.

보면서도 왜 우리는 서양의 신화에 대해선 모르는게 없을 정도로 달달 외우면서 정작 우리 신화에 대해선 아는게 뭘까... 제대로 된 신화얘기가 없다는것에 참 많은 아쉬움을 가졌었다.

그런데 몇일전 아이가 동네 서점에 다녀오더니 꼭 이책을 사고 싶다고 한다.

만화 한국신화.

내용을 대충 살펴 보았을땐 그다지 썩 내켜들지는 않았다. 가격에 비해 내용이 너무 짧고 그림도 그렇고.. 그런데 아이가 한국신화에 관심을 가질때 보게 하자 싶어 사줬다.

아이의 반응은 재밌다.  그런데 총명아기 목욕신은 너무 야해.(초등학교 1학년만 되어도 이런것에 관심이 많아 지나 보다.) 뭐 이런정도..    아울러 그리스로마 신화보다 내용이 너무 짧아서 아쉽단다.

대별이 소별이가 아버지인 천지왕을 만나러 박씨를 심고 거기서 자란 나무를 타고 하늘로 올라가는 장면에서 이건 잭키와 콩나물같아 하는 소리에 가슴이 철렁.

우리는 너무 우리것을 등한시 하고 살아왔나 보다.

그러니 아이마저 이런 장면에서 외국동화에서 본 장면과 같다고 하면서 이게 뭐야 하는 반응을 보이니 말이다.

10권까지 출간예정이라고 하는데 좀더 내용이 충실해 졌으면 좋겠다.

중간 중간에 있는 학습코너는 읽는 흐름을 방해 한다고 하니 좀 고려 해 보는것도 좋겠다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리하라의 과학블로그 - 현대과학의 양면성, 그 뜨거운 10가지 이슈 살림 블로그 시리즈 4
이은희 지음, 류기정 그림 / 살림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생물학 카페를 무척이나 재밌게 보았다.

그래서일런지는 몰라도 은근히 이 책에 대한 기대가 컸는지 모른다.   게다가 주제가 현대과학의 양면성, 그 뜨거운 10가지.

모두 요즘들어 중요시 되고 모르고 지나치기엔 무서운 것들이어서 더욱 더 궁금하고 기대를 했는지도.

뚜껑을 열어보면 칼라 사진과 설명을 쉽게 도우기 위해 더해진 그림들로 인해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는데 간혹 눈에 거슬리는 부분도 있었다.





  운동을 하면서 마시는 음료인 팻다운 같은 경우 상표까지 선명하게 보이고.. 이거 간접광고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제니칼이나 리덕틸같은 약은 모르는 사람들이 오히려 더 많은데 혹시 이 책을 보고 이거 한번 먹어봐 하는 그런 잘못된 생각을 하면 어쩌나 싶은.. 그런 노파심마저 들었다. 

   전문의약품으로서 의사의 처방전이 있어야 살 수 있다고는 하지만 과연 그럴까 하는 ...예전 시사고발 프로그램에서 제니칼에 대해 다룬 적이 있었다.  시내 유명약국에 가면 처방전 없이 구할 수 있다는..지금은 많이 보완되어서 그런 음성적인 거래가 없기만을 바랄 뿐이다.

 

 

 

또한 이 책을 통해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 그리고 테오 콜본의 도둑 맞은 미래는 꼭 읽어 봐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1962년에 이미 이런 환경의 재난을 경고한 책이 나왔었다니..왜 사람들은 뒤늦은 후회를 하게 되는 것인지... 그저 안타깝기만 하다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어딘지 모르게 뭔가 빠져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너무 쉽게 과학이야기를 풀어 내려고 노력하다 보니 눈높이 조절에 실패하신건 아닐까??

뒷표지에 쓰여진 글이 이 책을 말해주는 요점인것 같다.

과학은 우리에게 무한한 생명연장의 꿈과 생활의 편리를 가져다주는 한편, 어느 틈에 우리를 수렁으로 밀어 넣는 것처럼 보인다.

바이러스 감염으르 막기 위해 개발된 항생제로 인해 인류는 끊임없는 변종 변종 바이러스의 위협에 시달리게 되었고, 해충에 강하고 영양가 높은 먹거리를 위해 만들어진 유전자 조작 식품은 유전자 변이를 유발한다는 부작용 논란에 휘말려 있다..  그렇다고 우리가 과학으르 내던지고 자연으로 돌아갈 수는 없다.

현대과학이라는 판도라의 상자에서 꿈과 희망을 건져 올리기 위해 필요한 것은 위가 과학에 대해 좀더 현명해지는 일이다.



세상이 발전하는 만큼 안전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똑똑해져야 한다는 것 어쩌면 참 슬픈 일인것 같지만 어쩌랴...  과학의 발달을 ?아 가야만 사는 세상이 된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희정의 호텔아프리카

 

 

 

 

 원수연의 풀하우스...2가 새로 나오기 시작했단다... 무척이나 기대^^

 

 

 

 

 

 

 

 

 

 

 

 

 

 

 

 

 

 

 

그리고 내가 좋아했던 만화는 김동화의 내이름은 신디... 황미나의 굿바이 미스터 블랙

 

 

 

 

어려서 친구들과 선생님 몰래 책 사이에 끼고 보던 이 만화들이 너무 그립다.. 도서 대여점에 가보니 풀하우스는 있는데 나머지 책은 새로 나온 애장판 그런거라서 그런가 좀 거리감이 있어 보인다.

이제는 기억조차 가물가물거려지는 만화들...

더 늦기 전에 기억들을 살려서 찾아 읽어 보고 싶다.
나는 왜 그때 그 주인공들에게 열광했었나 싶어서... 

아 아르미안의 내딸들도 있었다.

 

 

 

 

 

 

 

 

 

 

오늘은 날도 좋은데 왜 꾸물거리니 그리운게 많아 지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나는 새로운 사람에 대한 호기심이 생겼다.. 바로 황경신.

그동안 육아에 전념하느라 책과 담을 쌓고 지냈던 시간속에 모르는 책들이 많이 나와 기쁘면서도 당혹스럽고 내가 아는 작가 보다 모르는 작가가 더 많다고 여겨질때 느껴지는 씁쓸함...

절판된 책도 있어 아쉽다.. 오프라인에선 구할 수 있을런지..

이 가을.... 황경신에게 도전해 보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고  우리집 아이들이 너무 게임을 좋아한다..

하지말라고 하면 몰래 숨어서 하지는 않을까 싶기도 하고 아이들이 다하는데 못하게 하는것도 그래서 시간을 정해서 하라고는 하는데 이젠 이걸 책으로 사달라고 한다.

사줘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스럽다.  만화는 무조건 안된다는 편견은 없지만 그래도 게임에 빠져서 지내는게 그다지 눈에 들어올일은 없고. 어찌해야 할까..

 

 

 

 

일단 서점에 가서 내용을 보고 와야 할까도 싶고.. 머리 아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