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모리 하늘신발 ㅣ Project LC.RC
송경아 지음 / 알마 / 2020년 4월
평점 :
알마출판사의 이번
크툴루 신화 중편선 출판은 여러 유명 한국 작가들의 크툴루 신화라는 단일 주제 하에 집필한 중편들을 별책으로 냈다는 점에서 어거스트 덜레스가 편집한
기념비적인 최초의 크툴루 신화 앤솔러지 <Tales of the Cthulhu Mythos>(1969)를
연상케 하는 구석이 있다. 덜레스의 앤솔러지 전반부가 러브크래프트 본인의 작품 및 생전의 그와 교류하던
뉴잉글랜드 작가들 작품 위주로 구성된 반면 후반부에는 러브크래프트 사후 뉴잉글랜드 바깥에서 창작 활동을 하던 후대 작가들의 작품 비중이 늘었는데, 작가들의 개인적인 경험과 문화적 영향이 깊이 배어 있어 창시자의 것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독특한 느낌을 준다. 이를테면 램지 캠벨의 단편 <Cold Print>(를
포함하여 브리체스터 신화 작품군)의 주요 배경인 브리체스터 곳곳에 스며든 황량한 느낌이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의 공습으로 인해 폐허가 된 머시사이드 일대에서 유년기를 보낸 작가의 심상 풍경으로부터
말미암은 것임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또한 제임스 웨이드는 단편 <The Deep Ones>에서 뉴잉글랜드의 고풍스러운 저택들과 첨탑을 네온 조명이 휘황한 캘리포니아
밤거리의 뒤틀린 야자나무와 마약 중독자들, 돌고래와의 텔레파시를 연구하는 과학연구 시설, 바닷가의 히피들과 반문화운동 등으로 대체함으로써 정치적 격변과 가치관의 충돌로 혼란스럽고 불안한 60년대 미국 서부해안 지역의 분위기를 고스란히 잡아내고 있다. 이렇듯
크툴루 신화가 창시자 일인의 한정된 경험과 관점에 구애되지 않고 전인류에 대한 보편적인 공포로서 확립되는 데 후대 작가들의 기여에 힘입은 바 크다.
크툴루 신화의
공간적 배경을 러브크래프트의 고장(Lovecraft country)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옮겨서 이식할
때 러브크래프트의 신화적 원형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더라도 작가가 속한 문화권이나 시대의 영향이 은연 중에 반영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하지만 역량 있는 작가가 의식적으로 이런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마치
와인의 원재료인 포도가 그 지역 자연 환경의 영향을 받아 다른 지역의 것과 확연히 구분되는 독특한 향미를 지니게 되는 현상인 테루아르(terroir)에 비교할 만한 효과를 불러 일으키게 된다. 이번 알마의
중편선 가운데 송경아 작가의 중편 <우모리 하늘신발>의
경우가 그 좋은 예이다.
작품의 배경은
우모리라고 하는 가공의 한국 농촌 마을인데, 특이한 점은 일제 강점기에서 해방과 한국전쟁을 거쳐 개발독재로
이어지는 격동기를 거치고 있는 바깥 세상과는 달리 우모리는 드란댁의 보호 아래 마치 시간의 흐름이 비껴 나간 것처럼 작중의 시간적 배경인 60년대보다 훨씬 이전의 전통적인 한국의 농촌의 모습을 상당 부분 보존하고 있다는 것이다(본서 41~42쪽; 물론
전근대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성차별 습속들은 드란댁의 수정펀치를 맞았다). 작중에서 주인공인 마리의
관점을 통해 회고되는 우모리는 어떤 의미에서 한국인의 그리 오래되지 않은 집단적 기억 속의 이상적 공동체의 원형에 가깝게 묘사되고 있으며, 그 결과 ‘급변하는 세상에 둘러싸인 채 소멸하거나 변질될 위기에
처한 전통적 사회’라는 모티프라는 점에서는 러브크래프트의 뉴잉글랜드에 대한 태도와 어느 정도 공유하는
부분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 작품을 특별하게 만들어 주는 것은 러브크래프트의 유산으로부터 자유로운 요소, 즉 여성들 사이의 연대에
대한 작가 자신의 굳은 믿음이다. 장씨 할머니와 드란댁의 결말에는 전통 사회에 속한 친숙한 모든 것들이
언젠가 잊히고 사라지리라는 상실의 슬픔이 배어 있지만, 작가는 여기서 러브크래프트가 다다른 전환기의
불안과 퇴행적인 혐오 대신 변해가는 세상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과 희망을 끌어낸다. 그 낙천성과 희망을
지탱하는 것은 식민 지배와 전쟁, 개발이라는 근현대 한국사의 격랑뿐만 아니라 외계로부터 도래한 미지의
괴물에 맞서는 두 여자 사이의 애정과 연대이다.
크툴루 신화가
근현대 한국이라는 공간에 이식되는 과정에서 원래의 신화적 원형에 없던 이질적인 요소들, 한국인들의 집단적
기억과 작가의 관점이 뒤섞여 하나의 서사로 빚어진 결과 어떤 크툴루 신화 작품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풍미를 갖게 된 것이 본작 <우모리 하늘신발>이다. 제법
많은 크툴루 신화 작품을 접해 보았다고 자부하는 독자들도 결코 실망하지 않을 만한 수작이라 평가하고 싶다. 다만 본작만 그런
것은 아니고 내가 번역했던 빅터 라발의 『블랙 톰의 발라드』를 포함하여 수정주의적 크툴루 신화 작품들에서 공통으로 느끼는 아쉬움이 하나 있는데, 작품 전반에 위어드 픽션의 가장 중요한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이
세상에 속하지 않은 것에 대한 다소 병적인 관심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위어드 픽션은 러브크래프트가 자신의 에세이 「문학에서의 초자연적 공포」에서 언급했던
바 “알려지지 않은 외계의 권능에 대한, 설명할 길 없이
숨 막히는 듯한 두려움”이 부각되어야 하는데, 수정주의적
작품들의 목적은 러브크래프트의 작품에서 유해한 요소로 남은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부분을 바로잡는다는 다소 현실적인 목표에 집중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위어드 픽션 독자가 응당 작품에 기대함 직한 방향과는 다소 어긋나게 된 것이 아닌가 싶다. 이런
부분은 작가들이 러브크래프트 다시 쓰기를 계속 시도하면서 작법이 확립되면 조만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