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점회귀 근교산 -하 - 시리즈 5탄 근교산 시리즈 5
이흥곤 지음 / 국제신문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저는 이 책의 저자께 너무나도 감사할 따름입니다. 항상 국제신문 사이트를 통해 너무나도 유용한 산행 정보를 제공해 주셖기 때문입니다. 어머니와도 많은 산을 다녔는데 어머니가 산행을 하면서 좋아하실 때에 어쩔때는 이 책의 저자인 이흥곤 기자님께 참으로 감사하다는 생각을 다시금 할 때가 또 있었습니다. 산행을 하면서 기뻐하는 어머니를 보며 그리고 저 또한 너무나도 행복했습니다. 

그런데 이 책 내용중 화왕산 산행을 하면서 이 책 내용 중 화왕산에 대한 개념도가 잘못되어 있다는 것을 산행을 하면서 발견을 하게되었습니다. 이 책을 보신 분은 알겠지만 화왕산에 가면 실제로는 임도 왼쪽에 sk텔레콤 기지국이 있는데 이 책에서는 임도 오른쪽에 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어서 산행을 하면서 약간의 혼선을 겪었는데, 저는 이 것을 처음부터 잘못된 것을 지적하지 않고 산행을 하면서 조금 의아하다는 식의 말을 했을 뿐인데도 나중에 이 책의 저자는 이렇게 대략도에 잘못 표기된 것도 전혀 문제될 게 없다고하는 황당한 상황을 경험했습니다. 

조만간 빨리 이 책의 6번째 시리즈가 나오기를 기대하며 그 때는 다른 기자님이 아마도 책을 발간하게 되실 것 같은데 그 때에는 산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전에 잘못된 것이 잘못된 것이라는 것을 아는 최소한의 상식적인 기자님이 책을 집필하셨으면 좋을 것 같다는 바람을 가져봅니다. 잘못된 것을 이야기해도 문제될 게 없다고해서 어의가 없다는 반응을 보이게끔 상황을 만들어놓고 나중에는 오히려 법적대응 운운하는 이 책의 저자께 조금 실망했는데, 하지만 그 분께 평소 감사하게 생각했던 마음이 더 크기에 그 분께 대승적인 차원에서 유감표시를 했는데, 다음에는 이런식으로 대략도가 잘못 표기된 것도 무조건 옳다라는 식으로 말을해서 독자들이 이런 불미스러운 일에 휘말리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수 산행기 - 평일에 산에 가는 나, 나도 정상에 서고 싶다
김서정 지음, 지만 그림 / 부키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너무나도 간략해 있어나마나만 만화그림이아닌 도움이 되는 북한산 개념도가 필요할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수 산행기 - 평일에 산에 가는 나, 나도 정상에 서고 싶다
김서정 지음, 지만 그림 / 부키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금정산에 관한 내용으로 새로운 신간 책이 나왔는데 만약 금정산에 관한 개념도나 지도 하나  

없다라고 했을 때 금정산에 관심은 있었지만 막상 한 번 도 안 가본 사람의 입장에서는 그 

책을 읽어면서 얼마나 답답할까요? 물론 부산에 살면서 금정산에 가본 사람은 책이 재미가 

있겠지만 서울-경기 지역에 살아서 금정산에 가본 적이 없는 대다수의 사람의 입장이라면 

산에 대한 개념도하나 없는 것은 곤란하지 않을까요? 

이 책도 마찬가지인 것 같습니다. 북한산에 관한 책 내용이  책의 전부인데 북한산에 관한 그  

흔하디흔한 개념도 하나 없습니다. 그래서 북한산과 지리적으로 멀어서 아직 가보지 않은 

사람은 이 책을 읽어면서도 무슨 내용인지 이해가 되지를 않는 것 같습니다. 

 물론 북한산에 가본 사람은 책 내용이 이해가 되겠지요. 

 북한산에 관한 책인데 북한산에 관한 지도나 개념도 형식의 간략도도 없으니, 이 책은  

북한산에 아직 가보지 않은 사람이 읽는다면 후회할 책이고 북한산에 가본 경험이 있다면 

유용한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나는 근교산 - 시리즈 3탄 근교산 시리즈 3
박병률 지음 / 국제신문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야호 근교산>> 에 이어 <<신나는 근교산>> 을 읽었는데, 저자에 대한 소개가 없는 부분이 좀 아쉽네요. 근교산 책이 나올 때 마다 이창우 산행대장이 나오는데, 이창우 산행대장이 어떤 분인지도 궁금한데. 이 점 너무나 아쉽네요. 책 내용 중 21쪽을 보면 이창우 대장이 지도를 보며 다음 갈 곳을 챙겨보는 장면에서는 더욱 그러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책 내용 중 보배산 같은 경우에는 원점회귀라서 등산을 하기가 편할 것 같은데, 자동차를 이용해서 가는 경우에는 책 내용 그대로 산행을 하기 보다는 나름대로 자기자신만의 계획을 세워서 산행을 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산에 갈 때 마다 항상 걱정이 되는 것이 주차를 할 장소인지라......  

