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권력 - 개마고원신서 26
강준만.권성우 지음 / 개마고원 / 2001년 12월
평점 :
절판


먼저 정인관님의 글의 서두부분부터 살펴보자. 강준만교수는 이 책에서 밝힌바 있듯이 엄밀히 말해 문학과 관련해서는 '국외자' 의 신분과도 같다. 정작 막강한 권력을 가진 일부 문학권력집단 내부에서 문학권력 논쟁을 강 건너 불 구경 하듯이 여기며 이러한 것들을 진지한 비평적 담론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들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하고 있지 않은 현실에서 강준만의 계속 되풀이되는 말과 메시지는 이미 강준만 자신도 인정을 한 바 있듯이 문학계가 계속 지금과 같이 '나 몰라라' 하는 식으로 나오는 현실적 여건상 그것은 어쩌면 불가피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정인관님은 '논의의 확장' 을 강준만교수에게 주문을 하셨는데, 이 부분과 관련해서는 문학권력 집단의 메타비평으로서의 대응을 먼저 문제삼으셔야 하지 않을까 싶다. 즉, 문학권력 집단이 지금 이러한 논쟁과 관련해 보이고 있는 행태를 가만히 살펴보시면 이 문제가 왜 자꾸 '논의의 확장' 이 안 이루어지는지 쉽게 답이 나올거라 생각된다. 그리고 사실 '논의의 확장' 문제와 관련해서는 '국외자' 인 강준만에게 물을 일이 아니라고 생각된다. 그 많고 많은 문학계 인사들은 지금 다 어디갔는가? 과거 그들은 무었을 했는가? 이 문제는 엄밀히따져 문학계 내부에서 진지하게 접근해야 할 문제이거늘, 문학계 내부에서 '문학권력' 논쟁을 애써 외면하고 있는 상황에서 '논의의 확장' 은 1차적으로 문학인들의 몫이라는 게 나의 생각이다.

정인관님의 계속되는 주장과 관련해서도 나는 정인관님의 말씀에 쉽게 동의를 할 수 없는데, 물론 글쓰기를 할 때 지나친 비약이나 논리적 일관성의 결여가 나타난다면 그것은 문제삼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우리 인간은 누구든, 더군다나 그것이 설득적 메시지를 담은 논쟁적 글쓰기일 경우에 각자 자신의 주장의 정당성을 내재적으로 확보하고 그것을 위한 논리적 틀을 하나하나씩 세워나가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자신의 글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그러한 논쟁을 지켜보는 제3자인 독자들을 설득할 수 있지 않겠냐하는 것이다. '전투적 글쓰기' 의 '냉철함' 이 '너무 쉽게'. '냉소' 로 이어진다는 정인관님의 진단도 동의할 수 없다. 그러한 '냉소' 는 문학권력 집단의 주요 레퍼토리가 아니던가?

그리고 강준만을 비롯해 김정란, 권성우와 같은 속칭 문학권력 논쟁에 불씨를 지핀 논객들이 '집단화' 되어간다는 말씀도 하셨는데, 이 문제와 관련해서는 정인관님은 별로 걱정을 안 하셔도 될 것이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 이들은 문학권력 집단과 같이 '이권 패거리' 가 아닌'대의 패거리' 가 아니던가.(이와 관련해서는 정인관님이 남진우의 글에 대한 강준만교수의 반론인 <신사동 그사람> 이라는 글을 꼭 좀 읽어보시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참고로 이 글은 월간 <<인물과 사상>> 2001년 3월호 127~152쪽에 있다.)

정인관님은, '강준만이 김정란을 끼고도는 행위' 와 관련해 '그것이 과연 합리적인가를 의심할 만하다' 고 말씀하시는데 이것도 문제가 있는 발언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문학권력 집단과 같은 '이권 패거리' 에 가담한 사람들은 '대의' 를 앞세우는 사람들이 영원히 혼자 놀아야 한다는 말씀이신가? 전부 따로따로 놀 경우 무슨 개혁을 이뤄낼 수 있는 것인지 정인관님은 한번 답변해 주시길 바란다. 문학권력 집단과 같은 '이권 패거리' 에 대항하는 '대의 패거리' 의 가치를 인정 못해주시겠다는 뜻인가? 최소한 김정란, 강준만, 권성우, 그외 진중권...과 같은 사람들은 사안에 따라 다르겠지만 활발한 내부비판에 임하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시나? 정인관님께서는 혹시 문학권력 논쟁에 대해서 크게 잘못 생각하고 계시는 것은 아닌가? 어찌 문학권력논자들의 주장과 비슷한 말씀만을 하시는지 답답한 마음 금할 길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