마지막으로 앞으로 이 책의 시리즈가 6탄, 7탄 계속해서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만나 본 등산 관련 책 중 실속으로 따지자면 이 책이 최고인 것 같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한민국 숨은 여행 찾기 - 여행 고수가 찾아낸 이 땅의 숨어 있는 여행 명소 30
이성원 지음 / 컬처그라퍼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장점은 보통 일반의 책에서는 볼 수 없는 내용들이 많이 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많은 여행책을 읽었지만 이끼폭포에 대한 내용은 이 책에서나 볼 수 있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너무 안 알려진 부분을 소개할려니 조금은 무리수(?)를 둔 부분은 이 책의 옥의 티라고나할까? 예를들면 이 책의 82쪽에 전주 남부시장이 나오는데, 물론 재래시장을 생각하는 저자의 마음은 십 분 이해가 되지만서도 이런식(?)으로까지 나무 안 알려진 부분을 소개해줄 필요는 있었을까하는 아쉬움이... 이렇게 하자면 부산의 부전시장도 나오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되어...  다시말해 희귀성이라는 측면에서 안 알려진 부분에 대한 부분에 너무 치중하다보니 이런 재래시장도 소개를 하는 일이.... 책 내용 중 전주시장내 밥 집도 소개하는데 이 정도의 밥집은 다른 여느 재래시장에도 존재하는 것일 텐데... 이런 부분은 과감히 빼고 다른 내용을 채워 넣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하는 아쉬움이 든다. 

얼마전 예스 24라는 인터넷 서점에서 독자서평 글자 수가 작다고 저도 모르게 글 삭제를 해서 문제가 된적이 있는데, 예스 24에서 글 삭제를 해서 벌어진 문제와 관련해 예스 24에 전화를 하느라 전화비가 많이 나왔는데, 예스 24 윤효정 고객센터장이라는 사람은 전화비를 돌려 받을려면 sk 텔레콤을 통해 근거 서류를 마련하라고 하네요. 더군다나 팩스를 보내는 데 따른 비용도 다 고객이 부담을 하라고 합니다. 홈플러스나 이마트 또는, SK브로드밴드 같은 보통 일반의 기타 업체에서 잘못을 했을 때는 이런식으로 하지는 않던데, 이 곳은 인터넷 서점 1위라는 말이 무색하게 서비스 마인드가 너무나 낙후되어 있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평생 동안 예스 24에 전화를 해본 기억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더군다나 예스 24에서 글 삭제를 해서 벌어진 문제가 발단이 되어 전화를 한 비용마저도 돌려받는데 어려움이 있는 게 바로 예스 24 이더군요. 전화비 돌려 받는데 드는 비용이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상황이더군요. 책을 보면서도 예스 24에서 책을 사는 바람에 이런 더러운 일을 경험을 한 것이라는 생각이 뇌리에서 떠나지를 않는데, 예스 24 대표이사는 이러한 사실을 과연 알고나 있긴 한 것인지? 잘 나가는 배가, 배의 바닥에 난 바늘 구멍만한 작은 크기의 구멍이 발단이 되어 배가 침몰할수도 있다는 교훈을 경연진이 깨달았으면 하는 바랍입니다. 직원하나 잘못둬서, 평소에 가만히 그냥 조용히 있던 고객을 하마스 전사처럼 만들어 예스 24에 당한만큼 돌려줘야 되겠다는 다짐을 하게만든 것을 반성하기를 바라마지 않습니다.  

 알라딘에서는 이런 일이 안 일어나겠지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희령 2010-09-08 12: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전주 남부시장을 모르시는 군요.
전국적으로 퍼져있는 전주 콩나물 국밥집의 말 그대로 "원조"입니다.
이 정도 책을 쓰면서 그 많고 많은 밥집 중에 그 곳을 소개 한다면 왜?라는 생각을 먼저 해야지요. 물론 그 콩나물 국밥집도 기대하고 가면 실망 할지 모르죠. 특히 라면 스프맛에 너무 길들여진 사람이라면 더 그렇습니다.
맛의 고장 전라도, 그중에서도 전북 전주에서 유명하다면 한참 밀리는 새벽에도 가보는 등 왜 유명한지 알아보려는 노력 후에 평가를 해야지요. (발냄새 나는 치즈도 공부하면서 먹는 세상인데)
여느 재래시장에나 있는 소문난 밥집 정도라고 할만한 밥집은 분명 아닙니다.
신문방송학도라고 하니 글을 남깁니다. 혹시라도 기자가 될지도 모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